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스테이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스테이킹'''(Staking)은 [[채굴]]을 위해 [[암호화폐]]를 지분으로 고정시키는 행위이다. 대표적으로 [[이오스]]가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데, 스테이킹 서비스란 저축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가진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맡기고, 그 대가로 수익 보상을 받는 서비스다.
+
'''스테이킹'''(staking)은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지분]]으로 고정시키는 행위이다. 스테이킹 서비스란 저축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가진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맡기고, 그 대가로 수익 보상을 받는 서비스다. 대표적으로 [[이오스]], [[코스모스]], [[테조스]] 등이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반대말은 [[언스테이킹]](unstaking)이다.
 +
 
 +
== 개요 ==
 +
[[이오스]](EOS)는 다른 코인들과 다르게 독특한 '스테이킹'(staking)과 '[[언스테이킹]]'(unstaking)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언스테이킹은 기본상태라고도 하며 [[이오스]](EOS)가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이오스 코인 전송 및 거래가 가능한 상태이다. 스테이킹 상태는 락업 상태라고 하며, 이오스가 유동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이오스 코인 전송 및 거래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오스가 스테이킹된 만큼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할 수 있고, 1 EOS 당 30개의 [[블록생성자]](BP)에게 투표가 가능하다.<ref name = "스테이킹1"> TreeNulbo, 〈[http://treenulbo.com/eos-%EC%8A%A4%ED%85%8C%EC%9D%B4%ED%82%B9-%EC%96%B8%EC%8A%A4%ED%85%8C%EC%9D%B4%ED%82%B9-%EC%9D%B4%EB%9E%80/ 스테이킹-언스테이킹-이란]〉, 《트리늘보》, 2018-11-14 </ref>
 +
 
 +
== 필요성 ==
 +
 
 +
=== 안전===
 +
스테이킹된 EOS를 [[언스테이킹]]하고 싶을 경우 기본적으로 72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누군가 자신의 EOS를 훔쳐 가려 해도 스테이킹된 EOS는 언스테이킹되기까지 3일이나 걸리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한 사용자는 72시간 이내에 언제든 이 과정을 철회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코인에 비해 안전하다. 이렇게 언스테이킹할 경우 즉시 기본 상태가 되지 않고 72시간 동안의 상태를 [[리펀드]](refund) 상태라고 한다. <ref name = "스테이킹2"></ref>
 +
 
 +
=== 자원 사용===
 +
EOS 생태계 전체를 보았을 때, 자원을 개인이 직접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면, 누군가는 필요한 만큼 자원을 늘리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반대로 누군가는 자원이 넉넉해서 여유로울 것이다. 이 괴리를 없애기 위해 자원이 남는 사람은 자원을 제공하고, 필요한 사람은 임대해서 쓰도록 하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사용하기 위해 스테이킹을 개념을 도입했다. 스테이킹 된 만큼 할당된 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ref name = "스테이킹1"></ref>
 +
* CPU : 연산 처리를 하는 하드웨어로, EOS 전송, 계정 생성, 투표 등 EOS 상 모든 연산을 수행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다. 스테이킹 된 양 만큼에 비례하여 CPU 사용이 가능하다. EOS는 이 자원이 얼만큼 사용되었는지 몇 초, 몇 시간 등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EOS 블록체인 상에 기록합니다. 사용한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으며 24시간 뒤에 CPU 할당량이 다시 복구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여러 번 반복해서 스테이킹 할 필요가 없다.<ref name = "스테이킹2"> dexeosio 〈[https://steemit.com/eos/@dexeosio/staking 이오스 스테이킹 이해하기]〉, 《steemit》, 2018-08 </ref>
 +
* 네트워크 : CPU가 연산 처리에 관련된 기능이라면, 네트워크는 정보 전송에 대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EOS 서버상에서 EOS 전송, 계정 생성, 투표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자원이다. CPU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크한 양에 비례하여 사용할 수 있고 24시간 후엔 자동으로 복구된다.<ref name = "스테이킹2"></ref>
 +
 
