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기대수익률 === | | === 기대수익률 === |
| 기대수익률 : <math>E(R_p) = w_1E(R_1) + w_2E(R_2)</math> | | 기대수익률 : <math>E(R_p) = w_1E(R_1) + w_2E(R_2)</math> |
− | * <math>E(R_p) = \sum_{i=1}^n w_iE(R_i)</math> | + | * <math>E(R_p) = \sum_{i=1}^n w_iE(R_i)</math> |
| + | |
| + | 기대수익률은 투자한 시점(기초시점)에서 보면 회수되는 시점(기말시점)의 투자가치는 불확실하며, 미래의 발생을 확실히 알 수 없으므로 미래 투자수익률의 확률분포를 이용해야 하는 사전적 수익률이다. |
| | | |
− | 여기서 <math>w_1</math>은 포트폴리오에서 '자산1'이 차지하는 비중이고, <math>E(R_1)</math>은 '자산1'의 [[기대수익률]], <math>\sigma^2_1</math>은 '자산1'의 분산, <math>cov(R_1,R_2)</math>는 두 자산의 수익률 간 공분산, <math>\rho{12}</math>는 두 자산수익률 간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이 두 수식에 따르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각 자산 [[기대수익률]]의 가중합이다.
| |
| === 위험 === | | === 위험 === |
| 위험 : <math>\sigma^2_p = w^2_1\sigma^2_1 + w^2_2\sigma^2_2 + 2w_1w_2cov(R_1,R_2) = w^2_1\sigma^2_1 + w^2_2\sigma^2_2 + 2w_1w_2\rho_{12}\sigma_1\sigma_2</math> | | 위험 : <math>\sigma^2_p = w^2_1\sigma^2_1 + w^2_2\sigma^2_2 + 2w_1w_2cov(R_1,R_2) = w^2_1\sigma^2_1 + w^2_2\sigma^2_2 + 2w_1w_2\rho_{12}\sigma_1\sigma_2</math> |
20번째 줄: |
21번째 줄: |
| * <math>\sigma^2_2 = E[r_2 - E(r_2)]^2</math> | | * <math>\sigma^2_2 = E[r_2 - E(r_2)]^2</math> |
| * <math>\sigma^2_{12} = E[(r_1 - E(r_1))(r_2 - E(r_2))]</math> | | * <math>\sigma^2_{12} = E[(r_1 - E(r_1))(r_2 - E(r_2))]</math> |
| + | |
| + | 여기서 <math>w_1</math>은 포트폴리오에서 '자산1'이 차지하는 비중이고, <math>E(R_1)</math>은 '자산1'의 [[기대수익률]], <math>\sigma^2_1</math>은 '자산1'의 분산, <math>cov(R_1,R_2)</math>는 두 자산의 수익률 간 공분산, <math>\rho{12}</math>는 두 자산수익률 간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기대수익률과 위험 수식에 따르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각 자산 [[기대수익률]]의 가중합이다. |
| | | |
| [[위험]]은 각 자산수익률 표준편차에 가중치를 준 것의 제곱합과 각 자산수익률 간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두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 경우 위험은 두 자산의 위험 가중합 대비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험 식 <math>\sigma^2_p</math>의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가 0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를 '[[분산효과]](diversification effect)' 또는 '[[포트폴리오 효과]](portfolio effect)'라고 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8614&cid=40942&categoryId=31825 포트폴리오 이론]〉, 《두산백과 》</ref><ref name="포트폴리오">〈[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DonggukGyeongju/Leesiyoung/9.pdf 제9장 포트폴리오 이론과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동국대학교》</ref> | | [[위험]]은 각 자산수익률 표준편차에 가중치를 준 것의 제곱합과 각 자산수익률 간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두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 경우 위험은 두 자산의 위험 가중합 대비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험 식 <math>\sigma^2_p</math>의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가 0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를 '[[분산효과]](diversification effect)' 또는 '[[포트폴리오 효과]](portfolio effect)'라고 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8614&cid=40942&categoryId=31825 포트폴리오 이론]〉, 《두산백과 》</ref><ref name="포트폴리오">〈[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3/DonggukGyeongju/Leesiyoung/9.pdf 제9장 포트폴리오 이론과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동국대학교》</ref> |
2023년 6월 19일 (월) 13:20 기준 최신판
포트폴리오(portfolio)란 주식투자에서 위험을 줄이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방법이다.
