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온프레미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451리서치)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일반적으로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수개월 이상 걸렸고 비용 또한 많이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가 나올 당시만 해도 온프레미스 환경이 금방이라도 모두 사라질 것 같았지만 보안 적인 이유로 비즈니스에 중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덜 중요한 것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IT 인프라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ref name="임스"></ref>
+
온프레미스란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값비싼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기업 상황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센터나 서버룸과 같은 특정 공간에 IT인프라를 구축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도 수개월 이상 걸리며 초기도입비용, 운영및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등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ref>oxcow119, 〈[https://blog.naver.com/oxcow119/221519946367 (IT용어) 온프레미스(On-premises)/오프프레미스(Off-premises)]〉, 《네이버블로그》, 2019-04-22 </ref> 일반적으로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수개월 이상 걸렸고 비용 또한 많이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가 나올 당시만 해도 온프레미스 환경이 금방이라도 모두 사라질 것 같았지만 보안 적인 이유로 비즈니스에 중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덜 중요한 것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IT 인프라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ref name="임스"></ref>
  
 
== 특징 ==
 
== 특징 ==
17번째 줄: 17번째 줄: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12602102269041001 {용어 아하!} 온프레미스(On-premise)]〉, 《디지털타임스》, 2017-01-25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12602102269041001 {용어 아하!} 온프레미스(On-premise)]〉, 《디지털타임스》, 2017-01-25
 
* 앤디 패트리 지오, 〈[http://www.itworld.co.kr/tags/2808/%EB%B9%84%EC%9A%A9/106998 “클라우드에서 다시 온프레미스로 41%” 성능과 비용이 문제 : 451 리서치]〉, 《IT월드》, 2017-11-01
 
* 앤디 패트리 지오, 〈[http://www.itworld.co.kr/tags/2808/%EB%B9%84%EC%9A%A9/106998 “클라우드에서 다시 온프레미스로 41%” 성능과 비용이 문제 : 451 리서치]〉, 《IT월드》, 2017-11-01
 +
* oxcow119, 〈[https://blog.naver.com/oxcow119/221519946367 (IT용어) 온프레미스(On-premises)/오프프레미스(Off-premises)]〉, 《네이버블로그》, 2019-04-2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9년 10월 1일 (화) 13:24 판

온프레미스(On-premise)는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전 또는 전통적인 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된다.[1]

개요

온프레미스란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값비싼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기업 상황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센터나 서버룸과 같은 특정 공간에 IT인프라를 구축하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도 수개월 이상 걸리며 초기도입비용, 운영및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등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2] 일반적으로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시간이 수개월 이상 걸렸고 비용 또한 많이 들어, 퍼블릭 클라우드가 나올 당시만 해도 온프레미스 환경이 금방이라도 모두 사라질 것 같았지만 보안 적인 이유로 비즈니스에 중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덜 중요한 것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IT 인프라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1]

특징

활용

451리서치

451리서치(451research)

451리서치(451research)가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위탁을 받아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클라우드 인프라 호스팅에 사용되는 면적은 2017년 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의 용량은 같은 기간에 에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수치는 큰 폭의 하락이라고 보기 어려운데,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가 몰락할 것이라는 소문이 상당 부분 과장 되었다. 또한 많은 워크로드가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반면, 상당량의 워크로드는 온프레미스에 그대로 남으며, 때에 따라 워크로드가 온프레미스로 되돌아올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454곳의 코로케이션 고객중 는 지난 2년 동안 자사 애플리케이션을 코로케이션 데이터센터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했는데, 이 기간동안에 애플리케이션을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코로케이션 시설로 옮긴 응답자도 였다. 기업이 클라우드를 떠나는 이유는 는 지연 시간과 성능 문제, 는 코로케이션이 더 저렴하다는 응답, 이외에도 더 예측 가능한 비용 , 보안 우려 , 개발 테스트 단계에서 프로덕션 환경으로 변경 , 규제 법규 준수 등이 이유로 제시됐다. 이유가 하나는 아니지만, 많은 기업이 여전히 자사의 클라우드 전략을 계속 재정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프레미스로의 귀환 흐름과 그 이유는 진행 중인 하이브리드 IT와 데이터센터 환경으로의 변화가 비교적 미성숙상태이며, 451 리서치는 단순히 데이터센터 용량을 위한 최고의 옵션보다는 각 조직과 사용례,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특화된 최고의 실행 환경(BEV)개념을 제시한다.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했던 기업이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 전혀 새로운 현상은 아니다. 클라우드로의 이전은 한번 실행하고 나면 끝나는 작업이 아니어서 기업은 계속 비용과 효율성을 모니터링해야 하며, 온프레미스로 돌아오는 큰 이유 중 하나는 지연시간이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며, 어떤 기업도 비즈니스 속도가 더뎌지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지연시간이라는 사실도 유념해야 한다.[3]

각주

  1. 1.0 1.1 {용어 아하!} 온프레미스(On-premise)〉, 《디지털타임스》, 2017-01-25
  2. oxcow119, 〈(IT용어) 온프레미스(On-premises)/오프프레미스(Off-premises)〉, 《네이버블로그》, 2019-04-22
  3. 앤디 패트리 지오, 〈“클라우드에서 다시 온프레미스로 41%” 성능과 비용이 문제 : 451 리서치〉, 《IT월드》, 2017-11-01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온프레미스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