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스크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bsdk69372 (토론 | 기여) (새 문서: ==개요== ==등장배경== ==역사== ==특징== ==활용== ==종류== ==문제점== ==전망== {{각주}} ==참고자료==) |
잔글 (→특징)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N스크린.png|썸네일|300픽셀|'''N스크린'''(N-Screen)]] | ||
+ | '''N스크린'''<!--N 스크린, 앤스크린, 엔스크린, 앤 스크린, 엔 스크린-->(N Screen)이란, '[[네트워크]]'(Network) 또는 수학에서 'N분의 1'의 미지수를 나타내는 'N'과 [[스크린]](screen)의 합성어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수의 스크린 화면에 같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
==개요== | ==개요== | ||
+ | '''N스크린'''은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콘텐츠의 내용으로는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등 개인콘텐츠나 작업용 문서까지 포함되며 VOD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영화, 음악, 게임 등을 구입한 후 TV,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공통으로 즐길 수 있다. 즉,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소록, 이메일 등 개인정보에서부터 문서 작업물까지 일상생활의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공유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등장배경== | ==등장배경== | ||
+ | 인터넷 연결 가능한 스마트기기들의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N스크린이 가능한 환경 즉, PC뿐만아니라 여러종류의 단말기에서 인터넷이 사용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단말기간 연결과 처리성능면에서 N스크린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콘텐츠를 저장 또는 공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N스크린 콘텐츠의 [[스토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N스크린의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저장용량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N스크린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 ||
− | + | N스크린 용어는 3스크린. 즉, 모바일,PC,TV를 일컫는다.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하던 그룹은 통신회사 였는데, 통신회사들은 모바일이나 PC로의 파이프라인을 기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와 수익창출을 모색하는 것이 과제였고, TV스크린까지 3 스크린을 통합한 플랫폼을 꿈꿔왔기 때문이다. 3 스크린이 어떻게 컨텐츠를 잘 전달해 줄 것인가에서 나온 말이 '3 스크린 서비스' 라는 말이였고, 디지털 액자나 디지털 사이니지 등 제 4의 스크린이 등장할 가능성이 충분한데, 3스크린이란 용어에 갇혀있어야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수학에서 1,2,3 다음의 모든 정수를 N값이라고 하니, N스크린이라고 칭하게 되었다.<ref> gemong, 〈[http://digxtal.com/insight/20121022/n-%EC%8A%A4%ED%81%AC%EB%A6%B0/ N 스크린?]〉, 《DIGXTAL》, 2012.10.22</ref> | |
==특징== | ==특징== | ||
+ | *동시성 :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 ||
+ | *연결성 :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이어서 시청할 수 있다. | ||
+ | *호환성 :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에서 시청할 수 있다. | ||
+ | |||
+ | ;기술 | ||
+ | *이종망간 IP 이동성 제어기술 : 휴대단말이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 *품질 지향의 액세스망 선택기술 : 다양한 액세스망에서 좋은 통신 품질을 선택해 최적의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 ||
+ | *가입자 통합 프로파일 및 인증 제어 기술 :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해 언제 어디서나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 *고속 [[핸드오버]] 제어기능 : 이종 액세스망간 고속 핸드오버 기술을 가지고 있다. | ||
+ | *적응형 미디어 지원 품질 관리 : 사용자의 미디어 품질 상태 변화를 동적으로 적용, [[적응형 스트리밍]] 기술이나 [[SVC]]등 [[HTML5]], Web표준기술 등 | ||
==활용== | ==활용== | ||
+ | N스크린 서비스는 통신, 방송, 콘텐츠사업자 모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분야이다. 주요 사업자들은 각자의 핵심 역량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n스크린을 활용한다. | ||
+ | |||
+ | *통신사/방송사 | ||
