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광역시)|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는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된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된 노선 색은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M|1}}|■}}[[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한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란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된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된 노선 색은 {{color|{{한국 철도 노선색|SM|1}}|■}}[[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한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파일:Korail_Class_311_(1st_generation).JPG|300px|섬네일|1차분 (현재는 폐차)]]
 
[[파일:Korail_Class_311_(1st_generation).JPG|300px|섬네일|1차분 (현재는 폐차)]]
7번째 줄: 7번째 줄:
 
[[파일:Korail_Class_311_(2nd_generation).JPG|300px|섬네일|2차분]]
 
[[파일:Korail_Class_311_(2nd_generation).JPG|300px|섬네일|2차분]]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과 [[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돼, [[수원시]]와 [[인천광역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해,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특별시|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 등 [[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해,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과 [[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됐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돼, [[수원시]]와 [[인천광역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해,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특별시|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 등 [[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해,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span style="color:#0D3692;">■</span>[[남색]]을 안내에 사용했다. [[1978년]] [[11월 9일]]에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역|용산]] -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88년]] [[10월 25일]]은 [[금정역|금정]] -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돼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청량리역|청량리]]발 [[안산역|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역|구로]] → [[안산역|안산]] → [[노량진역|노량진]]으로 변경됐다.  
 
초창기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span style="color:#0D3692;">■</span>[[남색]]을 안내에 사용했다. [[1978년]] [[11월 9일]]에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역|용산]] -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88년]] [[10월 25일]]은 [[금정역|금정]] -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돼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청량리역|청량리]]발 [[안산역|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역|구로]] → [[안산역|안산]] → [[노량진역|노량진]]으로 변경됐다.  
149번째 줄: 149번째 줄:
 
=== 완행 ===
 
=== 완행 ===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인천역]] · [[의정부역]]~[[서동탄역]]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인천역]] · [[의정부역]]~[[서동탄역]]이다.
 +
 +
==== 경인·경원선 계통 ====
 +
[[파일:Soyosan-S1-S.JPG|섬네일|왼쪽|소요산역에서 대기한 전동차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
* [[인천역|인천]] - [[동두천역|동두천]]{{·}}[[소요산역|소요산]]{{·}}[[연천역|연천]] : [[경인선]] [[인천역]]과 [[경원선]] [[동두천역]], [[소요산역]] 혹은 [[연천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만 운행한다.
 +
* [[인천역|인천]] - [[양주역|양주]] : 가장 운행 빈도가 높은 계통으로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공동으로 운행한다.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에 한하여 [[동묘앞역]]에서 시종착하며, 막차 시간대에 [[청량리역]] → [[서울역]]을 운행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의 막차에 한하여 [[광운대역]], [[구로역]]을 종착역으로 삼는다.
 +
 +
==== 경부·장항선 계통 ====
 +
[[파일:Seoul Metro Line 1 train leaving Geumjeong.jpg|섬네일|왼쪽|[[금정역]]을 출발하는 전동차|대체글=]]
 +
* [[서동탄역|서동탄]] - [[병점역|병점]] - [[광운대역|광운대]] : [[서동탄역]] 혹은 [[경부선]] [[병점역]]과 [[경원선]] [[광운대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가장 운행 빈도가 높은 계통이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공동으로 운행한다.[[광운대역]] 안내시 열차 행선지 안내에서는 [[광운대역]]행을 사용한다. 평일 2회 의정부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존재한다.
 +
[[파일:Korail Class 311 (1st generation).JPG|섬네일|오른쪽|1차분]]
 +
[[파일:Korail Class 311 (2nd generation).JPG|섬네일|오른쪽|2차분]]
 +
* [[신창역|신창]]{{·}}[[천안역|천안]] - [[광운대역|광운대]] : [[장항선]] [[신창역]] 혹은 [[천안역]]과 [[서울 지하철 1호선]] [[광운대역]] 사이의 모든 역에 정차하며, [[경부선]]을 통하여 [[아산시]], [[천안시]]와 [[서울특별시]]간을 편리하게 이어주는 매개교통 역할을 한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만으로 운행하며, 막차 시간 대에는 [[구로역|구로]], [[병점역|병점]], [[천안역|천안]]까지만 운행한다.
 +
 +
==== <div id="광명 셔틀"></div>영등포-광명간 셔틀 전철 ====
 +
[[파일:KORAIL EMU319000.jpg|섬네일|[[광명역]]에서 대기중인 영등포행 열차]]
 +
한강 이남 지역에서 KTX [[광명역]]으로 접근하기 쉽도록 운행되고 있다.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됐고,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용산역|용산]] - [[광명역|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이용 승객 저조로 [[2008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역|영등포]] - [[광명역|광명]]으로 구간을 단축운행하고 전동차 편성도 4량으로 감축했다. [[영등포역|영등포]] - [[구로역|구로]] 구간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구로역|구로]]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구간에서는 기존 경부 2선을, [[금천구청역]]에서는 [[경부고속선]]을 따라 운행한다. 또한 하행 셔틀 전철은 공무수행 중인 대통령 전용열차를 제외하면 최우선 순위로 운행하는데 이는 [[고속철도]] 열차 접속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
 +
=== 급행 ===
 +
크게 다음 3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
 +
* [[경부선]] 급행 : [[청량리역|청량리]]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
* [[경원선]] 급행 : [[동두천역|동두천]] - [[광운대역|광운대]] - [[인천역|인천]]
 +
* [[경인선]] 급행 : [[용산역|용산]] - [[동인천역|동인천]]