 +
=== 투표 ===
 +
EOS는 DPoS 방식을 채택하여 모든 사람이 아닌, 21명의 BP(Block Producer)만 블록 생성 및 검증을 할 수 있게 하여 블록 생성 속도를 높였다. 이 21명은 EOS 코인을 스테이킹한 사용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사용자들이 직접 대표자를 뽑는 방식으로, 이 투표는 EOS 생태계를 발전시켜나갈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BP 투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중요한 투표를 유인하기 위해서 BP들은 투표권을 행사한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블록을 생성하면서 얻은 이익을 에어드랍하거나, DApp 사용권을 제공한다. 그러면서 사람들에게 투표의 당위성을 부여한다. 참고로 BP가 투표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보상해주는 것은 EOS 헌법상 금지되어있다. <ref name = "스테이킹1"></ref>
 +
 
 +
== 활용 ==
 +
 
 +
=== EOS ===
 +
현재 1,000개 정도의 디앱(DApp)이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려졌다. 이러한 트랜잭션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오스는 전체 토큰 보유자들이 21명의 블록 생성자(BP)를 선출한 후 그들에게 블록체인의 운영을 맡기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이란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전체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는 것보다 21개 노드에서만 거래를 검증하면 더욱 빠른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은 이오스 코인 보유자들이 직접 블록 생성자를 선출하는 투표에 참여할 수 있어 '토큰 민주주의'로 불린다. 위임지분증명(DPoS)은 전체 네트워크로부터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출된 21명의 대표 노드만 합의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하므로, 트랜잭션 처리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이 평균 20TPS를 처리하는 반면, 이오스는 평균 3,000TPS의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
 +
 
 +
==== EOS 토큰 상태 ====
 +
* 기본 상태 : 유동성을 가진 상태로 판매하거나 전송이 가능하다.
 +
* 스테이킹 : CPU 와 네트워크 자원에 할당된 상태로 유동성이 존재하지 않으며(락업 상태), 전송 판매가 불가능 한 상태이며 관련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 언스테이킹 : CPU와 네트워크 자원에 할당된 상태에서 이를 해지하는 상태이다. 언스테이킹 시작 시점부터 3일 뒤에는 기본 상태로 복귀된다.
 +
* 투표 상태 : 기본적으로 스테이킹되어 자원할당이 이뤄진 상태에서만 투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투표는 스테이킹과는 달리 언제나 철회할 수 있으며 재투표, 투표 변경 등이 가능하다.<ref> 서리, 〈[https://koreos.io/News/106162 EOS 토큰 스테이킹과 전반적인 개념 이해]〉, 《MEDEOS+KOREOS》, 2018-06-15 </ref>
 +
 
 +
=== 스팀 ===
 +
스팀잇은 글을 작성하고 업보팅하는 행위에 대해 스팀으로 보상을 해준다. 이 보상 체계는 위임지분증명(DPo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블록 생산은 각 라운드로 진행된다. 매 라운드마다 21명의 증인이 트랜잭션 블록에 서명하고, 블록 생산을 위해 선출된다. 이 증인들 중 20명은 승인 투표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1명은 전체 투표 수에 비례하여 상위 20위 안에 들지 않은 모든 증인들에 의해 타임쉐어된다.
 +
 
 +
=== 테조스 ===
 +
테조스가 채택한 지분증명(PoS) 방식의 블록체인 합의 메커니즘은 수학 문제 풀기 경쟁이 아니라 복권 추첨에 가까운 방식으로 다음 블록 생성자를 결정한다. 해당 블록체인의 암호화폐를 많이 가진 쪽이 복권에 당첨될 확률이 높다. 테조스의 경우 8000개(1만달러 규모) 이상을 가진 누구나 블록체인 합의 프로세스, 테조스식 표현으로 베이킹(baking) 작업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킹 프로세스에 합류하는 것은 기술적인 노하우가 필요한 일이다. 소프트웨어 노드를 돌려야 하는 것. 그런만큼, 테조스 토큰 보유자들은 자신의 암호화폐를 베이킹 프로세스에 투입하기보다 그냥 갖고 있는 쪽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ref>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51 판 커진 스테이킹 서비스..코인베이스도 본격 가세]〉, 《더비체인》, 2019-03-30 </ref>
 +
 
 +
=== 이더리움 ===
 +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더해시(Ethash) 알고리즘 기반의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 중이지만, 앞으로 작업증명 방식을 벗어나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
 
 +
== 스테이킹을 지원하는 곳 ==
 +
 
 +
* '''[[코인베이스]]'''(CoinBase) :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코인베이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으며 현재 1,200만명이 넘는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코인베이스는 테조스 블록체인의 자체 토큰인 테지 토큰을 보유한 기관투자자들에게 스테이킹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스테이킹 서비스에 참여하여 토큰을 테조스 네트워크를 위해 맡겨두면 맡긴 토큰의 6%를 그 대가로 받게 된다. <ref name="거래소1"> 녹색정원, 〈[https://cobak.co.kr/community/3/post/159069 암호화폐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코박》, 2019-04-12 </ref>
 +
 
