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거버넌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 + | '''온체인 거버넌스'''<!--온 체인 거버넌스, 온체인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On-Chain Governance, OnChain Governance, OnChainGovernance, On Chain Governanc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
==개요== | ==개요== |
2019년 9월 19일 (목) 16:28 판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개요
온체인 거버넌스는 암호화된 통화 블록체인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고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형태의 지배구조에서는 변경사항의 발생규칙이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인코딩된다. 개발자들은 코드 업데이트를 통한 변경을 제안하고 각 노드들은 제안된 변경을 수용할지 아니면 거부할지를 투표한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비공식적인 거버넌스 시스템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를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함으로써 비트코인의 중앙 집중화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장이다. 그 과정에 있는 이해관계자들은 그 과정에 참여할 경제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 노드는 투표용 전체 거래 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는 반면 개발자들은 대체 자금 지원 메커니즘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각 노드의 투표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노드에 의해 보유되는 암호화의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표를 가지고 있다.[1]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일반적으로 투표의 형태로 진행된다. 물론 투표뿐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원 간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겠지만 효율성의 측면 때문인지 투표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블록체인으로 손꼽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BIP, EIP 및 개발자 포럼 그리고 여러 커뮤니티 등을 통해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정하고 있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외에도 다양한 코인들이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거버넌스 하고 있는 실정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나의 세계이다. 이 세계를 기준으로 우리는 온 체인 거버넌스와 오프체인 거버넌스를 나눌 수 있다. 전자인 온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하며,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서 완결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거버넌스가 네트워크 외에서도 이루어져 그것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에까지 직접적인영향을 준다면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는 오프체인 거버넌스라고 말할 수 있다.[2]
- 인센티브
- 블록체인 시스템 내의 그룹들은 각자 개별적인 인센티브를 가지고 움직인다. 따라서 각 그룹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신들에게 유리한 변화를 제안할 것이다. 이로 인해 보상 구조 통화 정책 또는 권력 균형의 변화가 쉽게 나타난다.
- 협의(coordination) 메커니즘
- 모든 그룹이 인센티브와 관련하여 항상 의견이 일치할 가능성은 낮으므로 인센티브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각 그룹이 가진 공통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협의하는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만약 특정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협의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다면 아마 조금이라도 그들에게 유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3]
특징
온체인 거버넌스는 거버넌스가 블록체인 내에서 이루어 진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개발자, 사용자, 마이너들이 모두 골고루 참여하며 주로 투표에 의해서 정책/정책수정이 이루어진다. 오프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밖에서의 협의가 블록체인에 반영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박에서 Reddit 같은 곳에서 포럼을 운영하면서 수정 제안 사항들과 여론을 측정한 다음 이를 블록체인 내에 반영하는 것이다.
크로스 체인 프로젝트들에선 여러 개의 거버넌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Cosmos)란 프로젝트에서 그렇다. 악성 변화들은 피할 수 없으므로 롤백 절차가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 블록체인의 자신의 토큰은 좋은 행동을 격려하기에 유용한 인센티브이나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특히 트레이트 숄팅과 같은 상황에선 토큰 자체의 인센티브로서의 지위가 격하될 수 있다. 액체 민주주의 같은 경우 투표권의 집중화를 완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포퓰리즘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순 없다. 거버넌스는 본질적으로 변화에 유용하게 대처하는 매커니즘의 수립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요하다.
- 수정 제안 절차가 너무 비용이 많이 들거나 비싸면 안된다. 하지만 수정 제안 절차 비용이 낮으면 낮을수록 스팸 혹은 악성적인 수정 제안이 유행할 수 있다.
- 수정 제안을 하는 실체들의 정체성을 검증하는 작업도 너무 복잡해서는 안된다. 블록체인이 거래상대방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 처음부터 설계되었음을 기억하라.
-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는 실행될 수 있으나 최대한 피해야만 한다. 포크가 잦을수록 네트워크 안전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 제안들을 범주화 한 다음에 제안들마다 누가 더 많은 투표권을 가질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현안들에 대해선 기술자들이 더 많이 투표권을 행사하도록 조정함으로서 현안과 관계가 크게 없는 입장들이 비합리적 결정을 유행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4]
각주
- ↑ Jake Frankenfield, 〈On-Chain Governance〉, 《Investopedia》, 2018-04-04
- ↑ Skkrypto, 〈블록체인 거버넌스에 대한 고찰〉, 《브런치》, 2018-09-17
- ↑ CURG in Seoul, 〈블록체인 거버넌스 : 미래를 프로그래밍하다_1〉, 《브런치》, 2018-06-28
- ↑ nskl1004, 〈블록체인 거버넌스 정리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스팀잇》, 2018-07-04
참고자료
- Jake Frankenfield, 〈On-Chain Governance〉, 《Investopedia》, 2018-04-04
- CURG in Seoul, 〈블록체인 거버넌스 : 미래를 프로그래밍하다_1〉, 《브런치》, 2018-06-28
- nskl1004, 〈블록체인 거버넌스 정리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스팀잇》, 2018-07-04
- Skkrypto, 〈블록체인 거버넌스에 대한 고찰〉, 《브런치》, 2018-09-17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