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팔라다인 AI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팔라다인 AI(Palladyne AI, 구 사코스)
팔라다인 AI(Palladyne AI, 구 사코스)

팔라다인 AI(Palladyne AI, 구 사코스)는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드론의 자율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미국 기업이다.

팔라다인 AI는 1983년 사코스(Sarcos Research Corporation)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CEO는 벤 울푸(Ben Wolff)이다. 설립 초기에는 주로 로봇 개발 회사로 알려져 있었다.

2023년 사코스는 로봇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로 방향을 전환하며,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운영을 중단했다. 이후 2024년 3월, 사코스는 회사명을 팔라다인 AI로 변경하였다. 팔라다인 AI는 특히 군사 및 방위 산업에 특화된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Red Cat Holdings의 자회사인 Teal Drones와 협력하여 미 육군 단거리 정찰 프로그램(SRR)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계약을 따냈다.

개요[편집]

팔라다인 AI는 로봇 시스템의 자율성에 초점을 맞춘 소프트웨어 회사이다. 이 회사의 첨단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 소프트웨어는 로봇이 인간 지능과 유사하게 관찰, 학습, 추론 및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팔라다인 AI의 AI 및 ML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로봇이 실제 환경의 변화나 변이를 감지하여 정확히 반응하며 자율적으로 이동 및 물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팔라다인 AI 소프트웨어 솔루션은 로봇 프로그래밍 및 배치에 필요한 막대한 노력을 대폭 줄이며, 산업용 로봇과 협동로봇(cobots)이 동적이거나 복잡한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자율 능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소한의 훈련 시간, 제한된 데이터 세트, 낮은 전력 요구사항으로도 정밀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설계된 이 소프트웨어는 현재의 최첨단 솔루션에 비해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이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항공, 건설, 국방, 일반 제조, 인프라 검사, 물류 및 창고 관리와 같은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UAV), 무인 지상 차량(UGV), 원격 조작 차량(ROV) 등 기존 로봇을 넘어선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자율성을 가능하게 하고, 프로그래밍 복잡성을 줄이며, 효율성을 향상함으로써 Palladyne AI는 한때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작업을 기계가 수행할 수 있는 미래를 열어나가고 있다.

2024년 12월, 팔라다인 AI (NASDAQ: PDYN)는 Palladyne Pilot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으로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하여 타사 소형 드론을 사용하여 최초의 자율 추적 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 플랫폼은 드론의 자동 조종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하는 동안 지상 대상을 식별, 우선순위 지정 및 자율적으로 추적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 발전은 고정 노드와 호버링 드론에서 타겟 식별 및 우선순위 지정에 대한 이전의 성공적인 시연 을 기반으로 한다. 팔라다인 AI는 2025년 1분기 말까지 Palladyne Pilot의 상용화를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전에는 값비싼 무인 시스템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인텔리전스 기능을 보다 경제적인 소형 드론으로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편집]

초기 역사[편집]

사코스(Sarcos Research Corporation)는 1983년 유타 대학교 교수 Stephen Jacobsen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생체공학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었다. 1990년까지 Jacobsen은 테마파크 로봇, 영화 소품용 애니메트로닉스, 작동형 보조기기, 개인 약물 전달 시스템, 다양한 소형화 기술, 조종 가능한 카테터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 관심 분야로 회사의 주된 활동을 확장했다. 그러나 회사의 핵심 역량은 로봇 시스템 개발에 집중되어 있었다.

사코스의 기술은 유니버설 스튜디오 할리우드의 "쥬라기 공원: 더 라이드"에 등장한 실물 크기 로봇 공룡, 라스베이거스 벨라지오 호텔의 분수대 같은 엔터테인먼트 애니메트로닉스, NASA 우주복 테스트 장비, 모터화된 의수 및 의족, 심지어 MEMS 액추에이터 및 센서와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활용되었다.

2001년 사코스는 미국 국방부 산하 DARPA로부터 군사적 용도에 적합한 동력형 외골격을 설계하기 위한 다단계 연구 보조금을 받았다. 2006년 DARPA는 사코스의 설계를 승인했고, 같은 해 이 설계를 기반으로 한 외골격 프로토타입 개발을 시작했다.