 +
* '''[[배틀스타캐피탈]]'''(BattelStar Capital) : 암호화폐 대출업계인 [[셀시어스]](Celsius)와 함께 스테이킹만 전문 중개하는 서비스를 런칭했다. 지분증명 방식 토큰을 예치하는 방식과 수익률에 따라 고객들은 5~30%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 <ref name="거래소1"></ref> 기존 17개의 암호화폐에 테조스(XTZ), z코인(XZC), 디크리드(DCR), 호라이즌(ZEN), 카르다노(ADA)등 최소한 5개 이상의 지분증명방식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ref> 김재희 기자, 〈[http://www.bc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815 '지분증명'에 암호화폐 빌려주고 고수익 얻는 서비스 등장]〉, 《비씨 인사이트》, 2019-03-12 </ref>
 +
 
 +
* '''[[비트렉스]]'''(Bittrex)와 '''[[크레드]]'''(Cred) : 비트렉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이고, [[크레드]](Cred)는 암호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를 대출해 주는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금융 서비스 플랫폼이다. 비트렉스와 크레드가 합작하여 만든 [[유니버설 프로토콜 얼라이언스]](Universal Protocol Alliance)는 8%의 수익을 제공하는 유로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다. <ref name="거래소1"></ref>
 +
 
 +
* '''[[판테라캐피탈]]'''(Pantera Capital) : 암호화폐 스테이킹 스타트업 [[스테이크드]](Staked)가 450만 달러의 시드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ref>크리에이터백호, 〈[https://www.moneynet.co.kr/free_board/9265564 암호화폐 '스테이킹' 업체 스테이크드, 450만 달러 투자 유치]〉, 《머니넷》, 2019-02-01</ref>
 +
 
 +
* '''[[카르마]]'''(KARMA) : [[이오스]](EOS) 기반 플랫폼으로 EOS마켓 중 하나이다. 카르마는 파워업이라고 부른다.<ref name = "뮤직홀릭"> 뮤직홀릭, 〈[https://koreos.io/News/378861 스테이킹은 무엇이고 어디에 쓰이는가]〉, 《MEDEOS+KOREOS》, 2018-11-07 </ref> 120억개의 카르마 토큰 중 45%를 제네시스 스냅샷을 기준으로 EOS 홀더들에게 에어드랍한다. <ref> KOREOS, 〈[https://koreos.io/DACs/111250# KARMA]〉, 《MEDEOS+KOREOS》, 2018-06-19 </ref> 카르마는 스테이킹(파워업) 시키면 7일 이후부터 이자를 지급하고 이자의 배당은 수시로 이루어진다. 언스테이킹은 3일의 시간이 걸린다.
 +
 
 +
* '''[[에드나]]'''(EDNA) : 에드나는 EOS 기반 플랫폼으로 EOS 마켓 중 하나이다. 에드나는 유전정보 보호 및 DNA 재산권 중심의 블록체인 기반 분산된 자율 커뮤니티(DAC)이자, 인간의 DNA 보호에 중점을 둔 블록체인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ref> 비트소닉, 〈[https://bitsonic.co.kr/cs/detail/340 1월 4일 EOS마켓 상장 코인 안내]〉, 《비트소닉》, 2019-01-03 </ref> 이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스테이킹이 이루어지며 스테이킹을 시키게 되면 기간에 따른 보상이 주어진다. 당연히 오랫동안 스테이킹을 시키면 더 많은 이자를 받는 것이다.<ref name = "뮤직홀릭"></ref>
 +
 
 +
== 툴 제공 ==
 +
* [[이오스툴킷]]
 +
* [[덱시오스]]
 +
 
 +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51 판 커진 스테이킹 서비스...코인베이스도 본격 가세]〉, 《더비체인》, 2019-03-30
 
*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51 판 커진 스테이킹 서비스...코인베이스도 본격 가세]〉, 《더비체인》, 2019-03-30
 
* 형병서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50802101958054002 코인원, 테라 '루나' 단독 상장]〉, 《디지털타임스》, 2019-05-07
 
