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거버넌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특징)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특징== | ==특징== | ||
− | 온체인 거버넌스는 거버넌스가 블록체인 내에서 이루어 진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개발자, 사용자, 마이너들이 모두 골고루 참여하며 주로 투표에 의해서 정책/정책수정이 이루어진다. 오프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밖에서의 협의가 블록체인에 반영되는 구조이다. | + | 온체인 거버넌스는 거버넌스가 블록체인 내에서 이루어 진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개발자, 사용자, 마이너들이 모두 골고루 참여하며 주로 투표에 의해서 정책/정책수정이 이루어진다. 오프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밖에서의 협의가 블록체인에 반영되는 구조이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거버넌스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다는 점에서 참여자의 공동체적 협력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번 결정이 이루어지면 이후 변경이 어렵다. 이는 블록체인의 핵심인 '비가역성'에 입각해 한번 네트워크에 반영된 사항은 쉽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서 타당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한다. 코드에 일부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도 바로 신속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네트워크의 취약점이 표면에 드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성을 유지하기 힘든 구조이다.<ref>이화여대 융합보안연구실, 〈[https://decenter.kr/NewsView/1S790UCRB6/GZ05 (디센터 아카데미(2부))⑩블록체인, 새로운 거버넌스]〉, 《디센터》, 2018-11-19</ref> |
크로스 체인 프로젝트들에선 여러 개의 거버넌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Cosmos)란 프로젝트에서 그렇다. 악성 변화들은 피할 수 없으므로 롤백 절차가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 블록체인의 자신의 토큰은 좋은 행동을 격려하기에 유용한 인센티브이나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특히 트레이트 숄팅과 같은 상황에선 토큰 자체의 인센티브로서의 지위가 격하될 수 있다. 액체 민주주의 같은 경우 투표권의 집중화를 완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포퓰리즘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순 없다. 거버넌스는 본질적으로 변화에 유용하게 대처하는 매커니즘의 수립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요하다. | 크로스 체인 프로젝트들에선 여러 개의 거버넌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Cosmos)란 프로젝트에서 그렇다. 악성 변화들은 피할 수 없으므로 롤백 절차가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 블록체인의 자신의 토큰은 좋은 행동을 격려하기에 유용한 인센티브이나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특히 트레이트 숄팅과 같은 상황에선 토큰 자체의 인센티브로서의 지위가 격하될 수 있다. 액체 민주주의 같은 경우 투표권의 집중화를 완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포퓰리즘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순 없다. 거버넌스는 본질적으로 변화에 유용하게 대처하는 매커니즘의 수립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요하다. |
2019년 9월 19일 (목) 16:33 판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개요
온체인 거버넌스는 암호화된 통화 블록체인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고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형태의 지배구조에서는 변경사항의 발생규칙이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인코딩된다. 개발자들은 코드 업데이트를 통한 변경을 제안하고 각 노드들은 제안된 변경을 수용할지 아니면 거부할지를 투표한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비공식적인 거버넌스 시스템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를 의사결정 과정에 통합함으로써 비트코인의 중앙 집중화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장이다. 그 과정에 있는 이해관계자들은 그 과정에 참여할 경제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각 노드는 투표용 전체 거래 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는 반면 개발자들은 대체 자금 지원 메커니즘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각 노드의 투표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노드에 의해 보유되는 암호화의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표를 가지고 있다.[1]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일반적으로 투표의 형태로 진행된다. 물론 투표뿐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원 간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겠지만 효율성의 측면 때문인지 투표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블록체인으로 손꼽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BIP, EIP 및 개발자 포럼 그리고 여러 커뮤니티 등을 통해 네트워크의 방향성을 정하고 있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외에도 다양한 코인들이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거버넌스 하고 있는 실정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나의 세계이다. 이 세계를 기준으로 우리는 온 체인 거버넌스와 오프체인 거버넌스를 나눌 수 있다. 전자인 온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요소 이외에 다른 요소 없이 체인 내부에서 거버넌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하며,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서 완결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거버넌스가 네트워크 외에서도 이루어져 그것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에까지 직접적인영향을 준다면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는 오프체인 거버넌스라고 말할 수 있다.[2]
- 인센티브
- 블록체인 시스템 내의 그룹들은 각자 개별적인 인센티브를 가지고 움직인다. 따라서 각 그룹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신들에게 유리한 변화를 제안할 것이다. 이로 인해 보상 구조 통화 정책 또는 권력 균형의 변화가 쉽게 나타난다.
