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현황) |
잔글 (→현황)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구분 == | == 구분 == | ||
− | === 1차분(2004년 [[ | + | === 1차분([[2004년]] [[5월 31일]]~[[2005년]] [[2월 1일]]) === |
* 대저차량기지 소속: 301~320편성(총 4량 20개 편성) | * 대저차량기지 소속: 301~320편성(총 4량 20개 편성) | ||
* 제작사: [[현대로템]] | * 제작사: [[현대로템]] |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현대로템]] [[IPM]]) | * 제어방식: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현대로템]] [[IPM]]) | ||
− | 2005년 [[10월]] | + | [[2005년]] [[10월 31일]] [[월요일]] 1차 개통([[수영역|수영~]][[대저역]])에 대비해 도입됐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트레일러로 대저차량기지까지 운반됐다. |
== 기술 사양 == | == 기술 사양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편성 == | == 편성 == | ||
− | + | 6량 24개 편성으로 운행한다. 3호선 승강장은 추후 6량 1편성으로 증결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 |
* [[부산교통공사]]는 M'객차를 M1, M객차를 M2라고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했다. | * [[부산교통공사]]는 M'객차를 M1, M객차를 M2라고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했다. | ||
+ | {| | ||
+ | |- align="cente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lign="center" | ||
+ | |31XX | ||
+ | |32XX | ||
+ | |33XX | ||
+ | |34XX | ||
+ | |35XX | ||
+ | |36XX | ||
+ | |- align="center" | ||
+ | |Tc | ||
+ | |M1 | ||
+ | |M2 | ||
+ | |M1 | ||
+ | |M2 | ||
+ | |Tc | ||
+ | |- align="center" | ||
+ | | ←[[대저역|대저]] | ||
+ | | colspan="2" | <small>※XX는 편성 번호</small> | ||
+ | | [[수영역|수영]]→ | ||
+ | |} | ||
+ | |||
+ | Tc칸은 ATP-ATO 방송장치,운전 제어객대 등이 있다.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 ||
+ | !style="width: 20%;"|객차번호 | ||
+ | !style="width: 80%;"|구성 | ||
+ | |- | ||
+ | !31XX | ||
+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
+ | |- | ||
+ | !32XX | ||
+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
+ | |- | ||
+ | !33XX | ||
+ | |M2(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
+ | |- | ||
+ | !34XX | ||
+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
+ | |- | ||
+ | !35XX | ||
+ | |M2(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
+ | |- | ||
+ | !36XX | ||
+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
+ | |} | ||
+ | |||
+ | * 모든 편성이 [[대저차량사업소]]에 소속돼 있고 [[대저차량사업소]]에서 경검수를 실시한다. 단, 중검수는 [[호포차량사업소]]에서 실시한다. 이때 차량의 이동은 [[수영역]]에 있는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공차회송한다. | ||
== 현재 운행구간 == | == 현재 운행구간 == | ||
− | * | + | * {{한국 도시철도|BS3}}: [[수영역|수영]] - [[대저역|대저]] |
== 현황 == | == 현황 == | ||
− |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 + |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
|- | |- | ||
− | !width=" | + | !width="70"|차호!!width="100"|도입 시기!!widtn="100"|운행 개시!!비고 |
|- | |- | ||
− | |'''301편성'''||rowspan=" | + | |'''301편성'''||[[2004년]] [[5월 31일]]||rowspan="20"|[[2005년]] [[10월 31일]]||rowspan="3"|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 |- | ||
− | |'''302편성'''|| | + | |'''302편성'''||[[2004년]] [[6월 4일]] |
|- | |- | ||
− | |'''303편성'''|| | + | |'''303편성'''||[[2004년]] [[6월 10일]] |
|- | |- | ||
− | |'''304편성'''|| | + | |'''304편성'''||[[2004년]] [[6월 23일]]||[[2012년 11월]] [[배산역|배산~]][[물만골역]]간 추돌사고로 수리 후 운행 재개 됐다. |
|- | |- | ||
− | |'''305편성'''|| | + | |'''305편성'''||[[2004년]] [[7월 5일]]||1호차에 [[LED]]조명이 설치됐다. |
|- | |- | ||
− | |'''306편성'''|| | + | |'''306편성'''||[[2004년]] [[7월 13일]]|| |
|- | |- | ||
− | |'''307편성'''|| | + | |'''307편성'''||[[2004년]] [[7월 21일]]|| |
|- | |- | ||
− | |'''308편성'''|| | + | |'''308편성'''||[[2004년]] [[8월 4일]]|| |
|- | |- | ||
− | |'''309편성'''|| | + | |'''309편성'''||[[2004년]] [[8월 13일]]|| |
|- | |- | ||
− | |'''310편성'''|| | + | |'''310편성'''||[[2004년]] [[8월 25일]]|| |
|- | |- | ||
− | |'''311편성'''|| | + | |'''311편성'''||[[2004년]] [[9월 12일]]||시범적으로 [[LED]]조명이 설치됐다. |
|- | |- | ||
− | |'''312편성'''|| | + | |'''312편성'''||[[2004년]] [[9월 20일]]||객실 내 형광등이 [[LED]]로 교체됐다. |
|- | |- | ||
− | |'''313편성'''|| | + | |'''313편성'''||[[2004년]] [[10월 6일]]|| |
|- | |- | ||
