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플웨어
크리플웨어(crippleware)는 프로그램의 중요 핵심 기능만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모두 공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이용하려면 정식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셰어웨어 중 하나로, 성능이 좋지 않은 프로그램을 통칭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이때 크리플웨어는 이용자에게 정품 이용을 충고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크리플웨어는 하드웨어에서도 사용 가능한데 완전히 기능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성능이 저하된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1990년대에 인텔에서 486DX의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시킨 486SX가 크리플웨어 하드웨어에 해당된다.[1]
목차
[숨기기]개요[편집]
크리플웨어(Crippleware)는 일부 기능이 의도적으로 비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특정 금액을 지불하기 전까지 전체 성능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말한다.
소프트웨어에서의 크리플웨어는 "파일 저장이나 인쇄 같은 핵심 기능이 사용자가 등록 키를 구매할 때까지 비활성화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크리플웨어는 소비자가 구매 전에 소프트웨어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하지만, 비활성화된 기능 때문에 완전한 성능을 테스트할 수는 없다.
하드웨어 크리플웨어는 "전체 성능으로 설계되지 않은 하드웨어 장치"를 가리킨다. 제조사는 소비자가 더 비싼 고급 버전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기능을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크리플웨어로 간주되는 하드웨어는 점퍼 와이어 제거 같은 간단한 변경으로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전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조사는 주로 이러한 크리플웨어를 저가형 또는 경제적 버전으로 출시한다.
크리플웨어의 특징[편집]
크리플웨어는 일부 기능이 제한되거나 비활성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무료 또는 트라이얼 버전(체험판)으로 배포되며, 모든 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료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한다.
'Cripple(불구로 만들다)'와 'Software(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사용자에게 제품을 부분적으로 체험하게 한 뒤, 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적 소프트웨어 배포 방식이다.
- 핵심 기능 중 일부가 사용 불가
- 기능 제한이 명확하거나 암묵적일 수 있음
- 사용 기간 제한 없이 제공되기도 하지만 기능은 제한
- 별도의 라이선스 키 또는 결제 이후 제한 해제
- 광고 표시와 결합되기도 함 (Adware 형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의 크리플웨어[편집]
의도적으로 기능이 제한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원본 소프트웨어의 고급 기능(또는 핵심 기능)이 없는 무료 버전으로 배포된다. 이러한 제한 버전은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무료로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정식 버전의 인기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파일 저장이나 인쇄가 불가능한 워드 프로세서, 또는 화면 녹화 및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워터마크(주로 로고)를 강제로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크리플웨어는 유료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등급별로 기능을 차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크리플웨어"라는 용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 기능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기능을 제한("crippled")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은 일회성 결제 또는 구독제 형태로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입장에서 덜 부정적인 표현은 "기능 제한형(feature-limited)"이다. 기능 제한은 셰어웨어(shareware)를 마케팅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며, 다른 방식으로는 기간 제한형(time-limited), 사용 횟수 제한형(usage-limited), 용량 제한형(capacity-limited), 광고 표시형(nagware), 출력 제한형(output-limited) 등이 있다. 개발자 측에서는 기능 제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의심스러운 리뷰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소프트웨어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서는 "먼저 사용해보고 구매하기(try-before-you-buy)" 방식이 매우 일반적이며, 여기에 광고가 포함되거나 다른 형태의 제한이 적용되기도 한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제공자들의 경우, 오픈 코어(open core) 모델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모델은 기능 제한 버전과 오픈 코어 버전을 함께 제공하는데, MySQL과 Eucalyptus 같은 제품이 대표적이다. 기능 제한 버전은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포되며, 고급 기능은 상용 버전에서만 제공된다.
컴퓨터 하드웨어에서의 크리플웨어[편집]
이러한 제품 차별화 전략은 하드웨어 분야에서도 적용된 바 있다.
- 1. 인텔 486SX
본래 486DX 모델과 동일하지만, FPU(부동소수점 연산 장치)를 제거하거나 초기 버전에서는 물리적으로 존재하지만 기능을 비활성화했다.
- 2. AMD의 Phenom 시리즈
AMD는 쿼드 코어 Phenom 및 Phenom II X4 프로세서에서 불량 코어를 비활성화해 트리플 코어(X3) 또는 듀얼 코어(X2) 모델로 저가 판매했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칩을 설계할 필요 없이 생산 수율을 높이는 전략이었다. 일부 사용자는 정상적인 코어를 강제로 "언락"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도 했다.
