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허강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 위치

허강시(중국어: 鹤岗市 hè gǎng shì)는 중국 헤이룽장성 동부에 위치해 있는 지급시이다. [1][2]

개요[편집]

허강시의 면적은 14,679.88km²이며 인구는 891,300명(2020)이다. 샤오싱안령(小兴安岭, 소흥안령)과 싼장평원(三江平原, 삼강평원)의 완충지대에 있으며 동부 및 남부는 쑹화강(松花江, 송화강)을 사이에 두고 푸진시(富锦市, 부금시), 자무쓰시(佳木斯市, 가목사시)와 서로 마주하며 서부 가장자리는 샤오싱안령(小兴安岭, 소흥안령)과 이춘시(伊春市), 북부는 러시아와 228㎞의 국경선을 마주하고 있다.

시 인민 정부는 싱산구(兴山区, 흥산구)에 소재하며 행정구획은 싱산구(兴山区, 흥산구), 샹양구(向阳区, 향양구), 궁눙구(工农区, 공농구), 난산구(南山区, 남산구), 싱안구(兴安区, 흥안구), 둥산구(东山区, 동산구)의 6개 시할구(市辖区)와 뤄베이현(萝北县, 나북현), 쑤이빈현(绥滨县, 수빈현)의 2개 현으로 이루어져있다.

허강시는 중국 국무원이 승인한 헤이룽장성 동부 지역의 중심 도시 중 하나로, 중요한 에너지 산업 도시이다. 허강시는 중·몽·러 경제회랑에 위치하며, 헤이룽장성의 중요한 국경 도시이자 국가의 대러시아 개방의 교두보 역할을 한다. 시는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계강(大界江), 대삼림(大森林), 대빙설(大冰雪), 대습지(大湿地), 대농업(大农业), 대광산(大矿山), 대석림(大石林) 등 원시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다.

헤이룽장성의 10대 관광지 중 하나인 룽장 싼샤(龙江三峡), 3개의 국가급 원시림 공원, 국가 지질 공원인 광산 공원, 헤이룽장 유역 박물관, 명산 관광 명진, 태평구(太平沟) 황금 고진(古镇), 진딩산(金顶山) 석림, 갈대밭 습지 등 명소를 갖추고 있다. 또한 "다섯 개의 호수와 한 개의 강"으로 이루어진 습지 경관이 있다. 흑하시는 흑수여진(黑水女真)의 고향이자 만주 황족의 발상지로, 청금(清金) 문화가 모여 있는 지역이다.

허강시(鹤岗市, 학강시)는 중국의 중요한 석탄 생산기지의 하나로 경내에 국가 대형기업인 허강집단(鹤矿集团, 학강집단)이 있다.

20세기 석탄 채굴 덕분에 광산 도시로 성장하였다. 다만 탄광 산업이 쇠락하면서 허강시도 내리막길을 걷는 중이다. 한국으로 치면 태백시, 정선군, 영월군 비슷한 곳이다. 중국 최초의 재정중정(영어로 치면 모라토리엄 비슷하다.) 선언한 지방정부라는 딱지가 붙을 정도. 다만 중국답게 중심지 인구는 아직도 상당해서 아직 쇠락의 수준은 그 정도는 안되는 수준이다.[3][4][5]

자연환경[편집]

허강시는 지형이 서북부가 높고 동남부가 낮으며, 삼강 평원(三江平原)에서 샤오싱안링 산지로 이어지는 뚜렷한 상승 지대에 위치한다. 시 전체는 저산 구릉, 완만한 구릉, 평원, 계곡 및 하천 범람원으로 나뉜다. 시 구역의 지세는 서북부에서 동남부로 기울어져 있으며, 서북부는 산지로 면적이 3300제곱킬로미터로 시 구역 전체 면적의 72%를 차지하며, 시 전체 산림이 집중된 지역이다. 주요 산으로는 샤오바이산(小白山, 해발 1022m), 지에팡산(解放山, 해발 964m), 베이잉산(北影山, 해발 897m), 모톈링(摩天岭, 해발 846m), 진딩산(金顶山, 해발 840m) 등이 있으며, 해발 200m 이상의 산봉우리가 34개 있다. 주요 강으로는 우퉁허(梧桐河), 허리허(鹤立河), 아링다허(阿凌达河), 자인허(嘉荫河) 등 18개의 강이 있으며, 서북에서 동남으로 흐른다. 자인허는 헤이룽장 수계에 속하며, 나머지는 모두 쑹화강 수계에 속한다. 시 구역 남부는 구릉과 완만한 언덕으로, 동남부는 삼강 평원의 가장자리로 평탄하고 넓으며, 농업이 주로 분포한다. 평균 해발은 약 80m이다.