- 협의(coordination) 메커니즘
- 모든 그룹이 인센티브와 관련하여 항상 의견이 일치할 가능성은 낮으므로 인센티브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각 그룹이 가진 공통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협의하는 능력이 굉장히 중요하다. 만약 특정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협의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다면 아마 조금이라도 그들에게 유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3]
특징
온체인 거버넌스는 거버넌스가 블록체인 내에서 이루어 진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개발자, 사용자, 마이너들이 모두 골고루 참여하며 주로 투표에 의해서 정책/정책수정이 이루어진다. 오프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 밖에서의 협의가 블록체인에 반영되는 구조이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거버넌스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다는 점에서 참여자의 공동체적 협력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번 결정이 이루어지면 이후 변경이 어렵다. 이는 블록체인의 핵심인 '비가역성'에 입각해 한번 네트워크에 반영된 사항은 쉽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서 타당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한다. 코드에 일부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도 바로 신속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네트워크의 취약점이 표면에 드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보안성을 유지하기 힘든 구조이다.[4]
크로스 체인 프로젝트들에선 여러 개의 거버넌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모스(Cosmos)란 프로젝트에서 그렇다. 악성 변화들은 피할 수 없으므로 롤백 절차가 반드시 가능해야 한다. 블록체인의 자신의 토큰은 좋은 행동을 격려하기에 유용한 인센티브이나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특히 트레이트 숄팅과 같은 상황에선 토큰 자체의 인센티브로서의 지위가 격하될 수 있다. 액체 민주주의 같은 경우 투표권의 집중화를 완화할 수 있지만 여전히 포퓰리즘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순 없다. 거버넌스는 본질적으로 변화에 유용하게 대처하는 매커니즘의 수립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요하다.
- 수정 제안 절차가 너무 비용이 많이 들거나 비싸면 안된다. 하지만 수정 제안 절차 비용이 낮으면 낮을수록 스팸 혹은 악성적인 수정 제안이 유행할 수 있다.
- 수정 제안을 하는 실체들의 정체성을 검증하는 작업도 너무 복잡해서는 안된다. 블록체인이 거래상대방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 처음부터 설계되었음을 기억하라.
- 하드 포크와 소프트 포크는 실행될 수 있으나 최대한 피해야만 한다. 포크가 잦을수록 네트워크 안전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 제안들을 범주화 한 다음에 제안들마다 누가 더 많은 투표권을 가질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현안들에 대해선 기술자들이 더 많이 투표권을 행사하도록 조정함으로서 현안과 관계가 크게 없는 입장들이 비합리적 결정을 유행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5]
각주
- ↑ Jake Frankenfield, 〈On-Chain Governance〉, 《Investopedia》, 2018-04-04
- ↑ Skkrypto, 〈블록체인 거버넌스에 대한 고찰〉, 《브런치》, 2018-09-17
- ↑ CURG in Seoul, 〈블록체인 거버넌스 : 미래를 프로그래밍하다_1〉, 《브런치》, 2018-06-28
- ↑ 이화여대 융합보안연구실, 〈(디센터 아카데미(2부))⑩블록체인, 새로운 거버넌스〉, 《디센터》, 2018-11-19
- ↑ nskl1004, 〈블록체인 거버넌스 정리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스팀잇》, 2018-07-04
참고자료
- Jake Frankenfield, 〈On-Chain Governance〉, 《Investopedia》, 2018-04-04
- CURG in Seoul, 〈블록체인 거버넌스 : 미래를 프로그래밍하다_1〉, 《브런치》, 2018-06-28
- nskl1004, 〈블록체인 거버넌스 정리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스팀잇》, 2018-07-04
- Skkrypto, 〈블록체인 거버넌스에 대한 고찰〉, 《브런치》, 2018-09-17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