원래는 '서류 가방' 또는 '자료 수집철'을 뜻하지만, 일반적으로 주식 투자에서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함으로써 한 곳에 투자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위험을 피하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은행이나 투자자 등이 가지고 있는 유가증권 목록 또는 투자 자산의 집합을 뜻하기도 하는데, 대체로 직접투자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투자 방법이다. 1952년 마코위츠(H. M. Markowitz)가 포트폴리오의 선택(Theory of Portfolio Selection)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이후 이에 입각한 투자분석이 본격화되었다
포트폴리오 이론[편집]
- 투자자는 위험을 싫어한다.
- 투자자는 최대한의 효용(Utility)을 추구한다.
- 효용은 수익률에 비례하고, 분산에 반비례한다.
- 각 자산, 포트폴리오는 수익률 분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대수익률[편집]
기대수익률 :
*
기대수익률은 투자한 시점(기초시점)에서 보면 회수되는 시점(기말시점)의 투자가치는 불확실하며, 미래의 발생을 확실히 알 수 없으므로 미래 투자수익률의 확률분포를 이용해야 하는 사전적 수익률이다.
위험 :
*
*
*
여기서 은 포트폴리오에서 '자산1'이 차지하는 비중이고, 은 '자산1'의 기대수익률, 은 '자산1'의 분산, 는 두 자산의 수익률 간 공분산, 는 두 자산수익률 간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기대수익률과 위험 수식에 따르면 포트폴리오의 기대수익률은 각 자산 기대수익률의 가중합이다.
위험은 각 자산수익률 표준편차에 가중치를 준 것의 제곱합과 각 자산수익률 간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두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 경우 위험은 두 자산의 위험 가중합 대비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험 식 의 공분산 혹은 상관계수가 0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자산을 결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를 '분산효과(diversification effect)' 또는 '포트폴리오 효과(portfolio effect)'라고 한다.[1][2]
상관계수()[편집]
상관계수 :
*
상관계수가 0인 경우 :
상관계수가 1인 경우 :
상관계수가 -1인 경우 :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은 공분산을 표준화한 값으로, 공분산을 각 투자안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두 투자안의 수익률의 상관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나타낸 것이다. 상관계수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두 투자안의 수익률은 양(+)의 기울기를 갖는 완전한 직선관계이고, -1인 경우에는 음(-)의 기울기를 갖는 완전한 직선관계이다.[2]
여러 자산에 분산투자를 하면 개별구성 자산의 고유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이 서로 상쇄, 제거되어 투자 수익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개별 자산에 분산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기대수익률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투자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3]
참고자료[편집]
- 〈포트폴리오 이론〉, 《두산백과》
- 〈제9장 포트폴리오 이론과 자본자산 가격결정모형〉, 《동국대학교》
- 포트윈 〈포트폴리오 이론과 장기분배 모형〉, 《네이버 포스트》, 2017-11-11
- Jay, 〈(CAPM) LC4-1 마코비츠 포트폴리오 이론1〉, 《네이버 포스트》, 2018-04-14
- 도담도담열매, 〈자기자본비용〉, 《네이버 블로그》, 2015-06-30
- 흐르는 물, 〈포트폴리오 이론〉, 《네이버 블로그》, 2017-04-29
같이 보기[편집]
