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증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leejia1222 (토론 | 기여)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활동증명'''<!--활동 증명-->(PoA; Proof of Activity)은 새로운 | + | [[파일:디크레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디크레드]]'''(Decred)]] |
+ | |||
+ | '''활동증명'''<!--활동 증명-->(PoA; Proof of Activity)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그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활동을 한 [[노드]]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활동증명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작업증명]](PoW), [[지분증명]](PoS)의 혼합 접근 방식이다. '''[[디크레드]]'''(Decred)가 활동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 ||
== 개요 == | == 개요 == | ||
− | + |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의 [[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총 발행량을 2,100만 개로 한정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다 [[채굴]]된 이후에는 채굴에 대한 보상이 제공되지 않으며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거래 수수료만 받게 된다. 그러나 이것이 [[공유지의 비극]]으로 인한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활동증명 합의 알고리즘이다. 활동에 대한 증거로 채굴자는 기존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컴퓨팅]] 퍼즐을 풀어 채굴을 시작한다. 다만 이렇게 채굴한 블록에는 [[트랜잭션]]이 존재하지 않고 오로지 [[헤더]]와 채굴자의 보상 주소만 포함되어 있다. | |
− | 이 시점에서 [[지분증명]] 시스템으로 바뀌게 | + | 이 시점에서 [[지분증명]](PoS)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는데, 헤더의 정보를 기반으로 새 블록에 [[서명]]하기 위해 임의의 검증자 그룹이 선택된다. 검증자가 가지고 있는 [[코인]]의 지분이 더 많을수록 선택될 가능성이 커진다. 검증이 끝나면 본격적인 블록이 되는 것이다. 만약 선정된 검증자 중 일부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시간이 없다면 그다음으로 이긴 블록이 선정되고, 새로운 검증자 그룹이 생성되며 이렇게 정확한 양의 서명을 얻을 때까지 지속된다. 새로운 검증자 수수료는 채굴자와 검증자가 적절히 나눠 갖게 된다. <ref>yceffort, 〈[https://www.yceffort.kr/2018/07/04/type-of-blockchain-consensus-protocol/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의 종류]〉, 《개인 블로그》, 2018-07-04</ref> |
− | |||
− | |||
− | |||
== 활용 == | == 활용 == | ||
=== 디크레드 === | === 디크레드 === | ||
− | + | [[디크레드]](Decred)는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현재 활동증명의 변형된 형태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유일한 암호화폐이다. 2014년 4월 개발을 시작하여 2016년 2월 8일 출시된 디크레드는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해결하고, [[탈중앙화]]된 의사결정권과 자가 자금 조달력을 통하여 제3자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플랫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규모 그룹이 [[커뮤니티]]의 흐름을 지배하거나, 배제할 수 없도록 한다.<ref>행복하게, 〈[https://blog.naver.com/girabong/221277457923 디크레드코인 특징과 전망은 긍정적]〉, 《네이버 블로그》, 2018-05-16</ref> 디크레드 네트워크의 트랜잭션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 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검증된다. 작업증명 채굴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리소스를 커밋하여 네트워크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디크레드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컴퓨터의 연산능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송금의 유효성을 검사함으로써 새로 생성되는 디크레드 코인을 받는다. 작업증명에서 트랜잭션은 블록으로 그룹화된다.<ref name="디크레드 공식 홈페이지>디크레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ecred.org/</ref> | |
− | |||
− | |||
− | + | 중요한 네트워크 개발 안건에 대해 투표하고 작업증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며, 보상이 지급된다. 작업증명과 달리 지분증명은 [[컴퓨팅]] [[리소스]]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 네트워크에서 투표권을 구입하기 위해 지출된 자금이 사용된다. 지분증명은 디크레드에 분권화 추가 계층을 추가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네트워크 변경 사항을 투표할 수 있도록 한다. 지분증명 방식의 또 다른 흥미로운 특징은 의제에 대한 투표 능력이다. 블록 유효성 검사는 투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티켓에 추가 투표비트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일련의 블록에 대한 표를 추적하고 셀 수 있다.<ref name = "디크레드 백서">디크레드 백서 - "[https://decred.org/research/buterin2014.pdf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4</ref> | |