주요 강으로는 자인허, 두루허(嘟鲁河), 푸야허(蒲鸭河) 등이 있다. 수이빈현(绥滨县)은 뤄베이현 동쪽에 위치하며, 쑹화강과 헤이룽장이 교차하는 삼강 평원에 자리하고 있다. 현 경내에는 산과 구릉이 없으며, 지세는 평탄하고 해발 52~63m이다. 주요 강으로는 푸야허, 완옌허(婉蜒河), 아오라이허(敖来河)가 있으며, 바이룽파오(白龙泡), 촨퉁파오(串通泡), 다자파오(大架泡) 등 크고 작은 늪지도 있다.

허강시는 북온대 대륙성 몬순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3.8℃이다. 최고 극단 온도는 37.7℃이며, 최저 극단 온도는 –34.5℃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651.5mm이며, 연평균 무상기일은 147일이다. 연평균 적산 온도는 2471.1℃이다. 주요 기후 특징으로는 겨울이 춥고 길며, 강수량의 시간적·공간적 분포가 불균형적이다. 봄에는 강수량이 적고 강풍이 많으며, 기온 변화가 급격하다. 여름에는 비와 더위가 겹치고, 가을에는 강수량이 적으며 기온이 빨리 내려가고 첫 서리가 일찍 찾아온다.

허강시는 지표수와 지하수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다. 수역 면적은 10만 9500헥타르에 달하며, 흑룡강과 쑹화강이라는 두 개의 경계 강과 크고 작은 하천 112개가 있다. 연평균 유량은 30억 5000만 입방미터이며, 시 전체의 이용 가능한 수자원 총량은 26억 7500만 입방미터이다. 이 중 이용 가능한 지표수 자원은 7억 1800만 입방미터, 이용 가능한 지하수 자원은 19억 5700만 입방미터이며, 지역 내에 12개의 저수지가 있다.

허강시는 인삼, 오미자, 구기자, 가시오가피, 황기 등 80여 종의 비교적 귀한 산약초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평균 수집량은 약 3만 킬로그램에 달한다. 또한 고사리, 산꽃나물, 야생 당귀 등 40여 종의 산야채 자원과 산머루, 산포도, 잣, 개암 등 20여 종의 산야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매년 약 10만 킬로그램 이상의 흑목이버섯과 수십만 킬로그램의 버섯이 생산된다. 시 전체에는 각종 초지가 10만 헥타르가 있으며, 이는 시 총 면적의 6.8%를 차지한다. 이 중 이용 가능한 방목 및 목초지 면적은 5만 3300헥타르이며, 이미 방목 및 채초에 활용된 면적은 1만 2000헥타르이다.

허강시는 헤이룽장성의 중요한 임업 지역이자 목재 생산지 중 하나이다. 시 행정구역 내에는 총 85만 헥타르의 임야가 있으며, 이는 흑하시 면적의 58%를 차지한다. 산림의 축적량은 5257만 입방미터이며, 연간 목재 생산량은 약 27만 입방미터이다.

허강시는 산지 면적이 넓고 동식물 자원이 풍부하다. 광대한 산지와 임야에는 사슴, 사향노루, 멧돼지, 불곰, 오소리, 노루, 담비, 두루미 등 30여 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연간 약 25만 킬로그램의 꿀 자원이 있으며, 시 전체 수면 자원은 10만 9500헥타르로 시 총 면적의 7.4%를 차지한다. 어업용 수면은 5만 무(약 3333헥타르)에 달하며, 연간 어류 생산량은 6276톤이다. 이 중 천연 어획량은 696톤, 양식 어획량은 5580톤이다. 양식 어종으로는 잉어, 백련어, 흑련어, 초어, 붕어 등 5종이 주를 이룬다. 강과 하천 수역에는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며, 잉어과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연어과, 철갑상어과, 개과 어류는 일부 지역에만 분포한다. 주요 어종으로는 백연어, 초어, 꺽지, 철갑상어, 황어, 연어뿐만 아니라 오화, 변화, 붕어, 절로, 팔로 등이 있다. 철갑상어와 황어의 연간 생산량은 약 15톤이며, 어란 생산량은 연간 200킬로그램을 넘는다.

