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루빗(truebit)은 이더리움의 연산 성능을 올리기 위한 오프체인 솔루션이다. [1]
개요
최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확장성 솔루션들은 메인체인의 트랜잭션 처리성능을 개선하여 TPS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 경우가 많다. 샤딩이나 플라즈마 등 많은 솔루션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트루빗은 이더리움의 TPS가 아닌, 이더리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연산 성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확장성 오프체인 솔루션이다. [2]
- 배경
이더리움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복잡도가 높아질수록 수수료가 증가하게 되는데 한 블록 안에 담길 수 있는 가스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많은 연산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블록 당 처리 가능한 연산에도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의 연산 성능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3]
- Verifier의 딜레마
이더리움 채굴자는 다음 블록 채굴을 시작하기 전, 새로운 블록이 정확한 블록인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해당 검증에 대해서 보상(수수료)은 받지 못한다. 그렇다고 해서 검증을 하지 않고 바로 그 위에 블록을 붙였다가는 잘못된 체인에 시간만 낭비하는 셈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검증할지, 건너뛸지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행위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는데 블록 가스 제한이 늘어날수록 심해지는 양상을 나타낸다.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크게 온체인 솔루션과 오프체인 솔루션으로 나눌 수 있다. 온체인 솔루션은 블록체인 상에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거래 처리 속도나 용량을 늘리는 등 처리 방식의 효율화를 의미하며, 오프체인 솔루션은 블록체인 외부에서 거래를 처리하여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2]
기술
- 원리
DApp이 블록 가스제한보다 많은 가스가 소모되는 연산을 수행하고 싶을 때, 트루빗 프로토콜로 넘긴 다음 트루빗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복잡한 연산을 대신 수행하고 결과값만을 전달하여 온체인에 다시 반영하는 형태이다.
- Solver(문제를 푸는 채굴자)
스마트 컨트랙트에 보증금(토큰)을 예치하고 연산을 처리한다. 연산을 올바르게 처리했을 경우 예치해 두었던 보증금과 보상을 받는다.
- Solver의 답이 틀렸다고 판단될 경우
Challenger가 보증금을 예치하고 Solver의 답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후 검증 게임을 실시한다. (Solver와 Challenger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만 검증한다.)
Solver의 연산이 틀리면 Solver의 보증금에서 삭감되며, Solver의 연산이 맞으면 검증 게임에 발생된 비용을 Challenger의 보증금에서 삭감한다.
트루빗 컨트랙트
트루빗 컨트랙트(Truebit Contracts)
▶아라곤(Aragon)예시
온체인에서 투표 결과를 집계하는 연산처리는 비싸고, 블록 가스 제한도 초과하므로 트루빗 프로토콜로 넘김
DApp과 트루빗 프로토콜이 상호작용하기 위한 API이다. 트루빗 스마트 컨트랙트 안에는 createTask라는 함수가 있다. DApp은 createTask함수를 호출할 때 아래의 3가지 변수를 전달한다.
실행하고 싶은 코드. 트루빗은 WebAssembly VM코드를 사용한다. DApp은 bytecode를 넘길 수 있고, IPFS 해시값이나 코드가 저장된 다른 콘텐츠 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실행할 프로그램의 입력 값이다.
DApp은 input값을 직접 제공하거나 input값이 저장된 다른 콘텐츠 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사람에게 지급할 보상
트루빗 네트워크
트루빗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사람 누구나 트루빗 네트워크의 채굴자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은 트루빗 컨트랙트의 이벤트를 주시한다.
트루빗 네트워크(Truebit Network)
트루빗 채굴자들은 새로운 Task가 생기면 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제공된 input과 함께 Truebit WebAssembly VM을 로컬로 실행하여 결과값을 컨트랙트에 제출한다.
(※이 때, 문제를 푼 채굴자를 문제 해결자(Solver)라고 하고, 결과값을 제출할 때 일정량의 보증금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해당 보증금을 통해 자신이 올바른 결과값을 제출했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 Case1. Challenge가 없을 경우
문제 해결자가 결과 값을 제출한 시기부터 타이머가 시작된다. 타이머 동안 제출된 결과값을 검증하여 틀린 결과라고 생각된다면 누구나 챌린지를 다시 신청할 수 있다. 이 때, 챌린지를 신청한 검증자 역시 보증금을 함께 지불해야 한다. 또한, 타이머 동안 아무 챌린지도 제출되지 않았을 경우 문제 해결자가 올바르게 코드 연산을 수행했다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트루빗 컨트랙트가 DApp 컨트랙트로 해당 결과값을 다시 콜백하여 준다.
- Case2. Challenge가 있을 경우
Challenger가 보증금을 걸고 challenge 제출 시, 트루빗 컨트랙트에는 ①Task Giver가 제시한 보상, ②문제 해결자(Solver)의 보증금, ③검증자(Challenger)의 보증금이 예치되어 있다.
한계
결론
각주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트루빗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