* 형병서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50802101958054002 코인원, 테라 '루나' 단독 상장]〉, 《디지털타임스》, 2019-05-07
 +
*  TreeNulbo, 〈[http://treenulbo.com/eos-%EC%8A%A4%ED%85%8C%EC%9D%B4%ED%82%B9-%EC%96%B8%EC%8A%A4%ED%85%8C%EC%9D%B4%ED%82%B9-%EC%9D%B4%EB%9E%80/ 스테이킹-언스테이킹-이란]〉, 《트리늘보》, 2018-11-14
 +
* dexeosio 〈[https://steemit.com/eos/@dexeosio/staking 이오스 스테이킹 이해하기]〉, 《steemit》, 2018-08
 +
* 녹색정원, 〈[https://cobak.co.kr/community/3/post/159069 암호화폐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코박》, 2019-04-12
 +
* 김재희 기자, 〈[http://www.bc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815 '지분증명'에 암호화폐 빌려주고 고수익 얻는 서비스 등장]〉, 《비씨 인사이트》, 2019-03-12
 +
* 크리에이터백호, 〈[https://www.moneynet.co.kr/free_board/9265564 암호화폐 '스테이킹' 업체 스테이크드, 450만 달러 투자 유치]〉, 《머니넷》, 2019-02-01
 +
* 뮤직홀릭, 〈[https://koreos.io/News/378861 스테이킹은 무엇이고 어디에 쓰이는가]〉, 《MEDEOS+KOREOS》, 2018-11-07
 +
* KOREOS, 〈[https://koreos.io/DACs/111250# KARMA]〉, 《MEDEOS+KOREOS》, 2018-06-19
 +
* 비트소닉, 〈[https://bitsonic.co.kr/cs/detail/340 1월 4일 EOS마켓 상장 코인 안내]〉, 《비트소닉》, 2019-01-03
 +
* 황치규 기자,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51 판 커진 스테이킹 서비스..코인베이스도 본격 가세]〉, 《더비체인》, 2019-03-30
 +
* 서리, 〈[https://koreos.io/News/106162 EOS 토큰 스테이킹과 전반적인 개념 이해]〉, 《MEDEOS+KOREOS》, 2018-06-1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언스테이킹]]
 
* [[이오스]]
 
* [[이오스]]
 
* [[블록체인]]
 
*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토막글}}
+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2019년 8월 28일 (수) 09:59 기준 최신판

스테이킹(staking)은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지분으로 고정시키는 행위이다. 스테이킹 서비스란 저축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가진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맡기고, 그 대가로 수익 보상을 받는 서비스다. 대표적으로 이오스, 코스모스, 테조스 등이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반대말은 언스테이킹(unstaking)이다.

개요[편집]

이오스(EOS)는 다른 코인들과 다르게 독특한 '스테이킹'(staking)과 '언스테이킹'(unstaking)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언스테이킹은 기본상태라고도 하며 이오스(EOS)가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이오스 코인 전송 및 거래가 가능한 상태이다. 스테이킹 상태는 락업 상태라고 하며, 이오스가 유동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이오스 코인 전송 및 거래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오스가 스테이킹된 만큼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할 수 있고, 1 EOS 당 30개의 블록생성자(BP)에게 투표가 가능하다.[1]

필요성[편집]

안전[편집]

스테이킹된 EOS를 언스테이킹하고 싶을 경우 기본적으로 72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누군가 자신의 EOS를 훔쳐 가려 해도 스테이킹된 EOS는 언스테이킹되기까지 3일이나 걸리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한 사용자는 72시간 이내에 언제든 이 과정을 철회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코인에 비해 안전하다. 이렇게 언스테이킹할 경우 즉시 기본 상태가 되지 않고 72시간 동안의 상태를 리펀드(refund) 상태라고 한다. [2]

자원 사용[편집]

EOS 생태계 전체를 보았을 때, 자원을 개인이 직접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면, 누군가는 필요한 만큼 자원을 늘리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것이다. 반대로 누군가는 자원이 넉넉해서 여유로울 것이다. 이 괴리를 없애기 위해 자원이 남는 사람은 자원을 제공하고, 필요한 사람은 임대해서 쓰도록 하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사용하기 위해 스테이킹을 개념을 도입했다. 스테이킹 된 만큼 할당된 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1]

