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홍조류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조류-우뭇가사리

홍조류(紅藻類)는 엽록소 외에 홍조소와 남조소를 함유하고 있어 붉은빛 또는 자줏빛을 띤 해조이다. 은 대개 다세포로 실 모양이나 잎 모양을 이루어 사분 홀씨 또는 유성 생식에 의하여 번식한다. 김, 우뭇가사리, 해인초, 불등풀가사리 따위가 있다.[1]

개요[편집]

홍조류(紅藻類)는 조류로 분류되는 원생생물의 한 갈래로, 전 세계에 약 600속의 2,0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모두 분홍색이나 암홍색 색소체를 가지며, 광합성 작용에 의해 홍조 녹말을 만든다. 대부분은 바다 속에서 자라지만, 이 밖에 민물이나 축축한 흙 표면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한편, 몇 속의 단세포인 것을 제외하면 거의가 다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수 mm에서 수십 mm에 이른다. 몸은 실 · 잎 · 나뭇가지 모양 또는 그물코 모양으로 된 것도 있다. 대부분 부드러운 것이 많으나, 산호말류처럼 세포벽 사이에 탄산칼슘이 축적되어 돌처럼 딱딱하게 된 무리도 있다.[2]

특징[편집]

홍조식물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핵 · 엽록체 · 미토콘드리아 · 액포 등의 분화된 세포 기관을 가진다(진핵생물).
  • 분홍색이나 암홍색 등의 엽록체를 가지는데, 여기에는 엽록소 a나 엽록소 d 및 홍조소와 남조소 등의 피코빌린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 광합성 결과 체내에 저장되는 동화 물질은 홍조 녹말이다.
  • 유성 생식은 난자정자에 의한다.
  • 생식 세포에는 편모가 없어서 헤엄을 칠 수가 없다.

김이나 풀가사리 무리처럼 얕은 바다에서 생육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홍조식물은 간조선보다 더 깊은 곳에서 자란다. 특히, 우뭇가사리는 약 10m 정도의 깊은 곳에서 많이 자라며, 이 밖에 100m 이상의 깊은 곳에서 자라는 종류도 매우 많다. 홍조식물이 이렇게 깊은 곳에서 자랄 수 있는 것은 체내에 있는 홍조소가 약 0.5mμ 부근의 단파장 빛을 광합성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빛은 바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적색 · 주황색 · 황색 · 자색 · 남색 · 녹색 · 청색의 순서로 흡수되므로,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될 수 있는 것은 청색과 녹색이다. 따라서, 홍조식물은 깊은 바다에 위치하면서 자신의 몸 빛깔과 보색 관계에 있는 청색이나 녹색빛을 광합성에 이용한다. 한편, 얕은 곳에서 자라는 진두말 등은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므로, 홍조식물이 아니라고 생각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적색이나 황색의 장파장 빛을 광합성에 잘 이용한 결과 녹색 엽록소량은 늘어난 반면 홍조소는 감소된 보색 적응 현상 때문이다.[2]

종류[편집]

탄산칼슘을 분비하고 산호초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호말류가 여기에 속한다. 덜스(dulse)라 불리는 Palmaria palmata와 김과 같은 홍조류는 한천, 카라기닌, 기타 식품 첨가물 등과 같이, 유럽아시아 요리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료이다.

키아니디움목의 단세포 생물은 호열호산성 생물로서, 유황 온천 및 기타 산성 환경에서 발견된다. 나머지 분류군은 해양 및 담수 환경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홍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해양생물로서, 특정 색소(피코에리트린, 홍조소)의 지배적인 역할로 인해 다른 해조류에 비해 더 깊은 곳에서 발견된다. 일부는 모래 해안에서 발견되는 반면, 대부분의 홍조류는 암석 기층에서 발견된다. 담수 종은 홍조류의 5%를 차지하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맑은 물과 암석이 있는 깨끗한 흐름을 좋아하지만 예외가 있는데, 몇몇 담수 종은 바닥이 모래로 덮여 있는 더러운 물에서 발견되며 심지어 어떤 종은 더 깨끗한 물에서도 발견된다. 해양 및 담수 종 분류의 경우, 모두 자유롭게 사는 거대 조류(macroalgal)형태와 내부/착생/동물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다른 조류, 식물동물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는 기생 생활 방식을 채택했으며 이는 보다 밀접하게 관련된 또는 덜 밀접하게 관련된 홍조류 숙주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 우뭇가사리: 홍조식물문 우뭇가사리목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며 다년생으로 3 ~ 4년 정도를 산다. 제주도 전 연안의 조간대 하부 및 얕은 조하대에 서식한다. 제주에서는 천초라고도 하며 산업적으로, 식용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해조류이다. 제주 지역 마을 어장에 있어 중요 소득원이며 말린 우뭇가사리는 제과 및 생물공학 산업에 쓰인다. 최근 들어 우뭇가사리를 원료로 한 종이가 한국내 기업에 의하여 개발되기도 하였다.
  • 지누아리: 홍조류 지누아리목 지누아리과에 속하며 주로 조간대 하부 조수 웅덩이나 얕은 조하대 암반에 붙어 서식한다. 식용하기도 한다.
  • 풀가사리류: 홍조식물문 지누아리목 풀가사리과에 속한다. 다른 해조류와 달리 수분이 부족한 조간대 상부의 암반에 붙어 서식하며 식용한다.[3]

활용[편집]

식용
  • 김(Porphyra) → 대표적인 홍조류 식품 (김밥용 김, 조미김)이다.
  • 한천(Agar, Gelidium, Gracilaria) → 양갱, 젤리, 푸딩 등에 사용된다.
  • 돌가사리(Chondrus, Mastocarpus) → 카라기난 성분이 있어 식품 첨가제로 사용한다.
산업적 이용

홍조류에서 추출한 한천(agar)과 카라기난(carrageenan)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된다.

  • 한천(Agar) → 미생물 배양, 제과 · 제빵, 화장품 원료이다.
  • 카라기난(Carrageenan) → 아이스크림, 우유, 화장품, 의약품 등에 점성을 높이는 첨가물로 사용한다.
환경적 역할
  • 홍조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산소 공급원 역할을 한다.
  • 석회화 홍조류(Coralline algae)는 산호초와 해양 생물 서식지 형성에 기여한다.

생태적 역할[편집]

  • 1차 생산자로서의 역할: 홍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며, 이는 해양 생물들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본 요소이다.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의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기초를 이룬다.
  • 서식지 제공: 홍조류는 다양한 해양 생물들에게 서식지와 은신처를 제공한다. 특히 산호초와 유사한 홍조류로 알려진 석회홍조는 산호초 형성에 기여하며, 이는 해양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 해양 환경 조절: 홍조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며, 지구탄소 순환과 해양 환경의 균형 유지에 기여한다.
  • 연안 지역 보호: 석회홍조 등 일부 홍조류는 해안 지역의 침식을 방지하고 파랑을 완화하여 연안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이동 홍조류〉, 《네이버 국어사전》
  2. 이동: 2.0 2.1 홍조식물〉, 《위키백과》
  3. 이동 홍조류〉, 《해양학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홍조류 문서는 식물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