− | + | 작업증명 채굴자들은 무작위로 선택된 지분증명 검증자들이 블록을 메인 체인에 추가하기 전에 검증해야 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운영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디크레드 목표의 일부이다. 지분증명 검증자는 작업증명 채굴자들에 대한 명확한 확인 역할을 한다. 지분증명 검증자는 잘못된 블록이나 [[토큰]] 보유자가 선호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버전을 사용한 블록을 거부할 수 있다. 이 블록 보상은 채굴자, 토큰 보유자, 개발 [[풀]]사이에서 60/30/10으로 나누어진다. 만약 블록이 무작위로 선택된 5명의 지분증명 검증자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경우, 60%의 작업증명 채굴자 보상은 비례적으로 줄어든다. 지분증명 [[프로세스]]에 대한 참여는 티켓 시스템을 통해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2018년 중반 기준, 연간 지분증명 보상은 약 15%이다.<ref name = "디크레드 백서"></ref> | |
− | 디크레드는 [[ | + | 디크레드의 티켓 시스템은 합의 프로세스의 지분증명 구성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디크레드는 혁신적인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의 혼합형 합의 [[투표]]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해 관계자들에게 합의된 규칙에 대한 의사 결정권을 부여한다. 지분증명 검증 및 거버넌스 프로세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DCR]] 소유자는 티켓을 받기 위해 DCR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티켓은 디크레드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할 수 없는 암호자산으로 존재한다. 다섯 명의 티켓 소유자는 무작위로 선택되어 작업증명 채굴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각각의 블록을 검증한다. 이는 특정 규칙 집합에서 다른 규칙 집합으로 문제없이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ref name="네이버 블로그">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70669490 디크레드(Decred , DCR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5-8</ref> {{자세히|디크레드}} |
{{각주}} | {{각주}} | ||
28번째 줄: | 25번째 줄: | ||
* 행복하게, 〈[https://blog.naver.com/girabong/221277457923 디크레드코인 특징과 전망은 긍정적]〉, 《네이버 블로그》, 2018-05-16 | * 행복하게, 〈[https://blog.naver.com/girabong/221277457923 디크레드코인 특징과 전망은 긍정적]〉, 《네이버 블로그》, 2018-05-16 | ||
* 디크레드 백서 - "[https://decred.org/research/buterin2014.pdf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4 | * 디크레드 백서 - "[https://decred.org/research/buterin2014.pdf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4 | ||
− | * 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70669490 디크레드(Decred , DCR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 | + | * 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70669490 디크레드(Decred , DCR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5-08 |
* 나동빈, 〈[http://www.bitweb.co.kr/m/view.php?idx=476&mcode=m94fztf&page=5 디크레드 투자자들의 커뮤니티를 중요시하는 코인]〉, 《BITWeb》, 2018-03-12 | * 나동빈, 〈[http://www.bitweb.co.kr/m/view.php?idx=476&mcode=m94fztf&page=5 디크레드 투자자들의 커뮤니티를 중요시하는 코인]〉, 《BITWeb》, 2018-03-12 | ||
+ | * Jake Frankenfield, 〈[https://www.investopedia.com/terms/p/proof-activity-cryptocurrency.asp Proof of Activity (Cryptocurrency)]〉, 《Investopedia》, 2019-06-25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2019년 8월 14일 (수) 11:20 기준 최신판
활동증명(PoA; Proof of Activity)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그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활동을 한 노드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활동증명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작업증명(PoW), 지분증명(PoS)의 혼합 접근 방식이다. 디크레드(Decred)가 활동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개요[편집]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의 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총 발행량을 2,100만 개로 한정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다 채굴된 이후에는 채굴에 대한 보상이 제공되지 않으며 비트코인 채굴자들은 거래 수수료만 받게 된다. 그러나 이것이 공유지의 비극으로 인한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활동증명 합의 알고리즘이다. 활동에 대한 증거로 채굴자는 기존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컴퓨팅 퍼즐을 풀어 채굴을 시작한다. 다만 이렇게 채굴한 블록에는 트랜잭션이 존재하지 않고 오로지 헤더와 채굴자의 보상 주소만 포함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지분증명(PoS)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는데, 헤더의 정보를 기반으로 새 블록에 서명하기 위해 임의의 검증자 그룹이 선택된다. 검증자가 가지고 있는 코인의 지분이 더 많을수록 선택될 가능성이 커진다. 검증이 끝나면 본격적인 블록이 되는 것이다. 만약 선정된 검증자 중 일부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시간이 없다면 그다음으로 이긴 블록이 선정되고, 새로운 검증자 그룹이 생성되며 이렇게 정확한 양의 서명을 얻을 때까지 지속된다. 새로운 검증자 수수료는 채굴자와 검증자가 적절히 나눠 갖게 된다. [1]
