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적 사양) |
(→2세대분) |
||
287번째 줄: | 287번째 줄: | ||
|'''111편성'''||2020년 [[9월 1일]]||2021년 [[6월 30일]]|| | |'''111편성'''||2020년 [[9월 1일]]||2021년 [[6월 30일]]|| | ||
|- | |- | ||
− | |'''W112편성'''| | + | |'''W112편성'''||2023년 [[6월 2일]]||2023년 [[12월 15일]]|| |
|- | |- | ||
− | |'''W113편성'''|| | + | |'''W113편성'''||2023년 [[6월 16일]]||2023년 [[12월 28일]]|| |
|- | |- | ||
− | |'''W114편성'''||rowspan="2"|2023년 [[ | + | |'''W114편성'''||2023년 [[7월 14일]]||rowspan="2"|2023년 [[12월 29일]]|| |
|- | |- | ||
− | |'''W115편성'''|| | + | |'''W115편성'''||2023년 [[7월 28일]]|| |
|- | |- | ||
− | |'''W116편성'''||2023년 [[8월]]|| | + | |'''W116편성'''||2023년 [[8월 30일]]||2024년 [[1월 26일]]|| |
|- | |- | ||
− | |'''W117편성'''||2024년 [[9월]]||운행 | + | |'''W117편성'''||2024년 [[9월 20일]]||2025년 운행 예정|| |
|- | |- | ||
− | |'''W118편성'''||2023년 [[10월]]|| | + | |'''W118편성'''||2023년 [[10월 10일]]||2024년 [[2월 16일]]|| |
|- | |- | ||
− | |'''W119편성'''||2023년 [[12월]]|| | + | |'''W119편성'''||2023년 [[12월 11일]]||2024년 [[3월 27일]]|| |
|- | |- | ||
− | |'''W120편성'''||2024년 [[2월]]|| | + | |'''W120편성'''||2024년 [[2월 2일]]||2024년 [[5월 18일]]|| |
|- | |- | ||
|W121편성|| | |W121편성|| |
2024년 12월 27일 (금) 22:19 판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1985년 7월 20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부산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차량이다. 쵸퍼제어 전동차 11개 편성, VVVF 전동차 40개 편성으로, 현재 총 8량 51개 편성(416량)이 운행하고 있다. 개통 당시 초창기엔 6량으로 운행됐으나, 1984년 5월~1997년 2월 8량화 사업 이후, 현재는 8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목차
기술적 사양
대한민국 최초형 중형, 자동운전 전동차
1984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중형전동차자 스테인리스 철도차량이며(스테인리스강은 마루베니사에서 공급했으며, 4차 도입부턴 모두 현대정공에서 담당), 대한민국에서 마지막으로 도입된 전기자 사이리스터 쵸퍼제어 차량이다. 2500V 1000A급 역도통 사이리스터 소자를 사용한 프레온 비등 냉각식 전기자 쵸퍼제어를 사용했으며, 측면에 요철이 많은 형태인 콜게이트 스테인리스 차제를 채택했다. 아날로그 ATC와 함께, 신호를 수신해 운전을 제어한 TIS 장치를 가지고 있어 ATO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국내 최초로 보조전원장치를 전동발전기(MG, MA)가 아닌 정지형 인버터(SIV)로 채택 및 통유리(상부계폐)형태의 고무창틀을 채용했다.
차체, 제동장치
- 1세대 전동차(초창기 도입분)의 차체는 STS304 계열의 스테인리스 스틸을 채택했으며, 측면에 스팟용접 흔적을 가리기 위해 요철이 많은 형태인 콜게이트판을 덧대는 방식으로 돼 있다. 제어장치는 회생제동이 가능한 독일 KNORR사의 전기지령식 제용장치를 사용한다.
- 2세대 전동차의 차체는 STS301L 계열의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을 채택했으며, 이는 다른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차체도 마찬가지다. 제동장치는 우진기공의 전기지령식 제동장치를 사용한다.
주행부, 대차
전동차들의 MT 비율은 5:5, 4:6이 일반적인데, 이 전동차는 6M 2T 8량 편성이란 MT 비율로 편성당 출력이 높은 편이며, 이로 인해 기동시 가속도가 다른 전동차들에 비해 빠른 편이다(3.6km/h/s). 2015년 10월부터 도입된 2세대 차량은 4M 4T로 조성되나, 가속력은 3.6km/h/s를 그대로 유지한다. 1호선의 선구사정상 곡선반경이 좁고 급구배가 많아, 이에 따른 감속운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 및 운행구간 지연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리스터 쵸퍼제어에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M1객차 하부에 Chopper저항기를 다수 배치했다. 대차는 세브론 고무를 사용한 다이렉트 마운트 에어스프링의 볼스터 대차(ND-317형)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기형은 고정축거(대차의 앞 차축에서 뒷 차축까지의 거리)가 2200mm인 DT50형태의 대차를 사용한다.