  • CPU : 연산 처리를 하는 하드웨어로, EOS 전송, 계정 생성, 투표 등 EOS 상 모든 연산을 수행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다. 스테이킹 된 양 만큼에 비례하여 CPU 사용이 가능하다. EOS는 이 자원이 얼만큼 사용되었는지 몇 초, 몇 시간 등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EOS 블록체인 상에 기록합니다. 사용한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으며 24시간 뒤에 CPU 할당량이 다시 복구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여러 번 반복해서 스테이킹 할 필요가 없다.[2]
  • 네트워크 : CPU가 연산 처리에 관련된 기능이라면, 네트워크는 정보 전송에 대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EOS 서버상에서 EOS 전송, 계정 생성, 투표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자원이다. CPU와 마찬가지로 스테이크한 양에 비례하여 사용할 수 있고 24시간 후엔 자동으로 복구된다.[2]

투표[편집]

EOS는 DPoS 방식을 채택하여 모든 사람이 아닌, 21명의 BP(Block Producer)만 블록 생성 및 검증을 할 수 있게 하여 블록 생성 속도를 높였다. 이 21명은 EOS 코인을 스테이킹한 사용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사용자들이 직접 대표자를 뽑는 방식으로, 이 투표는 EOS 생태계를 발전시켜나갈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BP 투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중요한 투표를 유인하기 위해서 BP들은 투표권을 행사한 사람들에게 자신들이 블록을 생성하면서 얻은 이익을 에어드랍하거나, DApp 사용권을 제공한다. 그러면서 사람들에게 투표의 당위성을 부여한다. 참고로 BP가 투표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보상해주는 것은 EOS 헌법상 금지되어있다. [1]

활용[편집]

EOS[편집]

현재 1,000개 정도의 디앱(DApp)이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려졌다. 이러한 트랜잭션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오스는 전체 토큰 보유자들이 21명의 블록 생성자(BP)를 선출한 후 그들에게 블록체인의 운영을 맡기는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이란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투표권을 행사하여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이 대표자들끼리 합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전체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는 것보다 21개 노드에서만 거래를 검증하면 더욱 빠른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은 이오스 코인 보유자들이 직접 블록 생성자를 선출하는 투표에 참여할 수 있어 '토큰 민주주의'로 불린다. 위임지분증명(DPoS)은 전체 네트워크로부터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선출된 21명의 대표 노드만 합의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하므로, 트랜잭션 처리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이 평균 20TPS를 처리하는 반면, 이오스는 평균 3,000TPS의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기록하고 있다.

EOS 토큰 상태[편집]

  • 기본 상태 : 유동성을 가진 상태로 판매하거나 전송이 가능하다.
  • 스테이킹 : CPU 와 네트워크 자원에 할당된 상태로 유동성이 존재하지 않으며(락업 상태), 전송 판매가 불가능 한 상태이며 관련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언스테이킹 : CPU와 네트워크 자원에 할당된 상태에서 이를 해지하는 상태이다. 언스테이킹 시작 시점부터 3일 뒤에는 기본 상태로 복귀된다.
  • 투표 상태 : 기본적으로 스테이킹되어 자원할당이 이뤄진 상태에서만 투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투표는 스테이킹과는 달리 언제나 철회할 수 있으며 재투표, 투표 변경 등이 가능하다.[3]

스팀[편집]

스팀잇은 글을 작성하고 업보팅하는 행위에 대해 스팀으로 보상을 해준다. 이 보상 체계는 위임지분증명(DPo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블록 생산은 각 라운드로 진행된다. 매 라운드마다 21명의 증인이 트랜잭션 블록에 서명하고, 블록 생산을 위해 선출된다. 이 증인들 중 20명은 승인 투표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1명은 전체 투표 수에 비례하여 상위 20위 안에 들지 않은 모든 증인들에 의해 타임쉐어된다.

테조스[편집]

테조스가 채택한 지분증명(PoS) 방식의 블록체인 합의 메커니즘은 수학 문제 풀기 경쟁이 아니라 복권 추첨에 가까운 방식으로 다음 블록 생성자를 결정한다. 해당 블록체인의 암호화폐를 많이 가진 쪽이 복권에 당첨될 확률이 높다. 테조스의 경우 8000개(1만달러 규모) 이상을 가진 누구나 블록체인 합의 프로세스, 테조스식 표현으로 베이킹(baking) 작업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킹 프로세스에 합류하는 것은 기술적인 노하우가 필요한 일이다. 소프트웨어 노드를 돌려야 하는 것. 그런만큼, 테조스 토큰 보유자들은 자신의 암호화폐를 베이킹 프로세스에 투입하기보다 그냥 갖고 있는 쪽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4]

