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으며,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 중 유일무이한 직류 1,500V 전용으로, 서울교통공사에 수탁 관리 운영되어, 교류 구간의 운행은 매우 불가능한 차량이다. 현재 16개 편성(160량)이 운행 중이다.
3호선 최초의 VVVF 전동차
1996년 1월 30일에 개통된 일산선은 기존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 시 문제가 됐던 좌·우측 통행 및 직·교류 전기 공급 방식의 혼선 문제로 발생한 차량, 운용, 시설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철도법에 의거하여 설치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축차량기지에서 담당한다. 본 노선에선, 직류 1,500V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직·교류 겸용차량이 필요 없게 됐으며, 특히 서울교통공사에선 창동차량기지의 부지 부족으로 4호선 VVVF 제어 차량의 중검수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3호선 지축차량기지에 4호선 VVVF 차량의 중검수를 통합해 운용했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등과 동일한 차량을 도입한 후 검수 절차 및 차량 운용을 서울교통공사 측에 수탁했다. 이로써, 한국철도공사는 별도의 차량기지를 건설할 필요 없이 그대로, 지축차량기지의 규모 확충만으로도 상호 간 부품 공통화 등의 효율성이 한층 제고가 이뤄졌다.
기술적 사양
기본적인 차량은 1차분 차량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중 1차분 차량인 C101~C106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1차분 차량인 C401~C409, C451~C463편성등과 동일하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10km/h가 더 높으며 한국철도공사의 승무원이 운용하기 때문에 여타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성에 최대한 흡사하도록 기어비가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체감상으로 기어비의 차이를 전혀 느끼지 못 한다. 그리고 20여 년 동안 서울교통공사에서 별개로 관리를 받아 사실상 기어비가 원래 값에서 많이 변경됐을것이란 의문이 나왔다. 차내엔 역 통과 방지 장치가 설치됐으나 사용하진 않는다. TGIS가 1비트의 화면에서 4비트의 TGIS로 새로 변경됐다. 레이아웃은 그대로지만 기능들이 항층 더 업그레이드 된 형태로 다양해졌다.
특이사항
시운전 사고
1995년 11월 24일, 수서 방향 시운전을 하던 3×74편성의 3074호가 시운전을 마치고 지축차량기지에 입고하다가 새항 운행 중이던 3×77편성의 3977호화 충돌했다. 사고의 발단은 3×74편성의 기관사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가 미작동 중인 상태에서 서행 운행을 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음성 방송장치 개량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
3×77~84편성에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이 설치됐으나 현재는 철거됐다.
내장재 교체 사업 및 도색 변경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의해 2005년 3×75~76, 3×79, 3×81, 3×85~86편성이 불연재 기준에 맞춰 바뀌었으며 2006년은 개조를 받지 않은 나머지 편성은 변경됐다. 교체 사업은 SLS중공업이 참여했으며, 코레일 표준 시트가 적용됐다. 이에 걸맞춰 한국철도공사의 CI가 변경돼 철도공사의 신 CI도색이 2005년 리뉴얼 받은 차량으로부터 적용돼 2006년까지 전 차량의 도색 변경이 마쳐졌다. 색상은 주황색-파란색 계통으로 변경됐으며 한국철도공사에서 도색 원본을 보내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하던 형태로 도색 변경이 이뤄졌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진 전면 측면 행선 표시 장치(DI)를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됐다.
측면 로고
측면 코레일 로고가 'Let's Korail' 스티커로 모두 변경됐다. 이전은 다른 코레일 열차와 같이 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했다.
측면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가 소등됐다.
편성
1차분
3×71~86편성(초창기 도입분)은 PAN과 C/I가 탑재된 M'차, 그리고 SIV, CM, BAT 등을 갖춘 Tc차와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됐다.
