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首都圈電鐵一號線)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연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는 신창역,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광명역 그리고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서동탄역 등을 잇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한다.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경인선, 경부고속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의 여러 노선에 걸쳐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는 명칭은 이들 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에 대한 통합된 명칭이다.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남색이다.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하는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주도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의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함과 동시에 철도청 소유의 철도 노선인 경원선, 경부선과 경인선에도 통근형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곧이어 둘은 서로 직결 운행을 하게 되어, 수원시와 인천시(현재의 인천광역시)에서도 수도권 전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준으로 하여, 의정부역,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등을 비롯한 서울의 부도심과 부평역, 동인천역 등 인천광역시의 도심과 부도심, 그리고 안양역, 수원역, 서동탄역, 평택역 등의 근교 지역을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까지 연결하여, 현재 수도권 전철에서 제일 긴 구간[내용주 1]을 운행한다. 또 대한민국에서 통근 전철 구간과 도시 철도 구간이 직결 운행하는 최초의 운행 계통이다.
초창기에는 간단하게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혹은 국철(國鐵, Korea Nat'l Railroad)로 불렸으며 ■남색을 안내에 사용하였다. 1978년 12월 9일에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이 전철화되면서 용산 - 성북(현 광운대역)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1988년 10월 25일은 금정 - 원곡(현 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되어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청량리발 안산행이었으나 이후 구로 → 안산 → 노량진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 이름을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바꾸고 여객 안내에서 더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구별하지 않고, 그 후로는 노선을 구별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거의 같은 노선 취급을 받으나,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여객 안내를 제외하고는 아직도 노선별로 명칭을 다르게 쓰는 경우가 있다. 2003년 4월 30일에는 경부선 수원역에서 병점역까지 전철 연장 개통과 함께 1호선 전동차의 안산선 직결 운행은 중단되었으며 2005년 12월 16일은 회기역에서 덕소역까지 중앙선 전철이 별개로 개통되어 용산~덕소 간 상호 직결 운행개시, 이로서 경원선 용산 - 성북(현 광운대역) 구간의 운행은 중단되었다.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 개통되었고, 2006년 12월 15일에는 경원선 의정부북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으며, 2008년 12월 15일에 장항선 복선전철 구간에 포함되는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 연장 개통되으며, 북쪽 구간으로 동두천역 ~ 연천역 구간을 2023년 12월 16일 단선으로 연장 개통되었다. 연천역으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최초로 수복지구에 진입하는 노선이 되었다.
연혁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서울역앞역, 경부선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 구로역 - 인천역, 경원선 청량리역 - 성북역(현 광운대역) 구간 38개 전철역 개통 및 상호 노선 직결 전동차 운행 개시, 경인선 일반열차 운행 중지
-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간 4개 역 개통, 경원지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79년 2월 1일: 경부선 율전역(현 성균관대역) 개통
-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 개통
- 1980년 4월 1일: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한남역 개통
- 1980년 7월 10일: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 1981년 12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수원역 간 복복선 개통
- 1982년 8월 2일: 경부선 석수역 개통
- 1982년 9월 25일: 수원 - 서울 직통열차 신설
- 1983년 6월 30일: 시청앞역을 시청역으로 개칭
- 1984년 1월 1일: 율전역을 성대앞역으로 개칭
- 1984년 5월 22일: 경부선 신도림역 개통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역)
- 1984년 11월 20일: 경인선 백운역 개통