− | |'''314편성'''|| | + | |'''314편성'''||[[2004년]] [[10월 18일]]|| |
|- | |- | ||
− | |'''315편성'''||2004년 | + | |'''315편성'''||[[2004년]] [[11월 9일]]|| |
|- | |- | ||
− | |'''316편성'''|| | + | |'''316편성'''||[[2004년]] [[11월 16일]]||rowspan="5"|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 |- | ||
− | |'''317편성'''|| | + | |'''317편성'''||[[2004년]] [[12월 13일]] |
|- | |- | ||
− | |'''318편성'''|| | + | |'''318편성'''||[[2005년]] [[12월 25일]] |
|- | |- | ||
− | |'''319편성'''|| | + | |'''319편성'''||[[2005년]] [[1월 3일]] |
|- | |- | ||
− | |'''320편성'''||2005년 [[ | + | |'''320편성'''||[[2005년]] [[2월 1일]] |
|} | |} | ||
== 특이사항 == | == 특이사항 == | ||
=== 측면안내기 작동 중단 === | === 측면안내기 작동 중단 === | ||
− | 2005년 개통 당시부터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가 됐으나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가 점등이 됐다. 현재는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를 제거 후 [[부산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완료 후 운행하고 있다. | + | [[2005년]] 개통 당시부터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가 됐으나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가 점등이 됐다. 현재는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를 제거 후 [[부산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완료 후 운행하고 있다.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2025년 1월 24일 (금) 23:16 기준 최신판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하기 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및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전동차와 같이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한다. 현재 총 4량 20개 편성(80량)이 운행하고 있다.
목차
구분[편집]
1차분(2004년 5월 31일~2005년 2월 1일)[편집]
2005년 10월 31일 월요일 1차 개통(수영~대저역)에 대비해 도입됐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트레일러로 대저차량기지까지 운반됐다.
기술 사양[편집]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IGBT를 사용하고 있다.
배속[편집]
- 301~320편성: 대저차량기지, 4량
편성[편집]
6량 24개 편성으로 운행한다. 3호선 승강장은 추후 6량 1편성으로 증결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 부산교통공사는 M'객차를 M1, M객차를 M2라고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했다.
◇◇ | ◇◇ | |||||
31XX | 32XX | 33XX | 34XX | 35XX | 36XX | |
Tc | M1 | M2 | M1 | M2 | Tc | |
←대저 | ※XX는 편성 번호 | 수영→ |
Tc칸은 ATP-ATO 방송장치,운전 제어객대 등이 있다.
객차번호 | 구성 |
---|---|
31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32XX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3XX | M2(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4XX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5XX | M2(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6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 모든 편성이 대저차량사업소에 소속돼 있고 대저차량사업소에서 경검수를 실시한다. 단, 중검수는 호포차량사업소에서 실시한다. 이때 차량의 이동은 수영역에 있는 연결 선로를 이용하여 공차회송한다.
현재 운행구간[편집]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 - 대저
현황[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301편성 | 2004년 5월 31일 | 2005년 10월 31일 |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302편성 | 2004년 6월 4일 | ||
303편성 | 2004년 6월 10일 | ||
304편성 | 2004년 6월 23일 | 2012년 11월 배산~물만골역간 추돌사고로 수리 후 운행 재개 됐다. | |
305편성 | 2004년 7월 5일 | 1호차에 LED조명이 설치됐다. | |
306편성 | 2004년 7월 13일 | ||
307편성 | 2004년 7월 21일 | ||
308편성 | 2004년 8월 4일 | ||
309편성 | 2004년 8월 13일 | ||
310편성 | 2004년 8월 25일 | ||
311편성 | 2004년 9월 12일 | 시범적으로 LED조명이 설치됐다. | |
312편성 | 2004년 9월 20일 | 객실 내 형광등이 LED로 교체됐다. | |
313편성 | 2004년 10월 6일 | ||
314편성 | 2004년 10월 18일 | ||
315편성 | 2004년 11월 9일 | ||
316편성 | 2004년 11월 16일 |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317편성 | 2004년 12월 13일 | ||
318편성 | 2005년 12월 25일 | ||
319편성 | 2005년 1월 3일 | ||
320편성 | 2005년 2월 1일 |
특이사항[편집]
측면안내기 작동 중단[편집]
2005년 개통 당시부터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가 됐으나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가 점등이 됐다. 현재는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를 제거 후 부산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완료 후 운행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문서는 한국철도에 관한 글로서 내용 추가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