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행렬(Diagonal Matrix)은 정사각 행렬의 주대각선 성분 이외의 모든 성분이 0인 행렬이다.
대각행렬은 행렬에서 대각 원소(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이어지는 원소)만 0이 아닌 값을 갖고 나머지 원소는 모두 0인 특수한 행렬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
정사각 행렬
가 대각행렬이 되려면, 모든
에 대해
을 만족해야 한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대각행렬은 일반 행렬보다 계산이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AI 및 머신러닝에서도 다양한 최적화 과정에서 활용된다.[1]
주요 특징[편집]
대각행렬끼리의 곱셈은 개별 대각 원소끼리의 곱으로 단순화된다.
대각행렬의 행렬식은 모든 대각 원소의 곱으로 주어진다.
대각행렬의 고유값은 대각 원소 자체가 된다.
일반 행렬에 비해 연산량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머신러닝 및 AI에서 최적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대각행렬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의 변환, 정규화, 특이값 분해(SVD), 주성분 분석(PCA)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PCA에서는 공분산 행렬을 대각화하여 주요 성분을 찾는 과정에서 대각행렬이 사용된다. 이때, 공분산 행렬을 고유값 분해(Eigendecomposition)하면 고유값들이 대각행렬 형태로 표현되며, 데이터의 분산을 가장 잘 설명하는 주축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신경망 학습에서 사용되는 가중치 행렬의 변형에서도 대각행렬이 활용될 수 있다. 가중치 행렬의 스케일링을 조정하거나 특정 축 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우, 대각행렬 곱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학습 과정에서 가중치를 정규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하는 Batch Normalization에서는 대각행렬 형태의 스케일링 매개변수를 적용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NLP)에서도 대각행렬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단어 임베딩 기법인 Word2Vec에서 단어-문맥 행렬을 특이값 분해(SVD)하여 임베딩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도 대각행렬이 나타난다.
관련 개념[편집]
희소행렬[편집]
대각행렬은 희소행렬(Sparse Matrix)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희소행렬은 대부분의 원소가 0인 행렬을 의미하며, 계산량을 줄이고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각행렬은 주대각선 이외의 원소가 모두 0이므로 매우 희소한 형태를 가진다.
희소행렬은 머신러닝에서 고차원 데이터 처리 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연어 처리에서 사용하는 단어-문맥 행렬이나 사용자-아이템 평점 행렬(추천 시스템) 등은 매우 희소한 형태를 가지며,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대각행렬과 같은 희소 행렬의 연산 기법이 사용된다.
특히, 신경망 학습에서의 가중치 행렬을 희소하게 만들면 모델의 복잡도를 줄이고 과적합을 방지할 수 있다. L1 정규화(라소 회귀) 등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희소하게 만들면, 학습된 모델이 해석 가능성을 갖게 되며 계산 효율성도 높아진다.
대각행렬의 희소한 특성을 활용하면 행렬 연산의 계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대규모 데이터셋을 다룰 때 매우 유용하다. GPU 연산에서도 희소행렬 연산을 최적화하는 기술들이 적용되며, 이는 머신러닝 모델의 학습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대각행렬 문서는 인공지능 데이터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인공지능 : 인공지능 서비스, 인공지능 모델, 인공지능 데이터 □■⊕, 인공지능 개발, 인공지능 기술, 인공지능 로봇, 인공지능 기기, 인공지능 기업, 인공지능 인물, 인공지능 역사
|
|
인공지능 데이터
|
DTO • FAISS • MNIST • t-SNE • UMAP • 개념 • 거리 • 경성마진 • 과소적합 • 과적합 • 군집 • 군집화 • 내적(점곱) • 노드 • 노이즈 • 다중 레이블 분류 • 대각행렬 • 데이터라벨러 • 데이터라벨링 • 데이터셋 • 데이터 증강 • 돌마 • 디코더 • 라쏘 • 레이블 • 릿지 • 말뭉치(코퍼스) • 매핑 • 밀집벡터 • 벡터 • 벡터DB • 벡터공간 • 변형공간 • 분류 • 분류기 • 분포 • 비선형회귀 • 비정형데이터 • 산점도 • 샘플링 • 서포트 벡터 • 서포트 벡터 머신 • 선형회귀 • 센텐스피스 • 스니펫 • 스칼라 • 시계열 데이터 • 시뮬레이션 • 시퀀스 • 시퀀스 데이터 • 실루엣 계수 • 실루엣 다이어그램 • 심층 오토인코더 • 엣지 • 역행렬 • 연성마진 • 오분류 • 오토인코더 • 오픈데이터 • 외적 • 원본공간 • 원-핫 인코딩 • 위계적 군집화 • 이진분류 • 이진분류기 • 이항분류 • 인코더 • 임베딩 • 잠재공간 • 정형데이터 • 지식베이스 • 지식표현 • 차원 • 차원의 저주 • 차원축소 • 청크(Chunk) • 초평면 • 크라우드워커 • 텐서 • 토큰 • 토큰화 • 특이값 분해 • 평가데이터 • 평면 • 행렬 • 행렬분해 • 형태소 • 혼동행렬 • 회귀 • 회귀분석 • 훈련데이터 • 희소벡터
|
|
양자화
|
QLoRA • GPTQ • PTQ • QAT • sLLM • vLLM • 경량화 • 소형화 • 양자화 • 증류 • 최적화
|
|
인공지능 학습
|
ADP • CoLLM • 강화학습 • 계통적 강화학습 • 교차검증 • 기억 • 능동학습 • 단기기억 • 딥러닝 • 딥큐러닝 • 머신러닝(기계학습) • 모델 기반 강화학습 • 모델 프리 강화학습 • 미세조정(파인튜닝) • 비지도학습 • 사전학습 • 세계지식 • 인공지능 학습 • 자기지도학습 • 장기기억 • 장단기기억 • 전이학습 • 준지도학습 • 지도학습 • 학습 • 훈련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아시아, 세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지도,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