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 | |} | ||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공개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행동(Actions)이 다 공유되어 추적이 가능하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암호화폐 수량, 서버 사양 등)만 갖춘다면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있다.<ref name="토큰포스트">〈[https://www.tokenpost.kr/terms/5822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ref> |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공개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행동(Actions)이 다 공유되어 추적이 가능하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암호화폐 수량, 서버 사양 등)만 갖춘다면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있다.<ref name="토큰포스트">〈[https://www.tokenpost.kr/terms/5822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ref> | ||
+ | |||
+ | 퍼블릭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내역 모두에게 공개 되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을 검증한다.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누구나 블록 후보를 만들어 제출하고 분산합의를 통해 하나의 블록을 선정하여 신뢰할 수 있는 블록으로 인정받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블록을 공유해야하는 시간이 있고 너무 많은 블록이 동시에 만들어 지면 하나의 블록을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블록 생성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의 경우 약 10분 마다 하나의 블록을 생성하고 이더리움의 경우 약 12초 마다 하나의 블록을 생성한다. 네트워크에 공유되는 시간을 고려했을때 이더리움에서 내가 보낸 트랜잭션 결과를 확인하려면 약 1~2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 R3에 제출한 이더리움 보고서에 따르면 현 이더리움의 TPS(Transaction Per Second)는 약 10tps이고 비트코인의 경우 약 7tps이다. 즉각적인 처리가 필요한 금융권 서비스에는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수준이다. | ||
+ | |||
+ |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채택하고 있는 분산합의 알고리즘으로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이나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을 사용하려면 내부 화폐가 필요하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의 분산합의 목표는 결국 거래 내역을 검증하여 신뢰할 수 있는 블록을 만들 수 있는 노드를 선택하는 것이고 이러한 수고를 하는 대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채굴(mining)이라고 알려진 과정이 이러한 과정이다. 또한 작업증명의 경우는 쓸모없는 컴퓨팅 파워를 많이 사용하는 친환경이지 않은 문제도 있다.<ref>theloop, 〈[https://blog.theloop.co.kr/2017/02/02/%ED%8D%BC%EB%B8%94%EB%A6%AD-%EB%B8%94%EB%A1%9D%EC%B2%B4%EC%9D%B8%EC%9D%98-%ED%95%9C%EA%B3%84%EC%99%80-%ED%94%84%EB%9D%BC%EC%9D%B4%EB%B9%97-%EB%B8%94%EB%A1%9D%EC%B2%B4%EC%9D%B8-1/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1]〉, 《아이콘루프》, 2017-02-02</ref> |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프라이빗 블록체인== | ||
41번째 줄: | 45번째 줄: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https://www.tokenpost.kr/terms/5822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 | * 〈[https://www.tokenpost.kr/terms/5822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 | ||
+ | * theloop, 〈[https://blog.theloop.co.kr/2017/02/02/%ED%8D%BC%EB%B8%94%EB%A6%AD-%EB%B8%94%EB%A1%9D%EC%B2%B4%EC%9D%B8%EC%9D%98-%ED%95%9C%EA%B3%84%EC%99%80-%ED%94%84%EB%9D%BC%EC%9D%B4%EB%B9%97-%EB%B8%94%EB%A1%9D%EC%B2%B4%EC%9D%B8-1/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1]〉, 《아이콘루프》, 2017-02-02 | ||
2019년 9월 9일 (월) 15:26 판
앵커링(anchoring)이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의 해시값을 주기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안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한다. 앵커(anchor)란 사전적 의미로 배가 정박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내리는 '닻'을 의미하며 '앵커링'은 "닻을 내리다" 또는 "닻을 내리기 위해 고정한다"는 뜻이다.
블록체인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해커의 공격으로 내용이 위변조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위변조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앵커링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 데이터 또는 블록 데이터의 해시값을 주기적으로 비트코인 등 퍼블릭 블록체인의 거래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요
퍼블릭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 프라이빗(컨소시움) 블록체인 | |
---|---|---|
읽기 권한 | 누구나 열람 가능 | 허가된 기관만 열람 가능 |
거래 검증 및 승인 |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하면 거래 검증 및 승인을 수행 |
승인된 기관과 감독 기관 |
트랜잭션 생성자 | 누구나 트랜잭션을 생성 | 법적 책임을 지는 기관만 참여 |
합의 알고리즘 | 부분 분기를 허용하는 작업증명이나 지분증명 알고리즘 |
부분 분기를 허용하지 않는 BFT계열의 합의 알고리즘 |
속도 | 7~20TPS | 1000TPS 이상의 고성능 |
권한 관리 | 누구나 모두가 모든 일을 할 수 있음 |
Private Channel, Tierd System 등을 통해 읽기, 쓰기 권한 관리가 가능 |
예시 | 비트코인, 이더리움 | IBM Fabric, LoopChain, R3 Corda |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공개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행동(Actions)이 다 공유되어 추적이 가능하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암호화폐 수량, 서버 사양 등)만 갖춘다면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있다.[1]
퍼블릭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내역 모두에게 공개 되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을 검증한다.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누구나 블록 후보를 만들어 제출하고 분산합의를 통해 하나의 블록을 선정하여 신뢰할 수 있는 블록으로 인정받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블록을 공유해야하는 시간이 있고 너무 많은 블록이 동시에 만들어 지면 하나의 블록을 선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블록 생성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다. 비트코인의 경우 약 10분 마다 하나의 블록을 생성하고 이더리움의 경우 약 12초 마다 하나의 블록을 생성한다. 네트워크에 공유되는 시간을 고려했을때 이더리움에서 내가 보낸 트랜잭션 결과를 확인하려면 약 1~2분 정도 기다려야 한다. R3에 제출한 이더리움 보고서에 따르면 현 이더리움의 TPS(Transaction Per Second)는 약 10tps이고 비트코인의 경우 약 7tps이다. 즉각적인 처리가 필요한 금융권 서비스에는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수준이다.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채택하고 있는 분산합의 알고리즘으로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이나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을 사용하려면 내부 화폐가 필요하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의 분산합의 목표는 결국 거래 내역을 검증하여 신뢰할 수 있는 블록을 만들 수 있는 노드를 선택하는 것이고 이러한 수고를 하는 대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채굴(mining)이라고 알려진 과정이 이러한 과정이다. 또한 작업증명의 경우는 쓸모없는 컴퓨팅 파워를 많이 사용하는 친환경이지 않은 문제도 있다.[2]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은 폐쇄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허가된 참여자 외 거래 내역과 여러 행동(Actions)은 공유되지 않고 추적이 불가능하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한 명의 주체로부터 허가된 참여자만 참여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나스닥(NASDAQ)의 링크(LINQ)와 미진(Mijin)이 있다.[1]
각주
- ↑ 1.0 1.1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
- ↑ theloop,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1〉, 《아이콘루프》, 2017-02-02
참고자료
- 〈블록체인의 종류〉, 《토큰포스트》
- theloop,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1〉, 《아이콘루프》, 2017-02-02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