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레버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레버리지'''<!--레버리지-->(Leverage)는 '지레'라는 의미다. 금융 시장에서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을 끌어다가 자산...)
(차이 없음)

2019년 8월 1일 (목) 10:34 판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레'라는 의미다. 금융 시장에서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을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이다. 지레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듯이 타인의 자본을 지레로 삼아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것을 레버리지라고 부른다. 영국과 호주에서는 레버리지(leverage) 대신 기어링(gearing)이라고 부른다.

개요

레버리지는 사전적인 의미로 물리역학의 '지레'를 의미한다. 지레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처럼, 타인의 자본을 지레로 삼아 적은 자본을 가지고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투자전략이다. 경기가 호황일 때 효과적인 투자법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과 금리로 자금을 끌어와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하면 조달 비용을 갚고도 수익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수익을 얻으면 20%의 투자수익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수익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50%가 되어 실제 가격변동률 20%의 2.5배가 된다.

이익을 볼 때와 마찬가지로 손해를 볼 때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된다.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정(+)의 레버리지 효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부(-)의 레버리지 효과'라고 한다.[1]

수익이 차입비용보다 많다면 레버리지가 문제가 되지 않다. 그러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레버리지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손실 규모가 커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기자본 100만 원을 투자하여 20만 원의 손실을 내면 20%의 투자손실률을 낸 것이다. 그러나 투자자금 100만 원 중 40만 원만 자기자본이고 나머지 60만 원은 대출자금일 경우 총투자액 100만 원에 대해 20%인 20만 원의 손실을 냈기 때문에 대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제외하고 자기자본 40만 원에 대한 투자손실률은 50%가 된다.

각주

  1. 레버리지〉,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레버리지 문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