실내 구성
대한민국의 전동차들 중 유일무이하게 3도어 전동차며, 실내 좌석의 배치는 4-10-10-4식의 배치로 되어 있다. 이는 성계 당시 일본에서 보편화됐던(도쿄지하철 히비야선, 신케이세이전철) 18미터급 차체에 측면 3도어 설계를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세대 열차의 실내 좌석의 배치는 4-9-9-4식이다.
- 4차 도입차량을 제외한 전 차량이 쪽유리(상부계폐형) 구조였으나,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시행된 내장재 개조사업으로 인해 노약자석 창문을 제외한 모든 창문이 통유리(밀폐형)로 교체됐다.
- 1984년 5월부터 1988년까지 도입된 초·중기 도입차량은 객차 간 통로문이 양문형 구조에 도어 램프도 1등식이었으나, 1991년 이후의 후기 도입차량은 일반적인 단문형 출입문 및 3등식 도어 램프로 변경됐다. 초·중기 도입차량은 LED 안내기가 달려 있지 않았으나 8량화 사업이후 새로 장착됐다.
- 초창기 도입차량 중에서도, 105~108, 113~114, 125~126, 129~130편성의 객차 간 통로문은, 10량 장대화 사업으로 인해 05·08차 도입분의 중간차량이 혼합된 관계로 운전실이 있는 01·10호차의 경우 양문형, 중간차량의 경우 단문형 통로문으로 구성돼 있으나, 2세대 차량부턴 객실 간 자동통로문이 설치됐다.(단, 117편성은 1992년 6차 도입때 새로 신조됐기 때문에 단문형으로 이뤄져 있다.) 또한 101~104, 109~112, 115~124, 127~128편성은 20량 모두 초창기 도입분 차량인 관계로 모두 양문형으로 구성돼 있다.
8량화 사업 및 조선현황
1990년대 초반 이용객 증가날 때마다 심해진 전동차 혼잡도 완화 차원에서, 1994~1997년까지 전 편성 8량화를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편성들의 조성이 뒤바뀌었다.
도입 과정
현대정공 제작차량
1987년 2단계 개통까지의 반입차량들은 동래역까지 철로 운송을 한후 트레일러로 운반했으며, 이후 차량들은 철도 운송으로 경부선과 연결된 부산진역 반입선을 통해 도입됐다.
101~124편성(총 24개 편성, 1984년 5월~1986년)
125~145편성(총 21개 편성, 1987~1997년 2월)
- 철로 운송: 현대정공(현.현대로템) 창원공장→경부선 부산진역→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도시철도 부산진역→노포차량기지
현대로템 차량현황
146~151편성(총 6개 편성, 2015년 10월 31일~2016년 3월 1일) / 신101~신111편성(총 11개 편성, 2017년 10월 31일~2018년 2월 1일, 2020년 6월 3일~9월 1일)
- 철로 운송: 현대로템 창원공장→경부선 부산진역→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노포차량기지
2세대 열차는 신평~다대포해수역장역 연장 구간 배차 대응과 초창기에 도입된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됐다. 146~151편성은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직통열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와 소리가 흡사하고 동일한 타입으로 구성됐으며, 101~111편성은 일본 도시바가 독자 개발한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기반의 VVVF-IGBT 인버터를 채용하여,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를 비롯한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 그 외에도 기존의 현대정공 제작차량과는 달리 현대로템 제작차량은 운전실에 CCTV 감시용 모니터가 설치됐다.
조선공사 제작차량(12량)
조선공사 다대포 공장에서 노포차량기지까지 육로 운송에 많은 제약이 있어 해상 운송으로 동백섬까지 운반 후, 트레일러로 노포차량기지까지 이동한 방식으로 반입됐다.
- 해상 운송: 조선공사 다대포 공장→해운대 동백섬
- 육로 운송: 해운더 동백섬→트레일러 환적 우 육로 이송→노포차량기지
우진산전 차량현황
W112~W145 편성(총 34개 편성, 2023년 6월 2일~2027년)
- 철로 운송: 우진산전 증평공장→경부선 부산진역→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노포차량기지
- 육로 운송: 우진산전 증평공장→트레일러 환적 후 육로 이송→노포차량기지
노후차량으로 대차분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편성
8량 1편성으로 구성돼 있다. 차량 자체는 서울 지하철처럼 10량으로 증결이 가능하나, 승장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때 미사용 구간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아버렸기 때문에 10량으론 증결할 수 없다.
