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3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역사)
6번째 줄: 6번째 줄:
 
* [[1984년]] [[7월 12일]]: [[삼송(중부대학교)역|삼송(중부대학교)~]][[독립문역]] 및 [[원흥역]] 구간 개통
 
* [[1984년]] [[7월 12일]]: [[삼송(중부대학교)역|삼송(중부대학교)~]][[독립문역]] 및 [[원흥역]]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역]]~[[양재(서초구청)역]]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역]]~[[양재(서초구청)역]]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에서 [[경복궁역]]으로 역명 변경
+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에서 [[경복궁(정부서울청사)역]]으로 역명 변경
 
* [[1990년]] [[4월 1일]]: 화물터미널역에서 [[남부터미널(예술의 전당)역]]으로 역명 변경
 
* [[1990년]] [[4월 1일]]: 화물터미널역에서 [[남부터미널(예술의 전당)역]]으로 역명 변경
 
* [[1993년]] [[10월 30일]]: [[양재(서초구청)역|양재(서초구청)~]][[수서역]] 구간 개통
 
* [[1993년]] [[10월 30일]]: [[양재(서초구청)역|양재(서초구청)~]][[수서역]] 구간 개통
24번째 줄: 24번째 줄:
 
* [[2023년]] [[7월 1일]]: [[서해선]] 개통과 함께 [[대곡역 (고양)|대곡역]] 환승 개통
 
* [[2023년]] [[7월 1일]]: [[서해선]] 개통과 함께 [[대곡역 (고양)|대곡역]] 환승 개통
 
*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함께 [[수서역]] 환승 개통
 
* [[2024년]] [[3월 30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함께 [[수서역]] 환승 개통
 +
 +
=== 열차 운행 ===
 +
대부분의 전동차가 [[대화역|대화행]], [[오금역|오금행]] 등이 주를 이루며, 열차 입출고나 배차 간격에 따라 [[삼송역|삼송행]]과 [[수서역|수서행]]도 존재한다. 막차로는 [[독립문역|독립문행]], [[약수역|약수행]], [[도곡역|도곡행]] 등이 주를 이룬다. [[수도권 전철 4호선]]과 달리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역]] ↔ [[삼송(중부대학교)역]]을 운행하기도 하며, 마찬가지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역]] ↔ [[오금역]]을 운행한 경우도 있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경우 기존은 대화행 보다 구파발행을 3배 더 많이 운행해 왔으나,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덕양구|덕양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손범규]]가 [[고양시]] 주민들이 [[일산선]] 및 3호선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해, [[구파발역]]에서 종착하던 열차 상당수가 [[대화역]] 종착으로 변경됐다. 운행 계획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수송수요를 기준으로 해 부수적으로 [[일산선]]의 수송수요, [[한국철도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해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등 두 양사간의 공동 협의를 통해 수립된다.
 +
 +
3호선은 2개 차량기지가 있는데 [[지축차량사업소]]에서는 중검수와 경검수를, [[수서차량사업소]]에서는 경검수만을 담당한다.
 +
 +
== 차량 ==
 +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25년 1월 13일 (월) 20:57 판

수도권 전철 3호선(首都圈電鐵三號線)은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화역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오금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안내에 사용되는 색은 주황색이다.

1984년 10월 18일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 ~양재(서초구청)역 구간이 개통돼 운행을 시작했으며, 1993년 10월 30일2기 지하철을 구성한 지축역양재(서초구청)~수서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96년 1월 30일지축역을 기점으로 한 일산선이 건설돼 3호선 - 일산선을 잇는 현재의 운행 계통이 성립됐다. 2010년 2월 18일수서~오금 구간이 개통돼 운행 구간이 연장됐다. 지축역을 경계로 운영사가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로 나눠져 있음에도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역사

열차 운행

대부분의 전동차가 대화행, 오금행 등이 주를 이루며, 열차 입출고나 배차 간격에 따라 삼송행수서행도 존재한다. 막차로는 독립문행, 약수행, 도곡행 등이 주를 이룬다. 수도권 전철 4호선과 달리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역삼송(중부대학교)역을 운행하기도 하며, 마찬가지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역오금역을 운행한 경우도 있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경우 기존은 대화행 보다 구파발행을 3배 더 많이 운행해 왔으나,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소속 덕양구 갑 국회의원이었던 손범규고양시 주민들이 일산선 및 3호선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해, 구파발역에서 종착하던 열차 상당수가 대화역 종착으로 변경됐다. 운행 계획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수송수요를 기준으로 해 부수적으로 일산선의 수송수요, 한국철도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해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등 두 양사간의 공동 협의를 통해 수립된다.

3호선은 2개 차량기지가 있는데 지축차량사업소에서는 중검수와 경검수를, 수서차량사업소에서는 경검수만을 담당한다.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