+ | : AT&T나 CBS등 [[컨버전스]] 경쟁의 차별화 요소로 하드웨어, 네트워크 서비스 간 통합을 지향한다. 유료방송 가입자가 이탈하면서 TV 시청률이 정체되고 감소하는 현상도 함께 나타났다. 이에 방송사업자들은 N스크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는데, 기존 고객의 이탈 방지를 위해 보유한 방송 콘텐츠의 강점을 바탕으로 TV와 PC의 결합서비스 및 연계를 강화시켰다. | ||
+ | |||
+ | *인터넷/콘텐츠 사업자 | ||
+ | : 구분 없이 접근 가능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단말 제조사와 제휴한다. [[넷플릭스]]의 경우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아이패드용 앱을 출시하고 셋톱박스 등에 [[OTT]]방식으로 탑재하는 등 다양한 단말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다. | ||
+ | |||
+ | *단말제조사 | ||
+ | : [[애플]]이나 [[삼성전자]]등 단말제조사에서는 N스크린을 활용해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플랫폼]]으로 비지니스 모델을 확장시킨다. 제공하는 기기 간의 상호 호환을 강화시키고 콘텐츠 제공자와 적극적인 제휴를 맺는다. 애플은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저장 후 이용하던 하드웨어 종속 모델에서 [[아이클라우드]]를 통해 모든 단말을 연결하는 플랫폼 중심모델로 전략했다. 한번 구매한 콘텐츠는 어떤 단말에서도 재생 가능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적극적으로 N스크린을 활용하고 있다. | ||
==종류== | ==종류== | ||
+ | *OSMU | ||
+ | : [[OSMU]](One Source Multi Device)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기기든 마지막까지 보던 장면 다음부터 원하는 단말기에서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콘텐츠가 재생되는 기기들은 하나의 소스를 동일한 퀄리티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생성이 요구되었다. | ||
+ | |||
+ | *ASMD | ||
+ | :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개의 기기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및 기기들 각각의 효율성이 고려되어 각 기기 별로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이용한다. TV로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시청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미공개 영상이나 촬영지, 소품 정보등을 태블릿이나 다른 단밀기기에서 볼 수 있다. | ||
==문제점== | ==문제점== | ||
+ | *불법콘텐츠 | ||
+ | : 우리나라는 불법 복제 콘텐츠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유료 방송이 저가인 점에서 이용자들이 N스크린 서비스에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매우 낮다. 또한 콘텐츠나 서비스가 차별되지 않는 다수의 플랫폼들이 경쟁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도 달성하기 어렵다. | ||
+ | |||
+ | *N<=4 | ||
+ | : N스크린의 N이 모든 정수를 뜻하지만 대중적인 스크린의 의미에서 보면, N값은 여전히 4를 넘기지 못한다. 실상은 스마트폰과 PC, 아직 대중적이지 못한 스마트 TV까지 여전히 2~3스크린이다, 게다가 서비스를 런칭해야하는 개발자 입장에서 스크린은 플랫폼으로 인식이 되기 때문에 N스크린을 멀티 디바이스의 다른말로 쓰기도 한다. 사용하는 하나의 서비스로 그것을 볼 수 있는 수단이 많아야 하는데 수단이 많아진다는 건 기술적,비용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푹]](POOQ)같은 경우에도 인당 허용되는 단말의 개수를 일부러 제한하기도 한다. 몇개의 스크린으로 볼 수 있나 보다 [[클라우드]]나 개인화 같은 플랫폼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 ||
==전망== | ==전망== | ||
+ | N스크린 전력을 펼치고 있는 사업자는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인터넷 및 플랫폼사업자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네트워크의 강점을 이용해 개별 디바이스와의 연계를 중점적으로 실행하고, TV와 PC연계 강화 및 결합 서비스로 고객이탈 방지에 활용하기도 하고 콘텐츠를 재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팬미채널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등 많은 분야에서 N스크린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N스크린 전략은 소비자의 유익을 위해 바람직한 현상이다. 앞으로 N스크린의 전략이 개인의 인터넷 및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 향유에 어떠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되는 이유이다. <ref> 김윤화,〈[N스크린 전략과 추진동향]〉,《통신연합》,p.85-87 </ref> | ||
{{각주}} | {{각주}}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https://itrum.tistory.com/99 'N스크린'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이해하기.]〉, 《티스토리》, 2018-08-21 | ||
+ | * 유은재, 〈[N스크린(N-Screen)]〉, 《NET Term》, 2013.06.10, | ||
+ | * 박상철, 이승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5143&cid=42171&categoryId=51169 N스크린]〉, 《스마트TV》, 2014-04-15 | ||
