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vosxja1313 (토론 | 기여) (새 문서: '''레버리지'''<!--레버리지-->(Leverage)는 '지레'라는 의미다. 금융 시장에서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을 끌어다가 자산...) |
vosxja1313 (토론 | 기여)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수익이 차입비용보다 많다면 레버리지가 문제가 되지 않다. 그러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레버리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손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손실을 내면 20%의 투자손실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손실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손실률은 50%가 된다. | 수익이 차입비용보다 많다면 레버리지가 문제가 되지 않다. 그러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레버리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손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손실을 내면 20%의 투자손실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손실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손실률은 50%가 된다. | ||
+ | |||
+ | == 종류 == | ||
+ | |||
+ | === 영업레버리지 === | ||
+ | |||
+ | 영업레버리지는 기업의 영업활동 시 발생하는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했을 때, 영업비용 내의 고정비용을 의미한다. 생산수준이 높고 매출액에 대한 고정비용의 비율이 작을수록 생산량의 변화에 따르는 이익의 변동률은 작아지게 되므로 기업의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영업레버리지가 높은 경우 매출액이 변할 때 영업이익은 매출액이 변하는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변하는데 이를 영업레버리지 효과라고 부른다. | ||
+ | |||
+ | ==== 영업레버리지도 ==== | ||
+ | |||
+ | 영업레버리지도(DOL)는 매출액의 변화율에 대한 영업이익의 변화율로 영업레버리지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 ||
+ | |||
+ | \text{DOL} = \frac{\text{영 업 이 익 의 변 화 율}}{\text{매 출 액 의 변 화 율}} = | ||
+ | \frac\frac{\Delta\text{EBIT}}{\text{EBIT}}\frac{\Delta\text{Q}}{\text{Q}} = \frac{\text{TR-VC}}{\text{TR-VC-FC}} | ||
+ | |||
+ | === 재무레버리지 === | ||
+ | |||
+ | 재무레버리지는 기업이 자본조달을 위해 타인자본을 사용할 때 생기는 재무고정비인 이자비용의 부담 정도를 의미한다. | ||
{{각주}} | {{각주}} |
2019년 8월 1일 (목) 10:52 판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레'라는 의미다. 금융 시장에서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이다. 지레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듯이 타인의 자본을 지레로 삼아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것을 레버리지라고 부른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레버리지(leverage) 대신 기어링(gearing)이라고 부른다.
개요
레버리지는 사전적인 의미로 물리역학의 '지레'를 의미한다. 지레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처럼, 타인의 자본을 지레로 삼아 적은 자본을 가지고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투자전략이다. 경기가 호황일 때 효과적인 투자법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과 금리로 자금을 끌어와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하면 조달 비용을 갚고도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수익을 얻으면 20%의 투자수익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수익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50%가 되어 실제 가격변동률 20%의 2.5배가 된다.
이익을 볼 때와 마찬가지로 손해를 볼 때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된다.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정(+)의 레버리지 효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부(-)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한다.[1]
수익이 차입비용보다 많다면 레버리지가 문제가 되지 않다. 그러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레버리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손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손실을 내면 20%의 투자손실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손실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손실률은 50%가 된다.
종류
영업레버리지
영업레버리지는 기업의 영업활동 시 발생하는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했을 때, 영업비용 내의 고정비용을 의미한다. 생산수준이 높고 매출액에 대한 고정비용의 비율이 작을수록 생산량의 변화에 따르는 이익의 변동률은 작아지게 되므로 기업의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영업레버리지가 높은 경우 매출액이 변할 때 영업이익은 매출액이 변하는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변하는데 이를 영업레버리지 효과라고 부른다.
영업레버리지도
영업레버리지도(DOL)는 매출액의 변화율에 대한 영업이익의 변화율로 영업레버리지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text{DOL} = \frac{\text{영 업 이 익 의 변 화 율}}{\text{매 출 액 의 변 화 율}} = \frac\frac{\Delta\text{EBIT}}{\text{EBIT}}\frac{\Delta\text{Q}}{\text{Q}} = \frac{\text{TR-VC}}{\text{TR-VC-FC}}
재무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는 기업이 자본조달을 위해 타인자본을 사용할 때 생기는 재무고정비인 이자비용의 부담 정도를 의미한다.
각주
참고자료
- 〈레버리지〉,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