이더리움[편집]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더해시(Ethash) 알고리즘 기반의 작업증명(PoW) 방식으로 채굴 중이지만, 앞으로 작업증명 방식을 벗어나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스테이킹을 지원하는 곳[편집]

  • 코인베이스(CoinBase) :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미국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코인베이스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으며 현재 1,200만명이 넘는 고객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코인베이스는 테조스 블록체인의 자체 토큰인 테지 토큰을 보유한 기관투자자들에게 스테이킹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스테이킹 서비스에 참여하여 토큰을 테조스 네트워크를 위해 맡겨두면 맡긴 토큰의 6%를 그 대가로 받게 된다. [5]
  • 배틀스타캐피탈(BattelStar Capital) : 암호화폐 대출업계인 셀시어스(Celsius)와 함께 스테이킹만 전문 중개하는 서비스를 런칭했다. 지분증명 방식 토큰을 예치하는 방식과 수익률에 따라 고객들은 5~30%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 [5] 기존 17개의 암호화폐에 테조스(XTZ), z코인(XZC), 디크리드(DCR), 호라이즌(ZEN), 카르다노(ADA)등 최소한 5개 이상의 지분증명방식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6]
  • 비트렉스(Bittrex)와 크레드(Cred) : 비트렉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이고, 크레드(Cred)는 암호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를 대출해 주는 탈중앙화 디지털 자산금융 서비스 플랫폼이다. 비트렉스와 크레드가 합작하여 만든 유니버설 프로토콜 얼라이언스(Universal Protocol Alliance)는 8%의 수익을 제공하는 유로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다. [5]
  • 카르마(KARMA) : 이오스(EOS) 기반 플랫폼으로 EOS마켓 중 하나이다. 카르마는 파워업이라고 부른다.[8] 120억개의 카르마 토큰 중 45%를 제네시스 스냅샷을 기준으로 EOS 홀더들에게 에어드랍한다. [9] 카르마는 스테이킹(파워업) 시키면 7일 이후부터 이자를 지급하고 이자의 배당은 수시로 이루어진다. 언스테이킹은 3일의 시간이 걸린다.
  • 에드나(EDNA) : 에드나는 EOS 기반 플랫폼으로 EOS 마켓 중 하나이다. 에드나는 유전정보 보호 및 DNA 재산권 중심의 블록체인 기반 분산된 자율 커뮤니티(DAC)이자, 인간의 DNA 보호에 중점을 둔 블록체인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10] 이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스테이킹이 이루어지며 스테이킹을 시키게 되면 기간에 따른 보상이 주어진다. 당연히 오랫동안 스테이킹을 시키면 더 많은 이자를 받는 것이다.[8]

툴 제공[편집]

각주[편집]

  1. 1.0 1.1 1.2 TreeNulbo, 〈스테이킹-언스테이킹-이란〉, 《트리늘보》, 2018-11-14
  2. 2.0 2.1 2.2 dexeosio 〈이오스 스테이킹 이해하기〉, 《steemit》, 2018-08
  3. 서리, 〈EOS 토큰 스테이킹과 전반적인 개념 이해〉, 《MEDEOS+KOREOS》, 2018-06-15
  4. 황치규 기자, 〈판 커진 스테이킹 서비스..코인베이스도 본격 가세〉, 《더비체인》, 2019-03-30
  5. 5.0 5.1 5.2 녹색정원, 〈암호화폐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코박》, 2019-04-12
  6. 김재희 기자, 〈'지분증명'에 암호화폐 빌려주고 고수익 얻는 서비스 등장〉, 《비씨 인사이트》, 2019-03-12
  7. 크리에이터백호, 〈암호화폐 '스테이킹' 업체 스테이크드, 450만 달러 투자 유치〉, 《머니넷》, 2019-02-01
  8. 8.0 8.1 뮤직홀릭, 〈스테이킹은 무엇이고 어디에 쓰이는가〉, 《MEDEOS+KOREOS》, 2018-11-07
  9. KOREOS, 〈KARMA〉, 《MEDEOS+KOREOS》, 2018-06-19
  10. 비트소닉, 〈1월 4일 EOS마켓 상장 코인 안내〉, 《비트소닉》, 2019-01-0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스테이킹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