+ | * gemong, 〈[http://digxtal.com/insight/20121022/n-%EC%8A%A4%ED%81%AC%EB%A6%B0/ N 스크린?]〉, 《DIGXTAL》, 2012-10-22 | ||
+ | * 김윤화, 〈[N스크린 전략과 추진동향]〉,《통신연합》,p.85-87 | ||
+ | * 나썽,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kansy&logNo=22035869167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N스크린 서비스 시장 현황 및 전망]〉, 《네이버블로그》,2015-05-13 | ||
+ | |||
+ | ==같이 보기== | ||
+ | * [[스크린]] | ||
+ | * [[모바일]] | ||
+ | |||
+ | {{모바일|검토 필요}} |
2022년 3월 20일 (일) 04:04 기준 최신판
N스크린(N Screen)이란, '네트워크'(Network) 또는 수학에서 'N분의 1'의 미지수를 나타내는 'N'과 스크린(screen)의 합성어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수의 스크린 화면에 같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개요[편집]
N스크린은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콘텐츠의 내용으로는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등 개인콘텐츠나 작업용 문서까지 포함되며 VOD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영화, 음악, 게임 등을 구입한 후 TV,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공통으로 즐길 수 있다. 즉,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소록, 이메일 등 개인정보에서부터 문서 작업물까지 일상생활의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공유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등장배경[편집]
인터넷 연결 가능한 스마트기기들의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N스크린이 가능한 환경 즉, PC뿐만아니라 여러종류의 단말기에서 인터넷이 사용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단말기간 연결과 처리성능면에서 N스크린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콘텐츠를 저장 또는 공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N스크린 콘텐츠의 스토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N스크린의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저장용량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N스크린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N스크린 용어는 3스크린. 즉, 모바일,PC,TV를 일컫는다.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하던 그룹은 통신회사 였는데, 통신회사들은 모바일이나 PC로의 파이프라인을 기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와 수익창출을 모색하는 것이 과제였고, TV스크린까지 3 스크린을 통합한 플랫폼을 꿈꿔왔기 때문이다. 3 스크린이 어떻게 컨텐츠를 잘 전달해 줄 것인가에서 나온 말이 '3 스크린 서비스' 라는 말이였고, 디지털 액자나 디지털 사이니지 등 제 4의 스크린이 등장할 가능성이 충분한데, 3스크린이란 용어에 갇혀있어야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수학에서 1,2,3 다음의 모든 정수를 N값이라고 하니, N스크린이라고 칭하게 되었다.[1]
특징[편집]
- 동시성 :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 연결성 :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이어서 시청할 수 있다.
- 호환성 :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기기에서 시청할 수 있다.
- 기술
- 이종망간 IP 이동성 제어기술 : 휴대단말이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품질 지향의 액세스망 선택기술 : 다양한 액세스망에서 좋은 통신 품질을 선택해 최적의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 가입자 통합 프로파일 및 인증 제어 기술 :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해 언제 어디서나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고속 핸드오버 제어기능 : 이종 액세스망간 고속 핸드오버 기술을 가지고 있다.
- 적응형 미디어 지원 품질 관리 : 사용자의 미디어 품질 상태 변화를 동적으로 적용, 적응형 스트리밍 기술이나 SVC등 HTML5, Web표준기술 등
활용[편집]
N스크린 서비스는 통신, 방송, 콘텐츠사업자 모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분야이다. 주요 사업자들은 각자의 핵심 역량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n스크린을 활용한다.
- 통신사/방송사
- AT&T나 CBS등 컨버전스 경쟁의 차별화 요소로 하드웨어, 네트워크 서비스 간 통합을 지향한다. 유료방송 가입자가 이탈하면서 TV 시청률이 정체되고 감소하는 현상도 함께 나타났다. 이에 방송사업자들은 N스크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는데, 기존 고객의 이탈 방지를 위해 보유한 방송 콘텐츠의 강점을 바탕으로 TV와 PC의 결합서비스 및 연계를 강화시켰다.
