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혁명 또는 공산주의혁명은 노동자를 비롯한 무산계급이 주도하는 혁명세력이 자본주의 체제를 전복시키고 사회주의 체제의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사회를 건설하는 과정 또는 투쟁을 말한다. 다른 말로 프롤레타리아혁명(독일어: Proletariat revolution, 영어: Proletarian revolution)이라고도 한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의 총체적인 개조과정은 자본주의라는 인간성이라는 것이 존재할 필요성이 없고, 인간 태초의 욕망이 사회를 지배하는 낡은 사회에서 일시적인 사회주의로 개조되고 후에 완전한 공산주의를 이룩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주의혁명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공동으로 제작한 공산당선언,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거론되었다. 위 두 서적에서는 자본주의라는 취약한 사회를 떠받드는 부르주아들이 만들어 놓은 군대, 종교, 경찰, 국가 등은 사라지고 각 개개인이 생산수단을 가지고 있어 필요에 의한 생산을 하게 되어있는 사회주의 체제의 사회를 건설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1917년 최초로 사회주의 혁명을 이룩한 블라디미르 레닌은 위와 같은 취약한 전후 배경으로는 혁명을 이끌면 똑같은 상황이 반복될 거라 예상하였고 그 결과 기존의 마르크스주의를 개조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라는 것을 만들었다. 기존의 공산주의와 달리 마르크스-레닌주의가 덧붙여진 공산주의는 제국주의론, 국가와 혁명 등등 부속 이론이 결집한 서적이 추가됐는데 이는 공산주의 사회를 이룩하여도 타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공산주의 사회의 존립이 위태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온 세계에 공산주의를 전파하여야 하고 그 때문에 인민으로 이루어진 군대와 경찰 등 질서를 잡아주는 기관은 존재하여야 하며, 사회주의라는 공산주의의 하부 사상이라는 체제를 과도기적인 기간으로 설정하여 궁극적으로는 국가를 소멸 공산주의 사회를 완벽하게 이루어내겠다는 사상을 창시한다. 또한, 근로 대중으로 이루어진 인민위원회라는 정치기구를 설립, 지원해야 하고 혁명 방법도 직업 혁명가가 지휘하는 다수의 생산 노동자와 농민들로 이루어진 이른바 혁명 '전위대'를 두어 정치적 혁명을 일으키는 이론인 전위대 체계론을 주장한다.
마침내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인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이 탄생한다. 이 국가는 기존의 국가와 달리 사회주의혁명이란 속성에 결부해 타국과 자국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세계의 사회주의혁명을 지도 또는 지원하는 국가로 성장해나갔는데, 이 소련이라는 국가의 세계적 프롤레타리아혁명 방침은 지배계급의 반동 음모를 봉쇄하고 자본주의의 국제적 간섭을 배제, 계획경제의 사회주의적 공업화와 집단농업, 인본주의적인 교육, 사상 면에서의 사회개조를 통한 사회 및 문화혁명 등을 통하여 사회주의를 건설한다고 방침했다. 마지막으로 그 궁극적 목표가 달성되면 그 이념은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보장하고 점차 국가는 소멸하여 인민으로 이루어진 완벽한 인간 개조가 된 사회주의적 사회 자치 세력에게 자리를 물려 준다고 되어있다.
사회주의혁명은 1917년 러시아에서 레닌의 지도로 실현되었으며, 그 후 동유럽과 중국, 쿠바, 베트남 등으로 확산해 갔다. 그러나 국제주의적인 혁명은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론을 거치면서 국가주의적이고 혁명과정이 전후 독재적으로 모순화되어갔다. 소련은 겉으로는 사회주의혁명을 대폭으로 지원하고 있었으나 내부적으로는 좌파 파시즘과 다를 바 없는 통치양상을 가져왔고 사회주의적인 공업화 즉, 경공업과 농업을 중시하지 않고 지나치게 중공업을 발달시켜 식량의 자급량을 늦췄으며 노멘클라투라 현상 때문에 빈부격차가 발생하였고, 비민주적인 통치로 국가가 소멸하여야 할 공산주의 이념이 오히려 국가 통제주의적인 정치양상을 띠었다. 1985년 이후에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이 모순을 없애기 위해 사회 개혁정책을 펼쳤지만 실패하였고 결국 공산주의 이상 사회 실현은 실패하게 되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이 사회주의혁명 문서는 역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접기]일반 : 자연, 시공간, 생물, 동물, 식물, 정치, 법률, 군사, 경제, 사회, 교육, 문화, 예술, 스포츠, 역사 □■⊕, 역사인물, 인간, 민족, 인체, 건강, 질병, 정신, 성격, 행동, 언어, 수학, 위키 도움말