2025년 1월 13일 (월) 15:46 판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란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된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된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한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됐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돼, 수원시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해,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해,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남색을 안내에 사용했다. 1978년 11월 9일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 -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1988년 10월 25일금정 -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돼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청량리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안산노량진으로 변경됐다.

2000년에 이름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바꾸고 여객 안내에서 더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별하지 않고, 그 후로는 노선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거의 같은 노선 취급을 받으나,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여객 안내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노선별로 명칭을 다르게 쓴 경우가 있다. 2003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수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1호선 전동차안산선 직결 운행은 중단됐으며 2005년 12월 16일회기역에서 국수역까지 중앙선 전철이 별개로 개통돼 용산~국수 간 상호 직결 운행개시, 이로서 경원선 용산 - 광운대역) 구간의 운행은 중단됐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한신대)역에서 천안역까지 및 부성역 연장 개통됐고, 2006년 12월 15일경원선 의정부북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및 회천중앙역 연장 개통됐으며, 2008년 12월 15일장항선 복선전철 구간에 포함된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및 탕정역 연장 개통되으며, 북쪽 구간으로 동두천역 ~ 연천역 구간을 2023년 12월 16일 단선으로 연장 개통됐다. 연천역으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최초로 수복지구에 진입한 노선이 됐다.

연혁

운영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제외한 철도 노선들의 소유 기관은 대한민국 정부이며, 국가철도공단의 관리를 받아 운행 계통의 영업 및 운영 권한은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도 일부 관리에 참여하나, 제약이 많이 수반된다. 그 예로 운영 계획 및 차량 시간표는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에서 수립·관리하며, 운행 차량 비율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 10배 이상 많고, 또한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보다는 한국철도공사의 소속 차량의 운행 거리가 많은 등 거의 모든 면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점유하고 있다.

열차의 운행 횟수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96회,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는 약 454회이다.

경유 노선 목록

노선명 역 번호 하행 기점 상행 기점 소유자 관리자 운영자
경원선 100-1~100-3,100 ~ 123 연천역 회기역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서울 지하철 1호선 124 ~ 133 청량리역 서울역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교통공사
경부선 134 ~ 141
P142 ~ P168
남영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구로역
두정역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141 ~ 161 구로역 인천역
천안직결선 P168, P169 두정역 천안역
장항선 P169 ~ P177 천안역 신창역
병점기지선 P157
P157-1
병점역 서동탄역
시흥연결선
경부고속선
P144
P144-1
금천구청역 광명역

완행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의 운행 구간은 양주역~인천역 · 의정부역~서동탄역이다.

경인·경원선 계통

파일:Soyosan-S1-S.JPG
소요산역에서 대기한 전동차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 전)

경부·장항선 계통

영등포-광명간 셔틀 전철

파일:KORAIL EMU319000.jpg
광명역에서 대기중인 영등포행 열차

한강 이남 지역에서 KTX 광명역으로 접근하기 쉽도록 운행되고 있다. 2006년 12월 15일 개통 당시에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됐고,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용산 - 광명 간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었다. 이용 승객 저조로 2008년 12월 1일부터 영등포 - 광명으로 구간을 단축운행하고 전동차 편성도 4량으로 감축했다. 영등포 - 구로 구간에서는 경인 급행 선로를, 구로 - 금천구청 구간에서는 기존 경부 2선을, 금천구청역에서는 경부고속선을 따라 운행한다. 또한 하행 셔틀 전철은 공무수행 중인 대통령 전용열차를 제외하면 최우선 순위로 운행하는데 이는 고속철도 열차 접속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급행

크게 다음 3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모두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 ·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