2007년 11월, 미국 방산업체 Raytheon은 사코스를 인수하여 로봇 연구 및 생산 사업을 확장하려고 했다. 이후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사코스는 "Raytheon Sarcos"라는 이름으로 Raytheon의 로봇 부서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DARPA 보조금으로 설계된 외골격은 유선 방식으로 작동하여 이동성이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결과적으로 외골격의 제조는 시제품 단계에서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Jacobsen은 Raytheon에 의해 사코스가 인수된 후 2009년에 회사를 떠나 새로운 회사인 Sterling Technologies(현재는 해체됨)를 설립했다. Jacobsen의 퇴사 후 사코스의 오랜 직원이자 매니저였던 Fraser Smith가 Raytheon Sarcos의 사장직을 맡았다.

2015년, Smith와 지적 재산 전략가 Ben Wolff는 컨소시엄을 이끌어 Raytheon으로부터 회사를 인수했다. 이 과정에서 Smith는 CEO로, Wolff는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부터 여러 기업과 기관 투자자들이 사코스의 로봇 외골격 및 조작기를 상업화하기 위한 자금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이 모든 제품은 "Guardian"이라는 제품 라인 이름으로 마케팅되었다.

2021년 9월, 사코스는 Rotor Acquisition Corp.와 합병하여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특수목적 인수회사(SPAC)로 전환되었다. 이 합병으로 인해 사코스는 나스닥 증권 거래소에서 STRC라는 종목 기호로 상장되었다.

2021년 12월, Kiva Allgood가 사코스의 CEO로 임명되었다.

2022년 4월, 사코스는 피츠버그 기반 로봇 회사 RE2, Inc.를 인수했다. RE2는 인수 전에 다양한 산업을 위한 자율 및 원격 조작 모바일 로봇을 개발했으며, 인수 후 이 로봇들은 사코스의 Guardian 제품 라인에 통합되었습니다.

사업 손실과 소프트웨어 회사로의 전환[편집]

사코스는 나스닥 상장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성과가 저조했으며, 280명의 직원으로 운영될 만큼의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2023년 5월, 사코스는 Kiva Allgood 대신 전 Boeing 부사장 Laura Peterson을 임시 CEO로 임명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정식 CEO로 임명했다.

2023년 6월, 사코스는 나스닥의 $1.00 최소 입찰가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1:6 역분할을 시행했다. 같은 해 7월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약 75명의 직원을 감축했다.

그러나 자금 문제는 계속되었고, 사코스는 예상치 못한 낮은 판매 실적에 시달렸다. 2023년 9월, 사코스는 미국 공군으로부터 1,380만 달러 규모의 4년간 Phase II SBIR 계약을 수주하여 Guardian 로봇 제품군에 특화된 AI 및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했다.

2023년 11월, 사코스는 하드웨어 개발 및 생산 활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150명 이상의 직원이 추가로 해고되었으며, RE2의 잔존 직원들도 포함되었다.

2024년 1월, Ben Wolff가 다시 CEO로 임명되었다.

사명 변경[편집]

2024년 3월, Sarcos는 팔라다인 AI(Palladyne AI)로 사명을 변경한다고 발표했으며, 2024년 4월부터 종목 기호를 STRC에서 PDYN으로 변경했다. 회사의 발표에 따르면, 이 이름 변경은 2020년부터 개발 중이던 AI 및 머신러닝 소프트웨어의 상업화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주요 특징[편집]

  • 군사 및 방위 산업 특화 기술
  • 로봇과 드론의 자율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 티얼 드론즈와의 협력을 통한 미육군 단거리 정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계약 체결

기술 특징[편집]

팔라다인 AI의 자율 기술은 단순한 로봇 동작 제어를 넘어서는 고도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실제 환경에서의 랜덤한 상황 학습 및 반응 능력
  • 드론의 자율 비행 수행
  • 목표 추적 및 추종 기능
  • 지상 표적 식별 및 우선순위 지정
  • 자동 조종 소프트웨어와의 연결