|
|
역사
|
고대시대 • 구석기시대 • 근대시대 • 근세시대 • 금속기시대 • 노예제 • 봉건제 • 석기시대 • 선사시대 • 시대 • 신석기시대 • 암흑기 • 역사 • 역사가 • 역사관 • 역사시대 • 역사학 • 원시시대 • 전성기 • 중석기시대 • 중세시대 • 철기시대 • 청동기시대 • 현대시대
|
|
한국사
|
가야 • 갈사부여 • 고구려 • 고려 • 고려시대 • 고리국 • 고조선 • 고조선시대 • 금관가야 • 기자조선 • 낙랑군 • 남북국시대 • 남옥저 • 다파나국 • 단군신화 • 단군조선 • 대가야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제국 • 동녕부 • 동란국 • 동부여 • 동예 • 동옥저 • 두막루 • 류큐국 • 마한 • 목지국 • 발해 • 백제 • 변한 • 보덕국 • 부여 • 북부여 • 북옥저 • 사로국 • 삼국시대 • 삼한 • 소고구려 • 신라 • 십제 • 쌍성총관부 • 열국시대(원삼국시대) • 옥저 • 우산국 • 위만조선 • 일제강점기 • 임둔군 • 정안국 • 제나라 • 조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시대 • 조선총독부 • 진국 • 진번군 • 진한 • 탐라 • 탐라총관부 • 태봉 • 통일신라 • 한국 • 한국사 • 한사군 • 현도군 • 후백제 • 후삼국 • 후삼국시대
|
|
중국사
|
거란족 • 금나라 • 남북조시대 • 남송 • 당나라 • 대만(타이완) • 룽산문화 • 만주국 • 만주족 • 명나라 • 몽골족 • 북송 • 북원 • 상고시대 • 상나라 • 서하 • 선비족 • 송나라 • 수나라 • 신나라 • 양사오문화 • 여진족 • 오나라 • 오대십국시대 • 오호십육국시대 • 요나라 • 원나라 • 위구르족 • 위나라 • 위진남북조시대 • 전국시대 • 전한 • 주나라 • 중국 • 중국사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진나라 • 진나라 (위진남북조시대) • 청나라 • 촉나라 • 춘추시대 • 춘추전국시대 • 티벳 • 하나라 • 한나라 • 한족 • 홍산문화 • 황하문명 • 후한 • 흉노족
|
|
세계사
|
게르만족 • 고대 그리스 • 고대 이집트 • 공산주의 • 괴베클리 테페 • 국제연맹 • 굽타왕조 • 남북전쟁 • 농업혁명 • 농업혁명 (근대) • 농업혁명 (신석기) • 대영제국 • 대항해시대 • 독일사 • 독일제국 • 동남아사 • 동로마제국 • 러시아사 • 러시아제국 • 러시아혁명 • 로마사 • 로마제국 • 르네상스 • 마야문명 • 마케도니아 • 메소아메리카 • 메소포타미아 • 메소포타미아문명 • 멕시코제국 • 명예혁명(영국 시민혁명) • 몽골제국 • 무굴제국 • 미국 독립전쟁 • 미국사 • 미소냉전 • 민족해방운동 • 바빌로니아 • 바이킹 • 본쿠클루 탈라 • 브라질제국 • 사회주의 • 사회주의혁명 • 산업혁명 • 서로마제국 • 소련 • 스파르타 • 스페인사 • 스페인제국 • 시민혁명 • 신성로마제국 • 십자군전쟁 • 아유타야왕국 • 아즈텍문명 • 아즈텍제국 • 아테네 • 아프리카사 • 영국사 • 오스만제국 •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 유럽사 • 유럽연합 • 유엔(국제연합) • 이란제국 • 이스라엘사 • 이슬람제국 • 이집트문명 • 이탈리아 도시국가 • 이탈리아사 • 이탈리아제국 • 인더스문명 • 인도사 • 인디언 • 일본사 • 일본제국 • 잉카문명 • 자본주의 • 정보혁명 • 제1차 세계대전 • 제2차 세계대전 • 종교개혁 • 지리상의 발견 • 짜끄리왕조 • 카라한 테페 • 콩고왕국 • 크메르제국 • 페니키아 • 페르시아제국 • 포르투갈제국 • 프랑스사 • 프랑스 시민혁명 • 프랑스 제1제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크왕국 • 히타이트
|
|
한국 역사서
|
고려사 • 고려실록 • 고려사절요 • 규원사화 • 기자지 • 단군세가 • 동국통감 • 동사강목 • 동국사략 • 발해고 • 삼국사기 • 삼국사절요 • 삼국유사 • 승정원일기 • 실록 • 야사 • 역사서(사서) • 연려실기술 • 위서 • 절요 • 정사 • 제왕운기 • 조선상고사 • 조선왕조실록 • 환단고기
|
|
위키 :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