허강시는 광물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며, 이미 발견된 광물 자원은 30종에 이른다. 여기에는 석탄, 층탄가스, 우라늄, 암금, 사금, 철, 구리, 베릴륨, 납, 니켈, 석면, 사문암, 흑연, 규선석, 백운모, 백운암, 황옥, 망간광, 제올라이트, 대리암, 진주암, 현무암, 화강암, 유리용 석영맥, 점토암, 토탄, 벽돌용 점토, 건축용 모래, 광천수, 지하수 등이 포함된다. 이는 헤이룽장성에서 발견된 광물의 22.9%에 해당한다. 이미 탐사된 광물은 24종으로, 이는 헤이룽장성에서 탐사된 광물의 31.17%를 차지한다. 석탄, 흑연, 시멘트용 대리암이 주요 광물 자원이다.

역사[편집]

허강 일대는 주대에는 숙신, 한위대에는 읍루의 거주지이며, 당대에는 발해에 의해 흑수도독부가 설치되었고 요대에는 여진 5국부에, 금대에는 호리개로, 원대에는 수달달로, 명대에는 누르칸도사, 청초에는 호란부도의 관할지였다.

1906년에 탕원현이 설치되면서 학강 지구는 탕원현의 관할이 되었다. 1908년에 학강현을 설치하려 했지만 인구가 희박해 취소되었다. 그러나 1914년에 석탄이 발견되면서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했고, 1926년에는 탄광에서 연강구(蓮江口)까지 철도가 개통하면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광산진으로 불리게 되었다. 1929년 3월, 중화민국은 싱산 현을 설치했다.

만주국이 건국되면서 1938년에 싱산 진은 싱산 가로 개칭되었고 1944년 1월에 허강 가로 개편되었다.

전후 싱산 진이었지만, 1945년 12월 20일에 헤이룽장성 정부는 싱산진을 시로 승격시켰고, 1949년 11월 24일에 허강시로 개칭하였다.

산업[편집]

주요 산업은 3차산업으로, 그다음 1차산업과 2차산업이 뒤를 잇는다. 1차산업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곡물재배. 그중에서도 옥수수 재배로, 2019년 기준 185만 2,900톤을 생산하였다.

헤이룽장성의 도시들이 다 그렇지만 이 도시도 석탄을 비롯한 광물에 의해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는 과거의 이야기로, 현재 허강시의 광업은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다. 광업 및 정제산업을 다 합치면 2019년 기준 25%나 하락하는 등 허강시에서 더 이상 광업은 경제에 별 영향을 못 끼치며, 대신 국경도시라는 점을 이용해서 금융산업을 육성하는 중이다.

하지만 금융산업의 육성이 기대에 못미친지라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피하지 못했고, 고임금 일자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도 을씨년스러운 풍경을 종종 볼 수 있다. 하도 인구가 빠져나가다 보니 허강시 집 주인들도 난방비만 내주면 월세비를 받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할 정도다. 집값도 중국에서 가장 싼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히며, 웬만한 농민공이나 알바생 1년치 급여만 모아도 소형 아파트 1채는 거뜬히 살수있다는 말이 나올지경이다.

교통[편집]

고속철도는 지나지 않지만 대신 허강철도(鹤岗铁路)와 허베이철도(鹤北铁路)가 관내를 지나며, 하얼빈에서 허강역까지 철도운행을 하는 중이다. 공항은 없으며 항공교통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은 주로 자무쓰를 통해서 들어온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허강시〉, 《위키백과》
  2. 이동 허강시〉, 《나무위키》
  3. 이동 중국행정구획총람: 허강시〉, 《네이버 지식백과》
  4. 이동 두산백과: 허강〉, 《네이버 지식백과》
  5. 이동 鹤岗市〉, 《百度百科》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허강시 문서는 중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