활용[편집]
디크레드[편집]
디크레드(Decred)는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현재 활동증명의 변형된 형태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유일한 암호화폐이다. 2014년 4월 개발을 시작하여 2016년 2월 8일 출시된 디크레드는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해결하고, 탈중앙화된 의사결정권과 자가 자금 조달력을 통하여 제3자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플랫폼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규모 그룹이 커뮤니티의 흐름을 지배하거나, 배제할 수 없도록 한다.[2] 디크레드 네트워크의 트랜잭션은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 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검증된다. 작업증명 채굴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리소스를 커밋하여 네트워크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디크레드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컴퓨터의 연산능력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송금의 유효성을 검사함으로써 새로 생성되는 디크레드 코인을 받는다. 작업증명에서 트랜잭션은 블록으로 그룹화된다.[3]
중요한 네트워크 개발 안건에 대해 투표하고 작업증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며, 보상이 지급된다. 작업증명과 달리 지분증명은 컴퓨팅 리소스가 거의 필요하지 않다. 네트워크에서 투표권을 구입하기 위해 지출된 자금이 사용된다. 지분증명은 디크레드에 분권화 추가 계층을 추가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네트워크 변경 사항을 투표할 수 있도록 한다. 지분증명 방식의 또 다른 흥미로운 특징은 의제에 대한 투표 능력이다. 블록 유효성 검사는 투표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티켓에 추가 투표비트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일련의 블록에 대한 표를 추적하고 셀 수 있다.[4]
작업증명 채굴자들은 무작위로 선택된 지분증명 검증자들이 블록을 메인 체인에 추가하기 전에 검증해야 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운영에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디크레드 목표의 일부이다. 지분증명 검증자는 작업증명 채굴자들에 대한 명확한 확인 역할을 한다. 지분증명 검증자는 잘못된 블록이나 토큰 보유자가 선호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버전을 사용한 블록을 거부할 수 있다. 이 블록 보상은 채굴자, 토큰 보유자, 개발 풀사이에서 60/30/10으로 나누어진다. 만약 블록이 무작위로 선택된 5명의 지분증명 검증자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경우, 60%의 작업증명 채굴자 보상은 비례적으로 줄어든다. 지분증명 프로세스에 대한 참여는 티켓 시스템을 통해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2018년 중반 기준, 연간 지분증명 보상은 약 15%이다.[4]
디크레드의 티켓 시스템은 합의 프로세스의 지분증명 구성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디크레드는 혁신적인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의 혼합형 합의 투표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해 관계자들에게 합의된 규칙에 대한 의사 결정권을 부여한다. 지분증명 검증 및 거버넌스 프로세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DCR 소유자는 티켓을 받기 위해 DCR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티켓은 디크레드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할 수 없는 암호자산으로 존재한다. 다섯 명의 티켓 소유자는 무작위로 선택되어 작업증명 채굴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각각의 블록을 검증한다. 이는 특정 규칙 집합에서 다른 규칙 집합으로 문제없이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5] 디크레드에 대해 자세히 보기
각주[편집]
- ↑ yceffort,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의 종류〉, 《개인 블로그》, 2018-07-04
- ↑ 행복하게, 〈디크레드코인 특징과 전망은 긍정적〉, 《네이버 블로그》, 2018-05-16
- ↑ 디크레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decred.org/
- ↑ 4.0 4.1 디크레드 백서 -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4
- ↑ 고당도오렌지, 〈디크레드(Decred , DCR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5-8
참고자료[편집]
- yceffort, 〈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의 종류〉, 《개인 블로그》, 2018-07-04
- 유지수 기자, 〈THEblockchain:블록체인 합의 프로토콜 기초서〉, 《토큰포스트》, 2017-03-07
- 행복하게, 〈디크레드코인 특징과 전망은 긍정적〉, 《네이버 블로그》, 2018-05-16
- 디크레드 백서 - "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2014
- 고당도오렌지, 〈디크레드(Decred , DCR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5-08
- 나동빈, 〈디크레드 투자자들의 커뮤니티를 중요시하는 코인〉, 《BITWeb》, 2018-03-12
- Jake Frankenfield, 〈Proof of Activity (Cryptocurrency)〉, 《Investopedia》, 2019-06-25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