이 포트폴리오 문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암호화폐 : 암호화폐 종류, 암호화폐 종류(국가별), 암호화폐 종류(가나다), 암호화폐 분류, 암호화폐 거래소, 암호화폐 거래 □■⊕, 암호화폐 지갑, 암호화폐 역사, 채굴기, 채굴업체, 채굴지역
|
|
캔들
|
꼬리 • 망치형 • 몸통 • 비석형 • 시가 • 십자형(도지형) • 아래꼬리 • 양봉 • 역망치형 • 위꼬리 • 음봉 • 일자형 • 잠자리형 • 장대양봉 • 장대음봉 • 종가 • 최고가 • 최저가 • 캔들
|
|
차트
|
MACD • 고점 • 골든크로스 • 과매도 • 과매수 • 구름대 • 그래프 • 기준선 • 눌림목 • 다이버전스 • 데드크로스 • 바닥 • 보합 • 보합세 • 볼린저밴드 • 상대강도지수(RSI) • 상승 • 상승세 • 상한선 • 선행스팬1 • 선행스팬2 • 스토캐스틱 • 이동평균선 • 일목균형표 • 저점 • 저항선 • 전고점 • 전저점 • 전환선 • 지지선 • 차트 • 최고점 • 최저점 • 하락 • 하락세 • 하한선 • 후행스팬
|
|
패턴
|
N자형 • V자형 • 계단형 • 덤핑 • 데드캣 • 머리어깨형 • 박스권(횡보) • 베어트랩 • 불트랩 • 삼각수렴 • 쌍바닥(W자형) • 쌍봉(M자형) • 엘리어트 파동 • 역N자형 • 역V자형 • 역머리어깨형 • 펌프앤덤프 • 펌핑 • 플래시 크래시 • 피날레 • 피보나치 수열 • 하이먼 민스키 모델
|
|
거래
|
가상자산 사업자 •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 • 거래량 • 고객신원확인(KYC) • 고빈도거래(HFT) • 공매도 • 공매수 • 교차상장 • 극초단타 • 김프판 • 단타 • 달러마켓 • 데이트레이딩 • 덱스(DEX, 탈중앙화 거래소) • 도둑상장 • 도지마켓 • 디커플링 • 디픽스 • 락업 • 런치패드 • 레버리지 • 리딩 • 리딩방 • 마진거래 • 마진콜 • 매도 • 매도벽 • 매매 • 매수 • 매수벽 • 매집 • 바이낸스 런치패드 • 배칭거래 • 벌집계좌 • 벽 • 베어마켓 • 분할매도 • 분할매매 • 분할매수 • 불마켓 • 블록딜 • 비봇 • 비티씨마켓 • 빅맥지수 • 상승장 • 상장 • 상장호재 • 선물거래 • 손절 • 순환매 • 스왑 • 스윙트레이딩 • 스프레드 • 시가총액 • 시그널 • 시드머니 • 아비트리지 • 악재 • 알고리즘 트레이딩 • 암호화폐 거래 • 에스크로 • 에어드랍 • 엔화마켓 • 오더북 • 올인 • 왝더독 • 원화마켓 • 월렛인베스터 • 위안화마켓 • 유로마켓 • 이더마켓 • 이티피 • 익절 • 일물일가의 법칙 • 자금세탁방지(AML) • 자동거래 • 자전거래 • 장세 • 재료 • 중앙화 거래소(CEX) • 중장기투자 • 차익거래(재정거래) • 초단타(스캘핑) • 커플링 • 코봇 • 코스트 애버리징(물타기) • 코인마켓캡 • 코인코덱스 • 타이밍 • 테더마켓 • 트레이더 • 트레이딩 • 트레이딩뷰 • 패닉셀(투매) • 포모 • 포지션 • 프로그램 매매 • 픽 • 하락장 • 하트넘버 • 현물거래 • 호재 • 홈트레이딩
|
|
주문
|
FAS • FOK • GTC • IOC • MIT • 가격지정주문 • 동시호가 • 매도스톱리밋주문 • 매수스톱리밋주문 • 매도역지정가주문 • 매수역지정가주문 • 메이커 • 메이커 피 • 시장가주문 • 스케일오더 • 지정가주문 • 조건부주문 • 조건부지정가주문 • 장시작 동시호가 • 장마감 동시호가 • 추적손절매주문 • 추적스톱리밋주문 • 최유리지정가주문 • 최우선지정가주문 • 테이커 • 테이커 피 • 호가 • 호가 스프레드
|
|
장외거래
|
리퍼블릭 프로토콜 • 아토믹스왑 • 장외거래(OTC) • 체인저
|
|
투자
|
ATO • ETF • IBO • ICCO • ICO • IEO • IWO • RCPS • SIEO • STO • TGE • 가치투자 • 공모 • 공모펀드 • 다단계사기 • 드래그얼롱 • 로보어드바이저 • 리버스 ICO • 모태펀드 • 뮤추얼펀드 • 벤처캐피탈 • 보통주 • 분산투자 • 사기 • 사모 • 사모펀드 • 상환전환우선주 • 선투자 • 소프트캡 • 액셀러레이터 • 액셀러레이팅 • 어드바이저 • 에스에이에프티(SAFT) • 엔젤투자자 • 우선주 • 월스트리트 • 유한책임투자자(LP) • 인큐베이터 • 인큐베이팅 • 장기투자 • 전환사채 • 조각투자 • 주식 • 질라 • 집중투자 • 콜옵션 • 크라우드세일 • 크라우드펀딩 • 크립토펀드 • 태그얼롱 • 토큰넥스트 • 투기 • 투자 • 튤립버블 • 퍼블릭세일 • 펀드 • 펀딩 • 컨설팅 • 펀더멘탈 • 포트폴리오 • 폰지사기 • 풋옵션 • 프라이빗세일 • 프리세일 • 피라미드사기 • 하드캡 • 하위테스트 • 헤지 • 헤지펀드 • 히든캡
|
|
코인 속어
|
가즈아 • 김치 프리미엄(김프) • 대마불사 • 떡락 • 떡상 • 몰빵 • 비들러 • 존버 • 줍줍 • 코린이 • 펌핑 • 흑두루미 • 흑우 • 흡성대법
|
|
드라마
|
펌핑타임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