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주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vosxja1313 (토론 | 기여) |
vosxja1313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 | 시장가주문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가 종목, 수량을 지정하지만,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내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하고 있는 가격 혹은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을 말한다. 시장가주문은 모든 [[주문]] 중 가장 기본적인 주문이다. 특정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에는 단순하게 매수/매도 버튼만 있는 경우도 있다.<ref name="시장가주문 인베스토피디아">〈[https://www.investopedia.com/terms/m/marketorder.asp Market Order Definition]〉, 《인베스토피디아》</ref> | |
− | + | 시장가주문은 주문을 넣는 즉시 [[오더북]]에서 매매가 체결되는 [[테이커]] 주문이다. 매매가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수매도 주문 중 한 포지션의 주문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포지션의 주문만 들어오면 스프레드가 벌어져 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테이커 주문은 오더북에서 유동성을 감소하기 때문에 [[메이커]] 주문보다 수수료가 많고 마켓메이커에게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이 프리미엄을 엣지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액을 말한다. 마켓테이커는 포지션을 구축하거나 기존 포지션을 청산해야 할 때 합리적인 가격을 보장해줄 유동성과 신속함이 필요하다. 마켓테이커는 마켓 메이커가 제공하는 유동성에 대한 대가로 엣지를 포기하는 것을 인정한다.<ref name="테이커 CME 그룹">〈[https://www.cmegroup.com/ko/education/learn-about-trading/courses/trading-and-analysis/market-makers-vs-market-takers.html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커]〉, 《CME 그룹》</ref> 마켓테이커는 마켓메이커보다 매매 횟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래 비용에 대한 우려는 적다. 활발하게 거래하는 마켓테이커도 일부 있지만, 테이커의 비즈니스 특성상 마켓메이커보다 거래 횟수가 훨씬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마켓테이커는 최우선 매수 호가나 매도 호가에 거래하는데 그다지 집착하지 않지만, 유동성과 신속함을 중요시한다. 유동성과 신속함은 마켓메이커들이 지속적해서 호가하는 좁은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통해 향상된다.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서는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ref name="테이커 바이낸스">〈[https://www.binance.vision/ko/economics/what-are-makers-and-takers 메이커와 테이커가 무엇일까요?]〉, 《바이낸스》</ref> | |
− | + | 시장가주문은 대형주, 선물, ETF 같은 대량 거래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나 삼성전자 같은 주식은 유동량이 매우 많아 시장가주문이 바로 이뤄지고 다시 오더북에 주문이 채워진다. 유동량과 거래량이 적은 주식에는 적합하지 않은 주문 방식이다.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오더북의 주문 자체가 적기 때문에 시장가주문이 들어오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확산한다. 스프레드가 확산하면 거래 비용이 많이 증가할 수 있어 시장가주문을 내기 전에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파악하고 주문을 내야 한다.<ref name="시장가주문 인베스토피디아"/> | |
− | 반면 [[지정가주문]]( | + | 반면 [[지정가주문]](보통가주문)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주문 방식으로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의 가격과 수량을 지정하여 매도나 매수 주문하는 형식이다. |
==예시== | ==예시== | ||
− | 특정 주식의 [[오더북]]에 매수 호가가 800원에 100주, 900원에 100주, 1,000원에 100주가 있고 매도 호가는 1,500원에 150주, 1,600원에 100주, 1,700원에 100주가 있을 때, | + | 특정 주식의 [[오더북]]에 매수 호가가 800원에 100주, 900원에 100주, 1,000원에 100주가 있고 매도 호가는 1,500원에 150주, 1,600원에 100주, 1,700원에 100주가 있을 때, 시장가주문은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므로 300주의 매도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가 매도된 뒤, 9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다시 8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주문이 완료된다. 반대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500원에 150주를 매수한 뒤, 1,600원에 100주를 매수하고 다시 1,700원에 50주를 매수하고 주문이 완료된다. |
− | 만약 주식의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매우 넓게 벌어져 있을 경우에는 큰 거래 비용을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더북의 매도 호가가 촘촘하게 있지 않고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100,000원에 100주와 같이 크게 벌어져 있을 때 | + | 만약 주식의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매우 넓게 벌어져 있을 경우에는 큰 거래 비용을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더북의 매도 호가가 촘촘하게 있지 않고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100,000원에 100주와 같이 크게 벌어져 있을 때 시장가주문으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그리고 100,000원에 100주를 매수하여 매우 큰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
− | 이렇게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고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벌어져 있다면, | + | 이렇게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고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벌어져 있다면, 시장가주문보다는 [[지정가주문]]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각주}} | {{각주}} |
2019년 10월 2일 (수) 15:41 기준 최신판
시장가주문(market order)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가 종목, 수량을 지정하지만,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내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하고 있는 가격 혹은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을 말한다. 마켓오더라고도 부른다.
