서비스증명
서비스 증명(Proof of Service)는 2018년 제주도에서 열림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pbit Developer Conference 2018, 이하 UDC 2018)에서 처음 지식이 공유되었다.
개요
2018년 제주도에서 열린 UDC 2018은 약 210개의 블록체인 기업과 총 1,600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해 진행되었다. 당시 개발자증명(Proof of Developer)을 주제로 블록체인 지식을 공유했고, 여기서 서비스증명에 대한 지식도 공유되었다. 2019년 9월 열릴 UDC 2019에서는 서비스증명에 중점을 두고 열릴 예정이다. 서비스 증명은 마스터노드가 네트워크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기존에 사용되던 작업증명(PoW)에 더해 2단계 진전된 기술이다.[1]
특징
서비스증명은 서비스를 채점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기준의 포함되어 있어서 지물 직전의 DDos 공격 등으로 인해 핑 요청에 응답하지 못하여 마스터노드가 PoSe 금지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서비스 제공에 있어 실패할 때마다 최대 점수에 비례하여 PoSe 점수가 증가한다. 이 때 최고 점수는 등록된 마스터노드의 숫자와 같다. 이 점수가 등록된 마스터노드의 숫자에 도달하게 되면, PoSe 금지가 발효되고, 해당 마스터노드는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정비하게 된다. 재정비를 마친 이후에는 ProUpServTx를 통해 다시 등록되게 한다.[2]
이러한 서비스 증명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암호화폐로는 대시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예로 들 수 있다.
활용
대시코인
2014년 1월에 에반 더필드(Evan Duffield)가 비트코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대시코인은 거래용 토큰으로 개인정보 보호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처음에는 엑스코인(XCoin)이라고 불리다가 다크코인(Darkcoin)으로 이름을 바꾸고 지금의 대시코인이 되었다.
대시코인의 알고리즘은 에반 더필드가 개발한 X11 해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데, 작업증명(Proof of Work)방식을 위해 11개의 체인 해싱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링 서명과 일회용 주소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대시코인은 일종의 '2층 구조'를 사용한다. 기본적인 작업증명 방식에 고급 기능을 더해주는 마스터노드를 사용함으로써 지분증명(Proof of Stake)과 서비스증명(Proof of Service) 방식이 통합되어 사용된다. 대시코인은 자체 구조는 없지만 바이트코인의 포크 형태이므로 바이트코인의 업데이트, 소스 코드 및 바이너리가 매 시간 동기화된다.[3]
대시는 마스터노드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마스터노드는 블록체인 전체의 복사본을 사용하여 거래중인 코인을 혼합하여 거래의 익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마스터노드는 예산 사용 결정 과정에도 참여한다. 이로 인해 마스터노드는 채굴한 대시의 45%를 보상받는다.[4]
각주
- ↑ Carry Team, 〈(UDC 2019)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연사 확정〉, 《미디엄》, 2019-07-19
- ↑ Jo Yujin, 〈대시 마스터노드 수백 개가 오프라인?…‘네트워크의 성능 표준 강화 때문’〉, 《대시뉴스코리아》, 2019-06-13
- ↑ 비트클럽메이트, 〈대시코인(Dash Coin)〉, 《네이버 블로그》, 2018-01-03
- ↑ 비트클럽메이트, 〈대시코인(Dash Coin)〉, 《네이버 블로그》, 2018-01-03
참고자료
- POPCHAIN, 〈'팝체인 혁명' 이룩할 5가지 신기술〉, 《미디엄》, 2018-07-29
- Jo Yujin, 〈대시 마스터노드 수백 개가 오프라인?…‘네트워크의 성능 표준 강화 때문’〉, 《대시뉴스코리아》, 2019-06-13
- Carry Team, 〈(UDC 2019)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연사 확정〉, 《미디엄》, 2019-07-19
- 비트클럽메이트, 〈대시코인(Dash Coin)〉, 《네이버 블로그》, 201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