주요 제품[편집]

Palladyne™ IQ[편집]

Palladyne™ IQ는 산업용 로봇 및 협동 로봇(cobots)을 위한 인간 수준의 추론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기술을 활용하는 닫힌 클로즈드 루프(closed-loop) 자율 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로봇이 실제 환경의 변화와 변동을 인식하고 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기존에는 자동화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주요 특징 및 이점[편집]

핵심기능
  • 관찰 (Observe):
  • 고급 지각 및 관찰 기술로 상황 인식을 향상.
  • 비전, LiDAR, 레이더, 음향 등 다양한 센서 입력 활용.
  • 멀티 모달 센서 융합(Multi-Modal Sensor Fusion)으로 센서 차단 및 잡음에 강한 지각 구현.
  • 학습 (Learn):
  • 최소 1~5회의 데모만으로 새로운 작업을 학습.
  • 복잡한 작업 조합을 유연하게 학습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
  • 추론 (Reason):
  • AI 기반의 인간 수준 추론을 통해 최적의 행동 결정.
  • 예기치 않은 상황에 실시간으로 적응하며 동작 계획 수립.
  • 행동 (Act):
  • 정밀한 로봇 제어 및 작업 수행.
  •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정확하게 복잡한 작업 완료.
유연한 작업 모델 훈련
  • 데모 기반 훈련을 통해 기존 방식보다 간소화된 작업 학습 및 배포 지원.
  • 3D 장면(포인트 클라우드)에서 객체를 로컬화하여 조작 최적화.
산업 전반에 호환 가능
  • 대부분의 산업용 로봇 및 협동 로봇과 상호 호환성 보장.
  • 상업적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설계.
주요 이점
  • 유연성과 자율성 향상: 동적 환경에서도 로봇이 변동 및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 장애물을 극복하고 상황 변화에 적응하여 가동 시간을 극대화.
  • 훈련 및 배포 간소화: 저코드/노코드 데모 기반 패키지를 활용해 빠른 로봇 훈련 가능. 기존 시스템의 새로운 작업 학습 및 재배치 과정 단축.
  • ROI 극대화: 기존 로봇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작업 및 부품 처리 가능. 운영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 절감 및 생산 다운타임 최소화.

적용 사례 및 산업[편집]

적용 사례
  • 하위 조립.
  • 픽 앤 플레이스(정렬, 키팅, 부품 시퀀싱).
  • 조립 라인 품질 검사.
  • 유지보수 및 수리 정비(MRO)를 위한 정밀 부품 청소.
  • 표면 준비를 위한 미디어 블라스팅.
적용 산업
  • 산업 제조.
  • 국방.
  • 자동차.
  • 항공우주 및 항공.
  • 건설.
  • 인프라 유지보수 및 수리.
  • 에너지.

Palladyne IQ 핵심 아키텍처[편집]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 엣지 컴퓨팅에서 AI/ML 기능 제공 및 닫힌 루프 자율 프레임워크 호스팅.
  • Palladyne IQ 핵심 라이브러리와 알고리즘 포함.

Palladyne™ Pilot AI 소프트웨어 플랫폼[편집]

드론 기반 임무는 상황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역할과 교대 근무가 필요한 인력 집약적인 작업이다. 특히 전술용 UAV(무인항공기)는 수동 제어, 실시간 의사결정, 그리고 고도로 가변적인 환경에서 지속적인 타겟 추적과 같은 과제를 직면하고 있다. Palladyne Pilot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협업 드론 네트워크와 멀티모달 센서를 활용하여 전술 UAV 임무의 운영 효과와 감독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정보 수집, 감시 및 정찰(ISR)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제공한다.