2~3차분
배속
- 3×68~70, 3×87~99편성: 지축차량기지, 10량
현재 운행구간
- 틀:한국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오금
- 일산선: 대화~지축
도입 역사
초창기 도입분은 1세대의 경우 1호선에서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101~C106편성), 4호선 운행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C401~C409, C451~C463편성)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이후 각종 설비 변경을 계속 거듭하면서 총 2차례에 결쳐 도입이 이뤄졌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1세대(1차분) 1995년 8월 25일~1997년 8월 26일
초창기에 도입된 3×71~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대화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이후 3×78~83편성은 1996년 1차 증차분으로, 3×84~86편성은 1997년 2차 증차분으로 도입된 편성이다. 16개 편성 160량 모두 현대정공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2차 증차분의 경우 2022년 9월 3×84편성은 극심한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에 의해 영구 휴차됐다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이 이뤄졌다. 2023년 8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3×79~81편성을 제외한 차량의 운행이 영구 중단됐으며, 3×79~81편성 또한 CCTV 설치예정 없음에 따라 2024년 6월 21일 전 편성이 퇴역했다.
2세대(2차분) 2022년 7월 28일~2023년 1월 30일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78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3차 도입분을 비롯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5~6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9~10차 도입분,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2차 도입분 등을 기반으로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다.
3세대(3차분) 2022년 12월 30일~2024년 1월 1일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9~86편성의 대차분이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312000호대 전동차 14~15차분을 기반으로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미쓰비시의 기반 우진산전 IGBT가 창작됐다.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던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운행중단 시기 | 비고 |
---|---|---|---|---|
3×71편성 | 1995년 8월 25일 | 1996년 1월 30일 | 2023년 9월 | 철도청 최고의 직류전용 전동차다. |
3×72편성 | 1995년 9월 2일 | |||
3×73편성 | 1995년 9월 8일 | 2023년 12월 | KTCS-M 시범 개조 차량이다. | |
3×74편성 | 1995년 9월 13일 | 2023년 9월 | ||
3×75편성 | 1995년 10월 2일 | |||
3×76편성 | 1995년 10월 7일 | 2023년 12월 | ||
3×77편성 | 1995년 10월 19일 | 2023년 9월 | ||
3×78편성 | 1996년 1월 | 1996년 11월 30일 | 2024년 1월 | |
3×79편성 | 2024년 6월 | |||
3×80편성 | 1996년 2월 | |||
3×81편성 | ||||
3×82편성 | 1996년 3월 | 2023년 12월 | ||
3×83편성 | 2024년 3월 | |||
3×84편성 | 1997년 8월 19일 | 1997년 11월 25일 | 2022년 9월 | |
3×85편성 | 1997년 8월 23일 | |||
3×86편성 | 1997년 8월 26일 |
2세대분
해당 편성들부터 신도색이 적용됐으며, 배장기가 제거됐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87편성 | 2022년 7월 28일 | 2023년 9월 19일 | |
3×88편성 | 2022년 8월 26일 | 2023년 9월 20일 | |
3×89편성 | 2022년 9월 23일 | 2023년 8월 30일 | |
3×90편성 | 2022년 10월 31일 | 2023년 9월 6일 | |
3×91편성 | 2022년 11월 18일 | 2023년 8월 23일 | |
3×92편성 | 2022년 12월 9일 | 2023년 8월 2일 | |
3×93편성 | 2022년 12월 23일 | 2023년 8월 16일 | |
3×94편성 | 2023년 1월 30일 | 2023년 8월 9일 |
3세대분
해당 편성들부터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됐으며, 편성번호가 운전실 측면 앞쪽에 표시된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68편성 | 2023년 9월 6일 | 2024년 1월 30일 | |
3×69편성 | 2023년 12월 4일 | 2024년 4월 3일 | |
3×70편성 | 2024년 1월 1일 | 2024년 3월 24일 | |
3×95편성 | 2022년 12월 30일 | 2023년 12월 12일 | |
3×96편성 | 2023년 2월 8일 | 2023년 11월 23일 | |
3×97편성 | 2023년 4월 19일 | 2023년 12월 19일 | |
3×98편성 | 2023년 6월 7일 | ||
3×99편성 | 2023년 8월 15일 | 2024년 1월 12일 |
같이 보기
이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문서는 한국철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