Unit 구조
6M2T/4M4T 구조로, 총 3개 Unit으로 구성돼 있다.
- Chopper제어 전동차: 1C8M 제어(M1 동력객차에 장착된 Chopper제어장치 1개가 M1~M2 견인전동기 8개를 일괄제어)
- VVVF-IGBT 제어 전동차: 1C4M 2군제어(M1 동력객차에 장착된 2개의 VVVF제어장치가 각각 M1~M2 견인전동기 8개를 4개씩 일괄제어)
편성도(Chopper제어)
부산교통공사에선 M'객차를 M1, M 객차를 M2로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했다.
◇◇ | ◇◇ | ◇◇ | |||||
10xx | 11xx | 12xx | 13xx | 14xx | 17xx | 18xx | 19xx |
Tc | M1 | M2 | M1 | M2 | M1 | M2 | Tc |
←노포역 | ※XX는 편성 번호다대포해수욕장역→ |
객차번호 | 구성 |
---|---|
10xx | Tc(운전실, 방송장치, ATC, ATO장치) |
11xx | M1(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12xx | M2(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13xx | M1(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
14xx | M2(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
17xx | M1(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지, 견인전동기(TM)) |
18xx | M2(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
19xx | Tc(운전실, 방송장치, STC, ATO장치) |
편성도(VVVF제어)
부산교통공사에선 M'객차를 M1, M 객차를 M2로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했다.
◇◇ | ◇◇ | ||||||
10xx | 11xx | 12xx | 13xx | 14xx | 17xx | 18xx | 19xx |
Tc | M1 | M2 | T1 | T2 | M1 | M2 | Tc |
←노포역 | ※XX는 편성 번호 다대포해수욕장→ |
배속
- 101~105, 110~W112, W114~W115, W117~W131, 149~151편성: 노포차량기지, 8량
- 106~109, W113, W116, W132~148편성: 신평차량기지, 8량
현재 운행구간
현황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1세대분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중단 시기 | 비고 |
---|---|---|---|
구 101편성 | 1984년 5월 | 2018년 7월 | 부산 최초의 전동차란 상징을 가지고 있어, 차량기지에 보존되어 있다. 2000년 6월 탈선 사고를 겪었다. |
구 102편성 | 1984년 6월 | 2018년 8월 | |
구 103편성 | 1984년 | ||
구 104편성 | |||
구 105편성 | 오송기지로 회송됐다가 부산진역으로 다시 회송한 적이 있다. | ||
구 106편성 | 2023년 6월 | ||
구 107편성 | 2023년 12월 | ||
구 108편성 | 1985년 | ||
구 109편성 | 2024년 2월 | ||
구 110편성 | 2021년 8월 | 2015년 11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11편성 | |||
구 112편성 | |||
구 113편성 | 2023년 11월 | ||
구 114편성 | 2021년 8월 | 2015년 11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15편성 | 1986년 1월 | ||
구 116편성 | 1986년 3월 | 2024년 3월 | |
구 117편성 | 1986년 | 2024년 예정 | 2015년 10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구 118편성 | 2021년 9월 | ||
구 119편성 | 2024년 5월 | 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0편성 | |||
구 121편성 | 2026년 예정 | 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쵸퍼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됐다. | |
구 122편성 | 2024년 6월 | 2015년 10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3편성 | 1987년 | 2024년 7월 | |
구 124편성 | 2024년 8월 | 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5편성 | 2026년 예정 | 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쵸퍼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됐다.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6편성 | 2024년 8월 |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7편성 | 2024년 9월 | 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28편성 | 2024년 10월 | ||
구 129편성 | 2024년 11월 | 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됐다. | |
구 130편성 | 1988년 2월 | 운행 중 | 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쵸퍼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됐다. |
구 131편성 | 운행 중 | ||
구 132편성 | 1989년 6월 | 2024년 11월 | |
구 133편성 | 운행 중 | ||
구 134편성 | 1990년 4월 | 운행 중 | |
구 135편성 | 2024년 예정 | ||
