봇(bot)이란 로봇(robot)에서 파생된 단어로 특정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개요
봇은 인터넷 상에서 자동화된 작업을 실행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 인간이 하는 행동을 흉내내도록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검색엔진의 웹 크롤러는 웹 사이트 정보를 자동으로 읽어들여 저장하는 프로그램이며, 이외에도 인터넷 채팅에서 자동 응답을 하도록 만든 채터봇 프로그램 등이 있다. 각 서버는 봇이 따를 서버 규칙이 포함된 파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 봇들은 악의적인 목적으로도 이용되기 하며 자기복제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봇은 질문에 대답하고 다른 사람에게 말할 필요없이 빨리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상 비서와 같다. 봇은 스카이프, 페이스북의 메신저 내에 존재한다. 봇은 컴퓨터 비서로 페이스북 메신저와 스카이프를 포함한 대부분의 메시징 앱에 장착되어 있다. 항공권 예약, 호텔 예약, 테이크 아웃 주문도 마찬가지며 이밖에 많은 것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문자 그대로의 봇은 여러 가지 다른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게이머는 게임에서 인공지능 캐릭터로 봇을 이해하지만, 보안에서의 봇넷은 사이버범죄자가 수백만 개의 스팸 메일을 발송하거나 웹 사이트를 공격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에 사용하는 납치된 컴퓨터 그룹이다.
역사
봇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아주 오래된 개념이다. 조셉 바이젠바움(Joseph Weizenbaum)은 1966년에 엘리자(ELIZA)라는 '봇'을 프로그래밍했는데, 이는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이 프로그램은 '무엇을 느낍니까?'라고 답변하는 한 로저스 치료사를 시뮬레이션했으며, 타이핑으로 인간과 얘기를 나눌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화면에서의 반응을 통해 사람인지 컴퓨터인지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지능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조건에서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세계 최초로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프로그램은 2014년 13세 우크라이나 소년을 시뮬레이션한 유진 구스트만(Eugene Goostman)이라는 프로그램이다. 현대의 봇은 엘리자와 유진 구스트만과 매우 흡사하며, 사용자와 채팅을 할 수 있고 현명하고 지능적인 대답으로 응답한다. 많은 사람을 속인 단순한 챗봇도 존재하지만 차세대 챗봇은 아마존 환불 처리에서부터 예약 비행, 점심 식사 주문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을 개인 비서처럼 행동하게 될 것이다. 봇은 많은 면에서 애플의 시리와 구글 나우(Google Now)의 기능과 유사하지만 역량은 월등히 앞선다.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이 봇 문서는 보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개발 :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데이터, 솔루션, 보안 □■⊕, 하드웨어, 컴퓨터, 사무자동화, 인터넷, 모바일, 사물인터넷, 게임, 메타버스, 디자인
|
|
보안
|
CVE • CWE • 관리자권한 • 관리적 보안 • 권한 • 권한관리 • 금융 분산원장기술 보안규범 • 기밀 • 기밀성 • 기술적 보안 • 누설 • 누출 • 누출금지정보 • 니모닉 •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 디지털 워터마킹 • 레인보우 테이블 • 루트킷 • 무결성 • 물리적 보안 • 백신 프로그램 • 버그 바운티 • 보안 • 봇 • 봇넷 • 블랙리스팅 • 블랙박스 • 블록체인 보안 • 비밀 • 비회원 권한 • 사고 • 사용자권한 • 사회공학 • 생체인증 • 시큐어코딩 • 신뢰실행환경 • 암호 • 암호키 • 예방 • 유출 • 이중인증(2FA) • 인증 • 일회용 비밀번호(OTP) • 잠금장치(시건장치) • 접근 • 접근권한 • 접근제어 • 접근차단 • 정보보호관리체계 • 침입방지시스템 • 침입탐지시스템 • 컴퓨터 바이러스 • 킬 스위치 • 통합위협관리(UTM) • 패치 • 페이로드 • 핀(PIN) • 해킹사고 • 화이트박스 • 회원권한 • 효율성
|
|
취약점 공격
|
51% 공격 • OWASP • 그라인딩 공격 • 네트워크 공격 • 누킹 • 디도스 • 디엔에스 스푸핑(DNS스푸핑) • 랜섬웨어 • 레베톤 • 레이스 공격 • 롱레인지 공격 • 리플레이 공격 • 리플레이 프로텍션 • 멀웨어(악성코드) • 모의해킹 • 무차별 대입 공격 • 미라이 봇넷 • 백도어 • 버그 • 버퍼 오버플로 • 벡터76 공격 • 부채널 공격 • 블랙해커 • 블록보류 공격 • 블록체인 해킹 • 사이트 간 스크립팅(XSS) • 사이트 간 요청 위조(CSRF) • 사전공격 • 셸쇼크 • 스누핑 • 스니퍼 • 스니핑 • 스미싱 • 스파이웨어 • 스푸핑 • 시빌공격 • 아이피 스푸핑(IP스푸핑) •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 암호화폐 해킹 • 애드웨어 • 에스큐엘 인젝션(SQL인젝션) • 에이알피 스푸핑(ARP스푸핑) • 원격파일삽입 • 웜 • 웹셸 • 이클립스 공격 • 인젝션 • 제로데이 공격 • 중간자 공격 • 지능형 지속 공격(APT) • 취약점 • 침해사고 • 크래킹 • 크립토락커 • 크립토재킹 • 키로깅 • 트로이목마 • 패스워드 크래킹 • 페니스펜드 • 포맷스트링 공격 • 피니 공격 • 피싱 • 해커 • 해커원 • 해킹 • 혹스 • 화이트해커
|
|
개인정보보호
|
가명 • 개인정보 • 개인정보보호 • 개인정보보호법 • 성명 • 실명 • 유럽연합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 익명
|
|
양자보안
|
광자분리공격(PNS) • 복제 불가능성 원리 • 양자보안 • 측정 후 붕괴
|
|
보안 솔루션
|
V1 • V3 • ZAP • 내PC지키미 • 노턴안티바이러스 • 디아모 • 랩스플러스 • 레드마인 • 레드캐슬 • 맥아피 • 버그질라 • 빅룩 • 빅룩와스 • 빅룩퓨저 • 샤크라 • 소나큐브 • 스패로우 • 스팸스나이퍼 • 시큐브토스 • 시큐어디비 • 아베스트 • 야스카 • 엔스토커 • 엔프로텍트 • 와플즈 • 웹필터 • 제큐어디비 • 제큐어웹 • 지라 • 카스퍼스키 • 파인드벅스 • 피엠디(PMD)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