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테이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브리지 테이블'''(bridge table)의 브리지(bridge)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로서 OSI 참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브리지 테이블'''(bridge table) | + | '''브리지 테이블'''(bridge table)은 MAC 주소 테이블(MAC Address Table)이라고도 한다. 브리지 테이블은 스위치나 브리지에 연결된 사용자들의 맥 주소를 저장을 한 것이다. |
== 개요 == | == 개요 == | ||
− | |||
== 기능 == | == 기능 == | ||
− | * | + | *Learn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Source MAC address를 기반으로 MAC address table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
− | * | + | *Forward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MAC address table에서 검색(Lookup)하여 MAC address table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MAC address가 연결되어 있는 Port로만 Frame을 전송하는 기능이다. |
− | * | + | *Filtering : Filtering 기능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Frame이 유입된 Port로 다시 Frame을 전송하는 않는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MAC address table에 Destination MAC address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MAC address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Port로는 Frame을 전송하지 않는 기능이다. |
− | + | *Flood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MAC address table에서 검색(Lookup)하여 MAC address table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Frame이 유입된 Port를 제외한 모든 Port로 Frame이 전송하는 기능이다.<ref name="SWITCH 4대 기능 : MAC ADDRESS LEARNING">〈[http://blog.itbestpath.com/switch-4%EB%8C%80-%EA%B8%B0%EB%8A%A5-mac-address-table-%EC%83%9D%EC%84%B1-learning/ Kenneth Lee]〉,《IT Best-Path》</ref> | |
− | * | ||
− | + | ||
+ | |||
+ | == 같이 보기 == | ||
+ | |||
+ | {{각주}} | ||
+ | |||
+ | == 참고 자료 == | ||
+ | *Kenneth Lee, 〈[http://blog.itbestpath.com/switch-4%EB%8C%80-%EA%B8%B0%EB%8A%A5-mac-address-table-%EC%83%9D%EC%84%B1-learning/ SWITCH 4대 기능 : MAC ADDRESS LEARNING]〉, 《IT Best-Path》, 2017-10-17 | ||
+ | |||
+ |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2019년 8월 13일 (화) 10:30 판
브리지 테이블(bridge table)은 MAC 주소 테이블(MAC Address Table)이라고도 한다. 브리지 테이블은 스위치나 브리지에 연결된 사용자들의 맥 주소를 저장을 한 것이다.
개요
기능
- Learn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Source MAC address를 기반으로 MAC address table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 Forward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MAC address table에서 검색(Lookup)하여 MAC address table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MAC address가 연결되어 있는 Port로만 Frame을 전송하는 기능이다.
- Filtering : Filtering 기능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Frame이 유입된 Port로 다시 Frame을 전송하는 않는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MAC address table에 Destination MAC address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MAC address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Port로는 Frame을 전송하지 않는 기능이다.
- Flooding : Switch로 유입된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MAC address table에서 검색(Lookup)하여 MAC address table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Frame이 유입된 Port를 제외한 모든 Port로 Frame이 전송하는 기능이다.[1]
같이 보기
각주
- ↑ 〈Kenneth Lee〉,《IT Best-Path》
참고 자료
- Kenneth Lee, 〈SWITCH 4대 기능 : MAC ADDRESS LEARNING〉, 《IT Best-Path》, 20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