구 136편성 | 1991년 7월 | 2025년 예정 | |
구 137편성 | 1992년 3월 | ||
구 138편성 | |||
구 139편성 | 1993년 9월 | ||
구 140편성 | 1994년 5월 | ||
구 141편성 | 1994년 6월 | ||
구 142편성 | |||
구 143편성 | |||
구 144편성 | |||
구 145편성 | 1997년 2월 |
2세대분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개시 | 비고 |
---|---|---|---|
101편성 | 2017년 10월 31일 | 2018년 6월 22일 | |
102편성 | 2017년 11월 25일 | 2018년 7월 12일 | |
103편성 | 2017년 12월 16일 | 2018년 8월 16일 | |
104편성 | 2018년 1월 13일 | ||
105편성 | 2018년 2월 1일 | ||
106편성 | 2020년 6월 3일 | 2021년 6월 2일 | |
107편성 | 2020년 6월 11일 | 2021년 6월 15일 | |
108편성 | 2020년 7월 9일 | 2021년 6월 12일 | |
109편성 | 2020년 7월 20일 | 2021년 6월 30일 | |
110편성 | 2020년 8월 4일 | 2021년 6월 29일 | |
111편성 | 2020년 9월 1일 | 2021년 6월 30일 | |
W112편성 | 2023년 6월 2일 | 2023년 12월 15일 | |
W113편성 | 2023년 6월 16일 | 2023년 12월 28일 | |
W114편성 | 2023년 7월 14일 | 2023년 12월 29일 | |
W115편성 | 2023년 7월 28일 | ||
W116편성 | 2023년 8월 30일 | 2024년 1월 26일 | |
W117편성 | 2024년 9월 20일 | 2025년 운행 예정 | |
W118편성 | 2023년 10월 10일 | 2024년 2월 16일 | |
W119편성 | 2023년 12월 11일 | 2024년 3월 27일 | |
W120편성 | 2024년 2월 2일 | 2024년 5월 18일 | |
W121편성 | |||
W122편성 | 2024년 3월 | 운행 중 | |
W123편성 | 2024년 4월 | 운행 중 | |
W124편성 | 2024년 5월 | 운행 중 | |
W125편성 | |||
W126편성 | 2024년 5월 | 운행 중 | |
W127편성 | 2024년 6월 | 운행 중 | |
W128편성 | 운행 중 | ||
W129편성 | 2024년 7월 | 운행 중 | |
W130편성 | |||
W131편성 | |||
W132편성 | 2024년 8월 | 운행 중 | |
W133편성 | |||
W134편성 | |||
W135편성 | 2024년 9월 | 운행 중 | |
W136편성 | 2024년 10월 | 운행 예정 | |
W137편성 | 2024년 11월 | 시운전 중 | |
W138편성 | 2024년 12월 | 시운전 중 | |
W139편성 | |||
W140편성 | 2024년 12월 | 시운전 중 | |
W141편성 | 2025년 1월 | 도입 예정 | |
W142편성 | |||
W143편성 | 2025년 2월 | 도입 예정 | |
W144편성 | 도입 예정 | ||
W145편성 | 2027년 예정 | 제작 예정 | |
146편성 | 2015년 10월 | 운행 중 | |
147편성 | 2015년 11월 | 운행 중 | |
148편성 | 2015년 12월 | 운행 중 | |
149편성 | 2016년 1월 | 운행 중 | |
150편성 | 2016년 2월 | 운행 중 | |
151편성 | 2016년 3월 | 운행 중 |
내장재 교체 사업(2004~2005년)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으로 인해 전 차량이 내장재 교체사업을 받았으며, 교체 사업은 SLS중공업(101~104편성)과 (105~145편성)이 참여했다. 운전실 내장재는 교체되지 않았다. 4차 도입차량을 제외한 전 차량이 쪽유리(상부계폐형) 구조로 이뤄졌으나, 내장재 교체 사업 이후, 노약자석 창문을 제외한 모든 창문이 통유리(밀폐형)로 바뀌었으며, 전면 행선안내기도 롤지방식에서 LED방식으로 교체했다.
전동차 대수선 사업
2011~2014년 간 연이어 터진 전동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1호선 전 차량에 대한 대수선 사업을 실시했다.
회로 차단기(단류기) 교체
- 2011년 10월 31일 범내골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지적된 회로차단기 구조적 문제로 말미암아,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으로 지정된 7차 도입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를 우진산전 제품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이후 2014년 7월 17일 발생한 시청역 화재사고에서 교체된 회로 차단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부실교체 의혹이 끊이질 않았다.
지붕도막재 재도포 및 다이어프램(연결통로막) 로체
- 2012년 8월 27일 대티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지적된 절연, 불연성이 떨어지던 전동차 도막재 및 다이어프램 문제로 인해, 절연성이 강화된 도막재를 도포 및 불연성 다이어프램으로 교체했다.
보조전원장치(SIV)교체사업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완료)
- 기존 Chopper 제어장치의 노후화와 부품단종으로인해 부품확보가 어려워짐에따라, 총 9개 편성이 현대로템 VVVF-IGBT(IPM) 방식으로 부품교체가 이뤄졌으며, 9개 편성의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이 마무리됐다.
소자교체시기 (현재 12개 전편성 개조완료)
운전실 개조 사업(완료)
객실 통로문 개방화사업(전 편성 완료)
향후 방향
같이 보기
이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문서는 한국철도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