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전삼구]] | | * [[전삼구]] |
| * [[에이치닥]] | | * [[에이치닥]] |
| + | * [[더블체인]] |
| | | |
|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2020년 12월 24일 (목) 22:21 판
(다른뜻) ㈜더블체인에 대해 보기
더블체인(double chain)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연결한 체인이다. 예를 들어, 보안이 중요한 가정용 사물인터넷(IoT) 기기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이용하고, 자동화된 결제를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때 퍼블릭 블록체인은 메인넷이 되고, 여기에 연결된 다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1:N 구조의 사이드체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블체인의 전삼구 대표가 제안한 개념이다.[1] 일명 '현대코인'으로 불리는 에이치닥(Hdac)이 더블체인 방식으로 작동한다.
활용
에이치닥
초기 블록체인 기술이 탈중앙화, 투명성, 사용성, 신뢰성 측면에서 점차 각광을 받으면서, 활용분야는 암호화폐와 존재 증명, 예측 시장, 국제 금융 등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랜잭션과 데이터의 양도 증가하여,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감당할 수 없는 경우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 사이의 연결은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미 구현되고 있다. 즉, 암호화폐 거래소에 등록된 블록체인의 경우, 거래소가 중계를 해 주는 방식으로 상호 암호화폐 간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식은 물리적으로 원화-달러 사이의 교환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이 쉽게 확인하고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계층적인 방식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 단위 또는 군 단위의 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하위 블록체인이 있고, 여기에서 나온 결과들은 중간 단계의 블록체인으로 연동이 되어 통합된다. 이때 중간 블록체인은 시 단위 또는 도 단위의 규모이며, 다수의 하위 블록체인을 가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하위 블록체인에서 수집된 트랜잭션의 요약본이 중간 블록체인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상위 블록체인은 국가 규모의 블록체인으로 모든 하위 블록체인 정보들이 통합되는 구조로 볼 수도 있다. 트리 형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 사이의 연동은 거래소 역할을 하는 별도의 중계자를 통해서 연동이 될 수 있다. 이 방식은 블록체인의 체인화라고 할 수도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의 연동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과 달리 접근 권한이 강화된 블록체인이며, 설정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연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치닥이라는 퍼블릭 블록체인 메인넷에 다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사이드체인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사용자 인증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상호인증, 작동내역의 기록, 그리고 사물인터넷 계약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기 운영 중인 퍼블릭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을 해야만 실질적인 편리성이 높아진다.
상적인 사용자 측면과 특정한 용도로 구성된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뢰 기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P2P 트랜잭션이 가능하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상호 계약 및 트랜잭션을 위한 에이치닥(Hdac) 토큰을 구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로 사물인터넷(IoT) 환경을 만족시키며, 사물인터넷 장치 간의 상호인증과 사물인터넷 계약 및 소액결제까지 모두 호환해 구현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중계를 해 주는 브리지노드(bridge node) 또는 중계자가 필요하다. 암호화폐 지갑(wallet)을 가지고 있으며 퍼블릿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양쪽에 모두 접근 가능해야 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특성상 특정한 노드나 디바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인증되고 등록된 퍼블릭 블록체인의 노드이어야 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관리자에게 권한을 얻으면 특정 노드나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가 있다.[2]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더블체인 (기술)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게임파이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소셜파이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