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P1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yueun970422 (토론 | 기여) |
yueun970422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BIP141'''은 | + | '''BIP141'''은 분리 된 증인 (Consensus layer)라고 하며 찬성률이 95%일 때 Segwit이 자동 업데이트 된다. |
− | |||
== 개요 == | == 개요 == | ||
− | BIP141은 트랜잭션 병합 트리와 별도로 블록에 커밋되는 "감시 (witness)"라는 새로운 구조를 | + | BIP141은 트랜잭션 병합 트리와 별도로 블록에 커밋되는 "감시 (witness)"라는 새로운 구조를 정의한다. 이 구조에는 트랜잭션 유효성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있지만 트랜잭션 영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하지는 않다. 특히 스크립트와 서명이 새로운 구조로 옮겨진다. 목격자는이 SegWit을 Bitcoin의 소프트포크(soft-fork)를 호환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을 통해 블록의 기존 머클 루트(merkle root)에 중첩 된 트리에서 커밋된다. 선점 거래형태의 악성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번개 네트워크의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미래의 하드 포크(hard fork)는 이 트리를 자체 분기에 배치 할 수 있다.<ref name = "깃허브">〈[https://github.com/bitcoin/bips/blob/master/bip-0141.mediawiki 깃허브]〉, 《깃허브》</ref>특히 BIP141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트랜잭션 유형을 정의합니다. P2WPKH , P2WPKH-in-P2SH , P2WSH , P2WSH-in-P2SH . 처음 두 가지 유형만 현재 Trezor 에서 지원한다.<ref>〈[https://wiki.trezor.io/Cryptocurrency_standards#BIP43_-_Purpose_field_for_deterministic_wallets Cryptocurrency 표준]〉, 《trezor wiki》</ref> |
== 배경 == | == 배경 == | ||
+ | |||
+ | == Segwit == | ||
+ | |||
== 관련 BIP == | == 관련 BIP == |
2019년 7월 12일 (금) 11:46 판
BIP141은 분리 된 증인 (Consensus layer)라고 하며 찬성률이 95%일 때 Segwit이 자동 업데이트 된다.
개요
BIP141은 트랜잭션 병합 트리와 별도로 블록에 커밋되는 "감시 (witness)"라는 새로운 구조를 정의한다. 이 구조에는 트랜잭션 유효성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있지만 트랜잭션 영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하지는 않다. 특히 스크립트와 서명이 새로운 구조로 옮겨진다. 목격자는이 SegWit을 Bitcoin의 소프트포크(soft-fork)를 호환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을 통해 블록의 기존 머클 루트(merkle root)에 중첩 된 트리에서 커밋된다. 선점 거래형태의 악성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번개 네트워크의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미래의 하드 포크(hard fork)는 이 트리를 자체 분기에 배치 할 수 있다.[1]특히 BIP141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트랜잭션 유형을 정의합니다. P2WPKH , P2WPKH-in-P2SH , P2WSH , P2WSH-in-P2SH . 처음 두 가지 유형만 현재 Trezor 에서 지원한다.[2]
배경
Segwit
관련 BIP
- BIP32 : HD 지갑의 일반적인 형식과 HD 지갑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 문서
- BIP39 : 결정성 열쇠를 파생하기 위한 니모닉 코드(복원 규칙)의 유형 및 BIP32 시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
- BIP43 : 트리 구조의 목적을 나타내는 특별한 식별자로써 첫 강화된 자식 인텍스의 자용을 제안
- BIP44 : BIP32 지갑의 특정 형식, 목적을 44로 설정해서 나타나는 다중화폐 다계정 주고를 제안
- BIP47 : 비트코인 개선 제안 및 결제 코드 작성 방법
- BIP49 : P2WPKH가 중첩 된 P2SH 기반 계정의 유도 스키마
- BIP63 : 스텔스 주소
- BIP70 : SSL/TLS 통신을 이용하여 비트코인의 결제를 안전하게 함(지불 요청 프로토콜)
- BIP84 : P2WPKH 기반 계정의 유도 스키마
- BIP141 : 분리된 증인(Consensus layer)
각주
- ↑ 〈깃허브〉, 《깃허브》
- ↑ 〈Cryptocurrency 표준〉, 《trezor wiki》
참고자료
- 〈Cryptocurrency 표준〉, 《trezor wiki》
- 〈깃허브〉, 《깃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