- 3. 카시오 공학용 계산기 (fx-82ES vs fx-991ES)
fx-82ES는 fx-991ES(고급 기능 탑재 모델)와 동일한 ROM을 사용했지만, 기능이 제한되었다. 사용자들은 보드의 에폭시를 제거하고 납땜 접점을 연결하여 고급 모델로 변환할 수 있었다. 이는 fx-83ES 및 fx-85ES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 4. 애플의 Wi-Fi 유료 활성화 논란 (2007년)
애플은 일부 기기에서 Wi-Fi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4.99달러(후에1.99달러로 인하)를 청구했다. 이에 대해 "GAAP(일반회계원칙) 준수"를 이유로 들었지만,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전직 수석 회계사와 FASB(재무회계기준위원회) 위원은 해당 해석을 반박했다.
- 5. 인텔 업그레이드 서비스 (2010-2011)
인텔은 소프트웨어 활성화 코드를 통해 특정 프로세서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크리플웨어"라는 비판을 받았다.
- 6. 애플의 "배터리게이트" (Batterygate)
애플은 오래된 iPhone의 성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켰고, 이는 "배터리게이트"라는 논란으로 이어졌다. 2020년에는 1억 1300만 달러(약 1,300억 원)를 배상하는 조건으로 소비자 사기소송을 합의했다.
자동차 산업에서의 크리플웨어 사례[편집]
- 1. 테슬라(Tesla)의 소프트웨어 제한
테슬라는 Model S의 저가 모델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소프트웨어로 제한하고, Autopilot(자율 주행 기능)을 구매하지 않은 경우 해당 기능을 비활성화한다.
즉, 하드웨어는 동일하지만, 소프트웨어 잠금으로 기능 차별화를 구현했다.
- 2. BMW의 구독제 기능
영국, 독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등지에서 판매되는 고급형 BMW에는 다음과 같은 유료 구독 기능이 존재한다:
- 열선 시트
- 고급 크루즈 컨트롤
- 자동 전조등 전환
해당 기능들은 이미 차량에 하드웨어적으로 탑재되어 있지만, BMW는 소프트웨어 차단을 통해 추가 요금을 청구한다. 이는 "기능을 임대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소비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디지털 권한 관리(DRM)에서의 크리플웨어[편집]
디지털 권한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역시 이와 유사한 제품 차별화 전략의 일종이다. 디지털 파일은 본질적으로 무제한 복제가 가능하지만, DRM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복제나 재생을 제한한다:
- 하드웨어 기반 잠금 (예: 특정 기기에서만 재생 가능)
- 암호화 기술 (예: 스트리밍 서비스의 다운로드 제한)
- 예시:
- 넷플릭스 → 동시 접속 가능 기기 수 제한
- 아마존 킨들 eBook → 복사·공유 기능 제한
- 스팀(게임 플랫폼) → 오프라인 모드에서의 실행 제약
크리플웨어와 다른 소프트웨어 모델 비교[편집]
구분 설명 예시 크리플웨어(Crippleware) 일부 기능이 잠겨 있음 압축 해제만 가능한 압축 프로그램 셰어웨어(Shareware) 제한 없이 사용하지만 일정 기간 후 결제 요구 무료 30일 사용 후 결제 유도 프리웨어(Freeware) 완전 무료로 모든 기능 사용 가능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데모(Demo) 제한된 기능 또는 일부 콘텐츠만 제공 게임 체험판 트라이얼웨어(Trialware) 제한된 기간 동안 전체 기능 제공 14일 동안 전체 기능 제공
크리플웨어의 장단점[편집]
- 장점
- 사용자가 실제 제품을 경험할 수 있어 신뢰감 제공
- 구매 결정을 쉽게 유도할 수 있음
- 초기 비용 없이 시장 침투 가능
- 마케팅 및 바이럴 효과 기대
- 단점
-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이탈할 위험
- 너무 많은 기능 제한은 오히려 반감 초래
- 불법 크랙 버전 유포 위험
- 경쟁 제품으로 쉽게 이동할 가능성
크리플웨어를 사용하는 대표 사례[편집]
- WinRAR: 압축 해제는 무료, 압축 생성은 제한
- Adobe Reader 체험판: 주석 추가나 편집 기능 제한
- 게임 데모 버전: 레벨이나 캐릭터 수 제한
특히 생산성 소프트웨어(워드 프로세서, 디자인툴, 데이터베이스 툴)나, 고가의 전문 소프트웨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각주[편집]
- 이동 ↑ 〈Crripleware〉, 《techopedia》
참고자료[편집]
- "Crippleware", Wikipedia
- "Crripleware", 《techopedia》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