Palladyne Pilot이 제공하는 임무 지원
  • 자율 운영 강화
  • UAV를 자율적으로 협력하는 플랫폼으로 변환하여 임무 제어에 필요한 인력을 줄인다.
  • 향상된 상황 인식을 위한 고급 감지
  • 내부 및 외부 센서(비전, LiDAR, 레이더, 음향 입력 등)를 활용하여 환경에 대한 감지 능력을 강화한다.
  • 멀티소스, 멀티모달 정보를 통해 센서 가림 및 노이즈 문제를 완화하여 감지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 높은 변동성이 있는 동적 환경에서 타겟 탐지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하며, 센서 매개변수를 적응적으로 제어한다.
  • 지속적인 타겟 추적
  • UAV별 센서 매개변수를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시야(Field of View)를 유지하고, 제한된 통신 대역폭에서도 협력하여 모든 관심 대상 타겟의 추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 다중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활용해 타겟의 세부 정보를 구별(예: 색상, 모양, 마킹)하는 능력을 강화한다.
  • 동적 학습 및 멀티모달 센서 융합
  • 엣지 컴퓨팅을 통해 실시간 학습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지속적인 타겟 추적과 자산 상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 다양한 정보 스트림을 단일한 일관된 보기로 결합하여 상황 인식을 향상시킨다.
  • 지능형 협력 및 정보 공유
  • UAV가 자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임무 목표를 협력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엣지에서 빠른 이상 탐지 및 실시간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 타겟 추적 할당을 개선하여 타겟이 일시적으로 가려져도 최적의 성능을 유지한다.
  • 자율 팀 협력
  • 저대역폭 정보를 플랫폼 간 및 UAV 운영자와 교환하도록 설계(고대역폭 비디오 또는 원시 센서 데이터는 아님)하여 전력 소비를 관리하고, ISR을 포함한 응용 분야에서 협력 드론과 센서 네트워크를 자율적으로 조율한다.

2024녀 12월, Palladyne™ Pilot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지상의 관심 대상을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정한 다음 드론의 자동 조종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하여 우선순위가 정해진 대상을 자율적으로 추적하는 능력을 입증한 타사 소형 드론의 성공적인 첫 비행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Palladyne Pilot을 사용한 첫 자율 비행은 표적을 추적하고 따라갈 수 있었으며, 알고리즘과 기계가 뛰어난 기능을 자동화하면서도 궁극적인 제어권은 인간의 손에 맡기는 방식으로 AI 플랫폼이 얼마나 강력한지 성공적으로 보여주었다. Palladyne Pilot의 상용화를 완료하면(2025년 1분기 말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 소형 경제형 드론이 마침내 수년간 수백만 달러짜리 대형 무인 시스템이 제공해 온 것과 동일한 지능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사코스 '가디언 XO'[편집]

가디언 XO

팔라다인 AI 전신인 사코스로보틱스가 20년 동안 로봇개발에 투자해 탄생시킨 상업용 웨어러블 로봇이다. 사코스 로보틱스는 지난 2000년 이후 미 국방성 산하 DARPA(고등방위계획국)의 지원을 받아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추진해왔으며, 마이크로소프트, GE 등의 투자를 받아 ‘가디언 XO’을 본격적으로 개발해왔다.

사코스 로보틱스 엔지니어는 로봇의 기능을 인간의 능력과 통합함으로써 공상과학 영화의 대담한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해 냈으며, 인체를 20배 강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외골격 로봇을 만들어냈다.

가디언 XO는 몸 전체에 걸쳐 착용하는 전신형 로봇으로 24 자유도를 가져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최대 200파운드(90kg)의 짐을 큰 힘들이지 않고 들어올릴 수 있으며, 배터리를 장착한 후 최대 8시간 동안 작업이 가능하다. 배터리는 방전시 언제든 교환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도 배터리를 손쉽게 교체해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사코스 로보틱스측은 가디언 XO 로봇이 기존의 인력을 대체하기 보다는 인간의 지능과 본능, 반사 신경, 판단력을 활용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로봇임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 외골격 로봇의 경우 탈착에 적지 않은 시간이 들어가는데 반해 가디언 XO는 사용자가 탈착법을 배우면 몇 분만에 탈착할 수 있다.

현재는 모든 하드웨어 관련 작업을 중단했다.

동영상[편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팔라다인 AI 문서는 인공지능 기업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