- 인터넷/콘텐츠 사업자
- 구분 없이 접근 가능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단말 제조사와 제휴한다. 넷플릭스의 경우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아이패드용 앱을 출시하고 셋톱박스 등에 OTT방식으로 탑재하는 등 다양한 단말 사업자와 제휴하고 있다.
- 단말제조사
- 애플이나 삼성전자등 단말제조사에서는 N스크린을 활용해 하드웨어 중심에서 서비스플랫폼으로 비지니스 모델을 확장시킨다. 제공하는 기기 간의 상호 호환을 강화시키고 콘텐츠 제공자와 적극적인 제휴를 맺는다. 애플은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저장 후 이용하던 하드웨어 종속 모델에서 아이클라우드를 통해 모든 단말을 연결하는 플랫폼 중심모델로 전략했다. 한번 구매한 콘텐츠는 어떤 단말에서도 재생 가능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적극적으로 N스크린을 활용하고 있다.
종류[편집]
- OSMU
- OSMU(One Source Multi Device)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기기든 마지막까지 보던 장면 다음부터 원하는 단말기에서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콘텐츠가 재생되는 기기들은 하나의 소스를 동일한 퀄리티로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 생성이 요구되었다.
- ASMD
-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개의 기기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및 기기들 각각의 효율성이 고려되어 각 기기 별로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이용한다. TV로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시청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미공개 영상이나 촬영지, 소품 정보등을 태블릿이나 다른 단밀기기에서 볼 수 있다.
문제점[편집]
- 불법콘텐츠
- 우리나라는 불법 복제 콘텐츠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유료 방송이 저가인 점에서 이용자들이 N스크린 서비스에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매우 낮다. 또한 콘텐츠나 서비스가 차별되지 않는 다수의 플랫폼들이 경쟁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도 달성하기 어렵다.
- N<=4
- N스크린의 N이 모든 정수를 뜻하지만 대중적인 스크린의 의미에서 보면, N값은 여전히 4를 넘기지 못한다. 실상은 스마트폰과 PC, 아직 대중적이지 못한 스마트 TV까지 여전히 2~3스크린이다, 게다가 서비스를 런칭해야하는 개발자 입장에서 스크린은 플랫폼으로 인식이 되기 때문에 N스크린을 멀티 디바이스의 다른말로 쓰기도 한다. 사용하는 하나의 서비스로 그것을 볼 수 있는 수단이 많아야 하는데 수단이 많아진다는 건 기술적,비용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푹(POOQ)같은 경우에도 인당 허용되는 단말의 개수를 일부러 제한하기도 한다. 몇개의 스크린으로 볼 수 있나 보다 클라우드나 개인화 같은 플랫폼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전망[편집]
N스크린 전력을 펼치고 있는 사업자는 통신사업자, 방송사업자, 인터넷 및 플랫폼사업자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네트워크의 강점을 이용해 개별 디바이스와의 연계를 중점적으로 실행하고, TV와 PC연계 강화 및 결합 서비스로 고객이탈 방지에 활용하기도 하고 콘텐츠를 재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팬미채널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등 많은 분야에서 N스크린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N스크린 전략은 소비자의 유익을 위해 바람직한 현상이다. 앞으로 N스크린의 전략이 개인의 인터넷 및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 향유에 어떠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지 주목되는 이유이다. [2]
각주[편집]
참고자료[편집]
- 〈'N스크린'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이해하기.〉, 《티스토리》, 2018-08-21
- 유은재, 〈[N스크린(N-Screen)]〉, 《NET Term》, 2013.06.10,
- 박상철, 이승엽, 〈N스크린〉, 《스마트TV》, 2014-04-15
- gemong, 〈N 스크린?〉, 《DIGXTAL》, 2012-10-22
- 김윤화, 〈[N스크린 전략과 추진동향]〉,《통신연합》,p.85-87
- 나썽, 〈N스크린 서비스 시장 현황 및 전망〉, 《네이버블로그》,2015-05-13
같이 보기[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