개요[편집]
시장가주문은 유가증권시장이나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가 종목, 수량을 지정하지만, 가격은 지정하지 않고 주문을 내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하고 있는 가격 혹은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가 성립되는 주문을 말한다. 시장가주문은 모든 주문 중 가장 기본적인 주문이다. 특정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에는 단순하게 매수/매도 버튼만 있는 경우도 있다.[1]
시장가주문은 주문을 넣는 즉시 오더북에서 매매가 체결되는 테이커 주문이다. 매매가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수매도 주문 중 한 포지션의 주문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포지션의 주문만 들어오면 스프레드가 벌어져 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테이커 주문은 오더북에서 유동성을 감소하기 때문에 메이커 주문보다 수수료가 많고 마켓메이커에게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이 프리미엄을 엣지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액을 말한다. 마켓테이커는 포지션을 구축하거나 기존 포지션을 청산해야 할 때 합리적인 가격을 보장해줄 유동성과 신속함이 필요하다. 마켓테이커는 마켓 메이커가 제공하는 유동성에 대한 대가로 엣지를 포기하는 것을 인정한다.[2] 마켓테이커는 마켓메이커보다 매매 횟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거래 비용에 대한 우려는 적다. 활발하게 거래하는 마켓테이커도 일부 있지만, 테이커의 비즈니스 특성상 마켓메이커보다 거래 횟수가 훨씬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마켓테이커는 최우선 매수 호가나 매도 호가에 거래하는데 그다지 집착하지 않지만, 유동성과 신속함을 중요시한다. 유동성과 신속함은 마켓메이커들이 지속적해서 호가하는 좁은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통해 향상된다.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서는 서로 공생 관계에 있다.[3]
시장가주문은 대형주, 선물, ETF 같은 대량 거래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나 삼성전자 같은 주식은 유동량이 매우 많아 시장가주문이 바로 이뤄지고 다시 오더북에 주문이 채워진다. 유동량과 거래량이 적은 주식에는 적합하지 않은 주문 방식이다.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오더북의 주문 자체가 적기 때문에 시장가주문이 들어오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확산한다. 스프레드가 확산하면 거래 비용이 많이 증가할 수 있어 시장가주문을 내기 전에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파악하고 주문을 내야 한다.[1]
반면 지정가주문(보통가주문)은 가장 많이 이용되는 주문 방식으로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의 가격과 수량을 지정하여 매도나 매수 주문하는 형식이다.
예시[편집]
특정 주식의 오더북에 매수 호가가 800원에 100주, 900원에 100주, 1,000원에 100주가 있고 매도 호가는 1,500원에 150주, 1,600원에 100주, 1,700원에 100주가 있을 때, 시장가주문은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므로 300주의 매도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가 매도된 뒤, 9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다시 800원에 100주가 매도되고 주문이 완료된다. 반대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500원에 150주를 매수한 뒤, 1,600원에 100주를 매수하고 다시 1,700원에 50주를 매수하고 주문이 완료된다.
만약 주식의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어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매우 넓게 벌어져 있을 경우에는 큰 거래 비용을 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더북의 매도 호가가 촘촘하게 있지 않고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100,000원에 100주와 같이 크게 벌어져 있을 때 시장가주문으로 300주의 매수 주문을 넣으면 1,000원에 100주, 1,100원에 100주 그리고 100,000원에 100주를 매수하여 매우 큰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이렇게 유동성과 거래량이 적고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크게 벌어져 있다면, 시장가주문보다는 지정가주문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각주[편집]
- ↑ 1.0 1.1 〈Market Order Definition〉, 《인베스토피디아》
- ↑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커〉, 《CME 그룹》
- ↑ 〈메이커와 테이커가 무엇일까요?〉, 《바이낸스》
참고자료[편집]
- 〈Market Order Definition〉, 《인베스토피디아》
- 〈메이커와 테이커가 무엇일까요?〉, 《바이낸스》
- 〈마켓메이커와 마켓테이커〉, 《CME 그룹》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