- 1985년 1월 14일: 경원선 석계역 개통
- 1985년 1월 24일: 서울역앞역을 서울역으로 개칭
- 1985년 8월 22일: 경원선 성북 - 창동 구간 개통과 함께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 개시
- 1985년 10월 18일: 경원선 옥수역 개통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역)
-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역 - 의정부역 구간 연장개통
- 1987년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북부역(현 가능역) 개통
- 1987년 12월 31일: 경인선 중동역 개통
- 1988년 1월 16일: 경인선 온수역 개통
- 1989년 10월 25일: 경부선·안산선 금정역 개통 →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 - 구로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주안 간 반복 열차 투입
- 1994년: 경부선 서울역 - 영등포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발 주안행에서 용산발 주안행으로 전환
- 1994년 7월 11일: 경인선 간석역, 도원역 개통
- 1994년 12월 1일: 성대앞역을 성균관대역으로 개칭
- 1995년 2월 16일: 경인선 구일역 개통
- 1996년 3월 28일: 경인선 부개역 개통
- 1996년 10월 11일: 경원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1997년 4월 30일: 경인선 소사역, 경부선 신길역 개통 (서울 지하철 5호선)
- 1998년 1월 7일: 경부선 독산역 개통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역 - 부평역간 복복선 개통, 용산-주안 보통에서 용산-부평 직통으로 변경
- 2000년 2월 29일: 경인선 온수,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개시
- 2000년 5월 1일: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변경됨
- 2001년 11월 30일: 경인선 도화역 개통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역 - 주안역간 복복선 개통, 기존 용산발 부평역직통에서 주안역직통(급행)으로 변경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역 - 병점역 구간 연장 개통, 안산선이 수도권 전철 4호선의 단일 운행 구간으로 독립 및 안산-경부선 직결 노선 열차 운행 폐지
- 2003년 7월 30일: 경부선 영등포역의 선로에 떨어진 승객을 구하려던 김행균 2003년 4월부터 당시 열차운용과장(현재 퇴직)이 승객을 구하고 대신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
- 2004년 6월 25일: 기존 남부화물기지선 의왕역을 오봉역으로, 부곡역을 의왕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됨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역 - 천안역 및 부성역 구간 연장 개통 (세마, 오산대, 진위, 지제역 제외)
- 2005년 7월 1일: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 변경
- 2005년 12월 16일 경원선 용산역 - 회기역 구간이 1호선(국철)에서 분리되어 용산-덕소선(현 경의중앙선)이 됨, 동시에 병점역 시종착 전동차가 지하 청량리역에서 성북역까지 연장 운행 개시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역 - 동인천역 간 복복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과 서울 지하철 6호선 간 환승 개통, 용산역 시종착 급행열차를 주안역에서 동인천역으로 연장운행
- 2005년 12월 27일: 경부선 세마역, 오산대역 개통
- 2006년 6월 30일: 경부선 진위역, 지제역 개통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의정부역 - 동두천역 복선 전철화 구간 연장 개통, 동두천역 - 소요산역 단선 전철화 구간 연장 개통, 용산 - 광명 간 KTX 광명 셔틀 운행 개시, 의정부북부역을 가능역으로, 동두천역을 동두천중앙역으로, 동안역을 동두천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 기존 의정부북부행은 의정부행, 양주행, 동두천행, 소요산행으로 행선지가 분화됨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녹양역, 보산역 개통
- 2007년 12월 28일: 경원선 덕계역 개통, 주내역을 양주역으로 역명 변경
- 2008년 12월 1일: KTX 광명 셔틀 운행 구간을 용산역 시종착에서 영등포역 시종착으로 단축 및 열차 편성을 10량에서 4량으로 단축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역 - 신창역 구간 연장 개통
- 2008년 12월 29일: 시흥역을 금천구청역으로 역명 변경
- 2009년 1월 21일: 경부선 당정역 개통
- 2010년 1월 26일: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연장 개통
- 2013년 2월 25일: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
- 2013년 11월 30일: 수도권 전철 분당선 연장 개통에 따른 경부선 수원역에서 분당선(현 수인분당선) 환승 개시
- 2014년 8월 25일: 영등포역 - 병점역 구간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3월 2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4호선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철도 환승 통로 개통
- 2015년 10월 31일: 경부선 노량진역과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량진역 간 환승 통로 개통
- 2016년 2월 1일: 경인선 개봉역과 제물포역에 경인선 급행열차 추가 정차 개시
- 2016년 2월 27일: 수인선(송도~인천) 복선전철 개통으로 경인선 인천역에서 수인선 환승 개시
- 2016년 7월 30일: 경인선 주안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2호선 환승 개시
- 2016년 9월 26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회기역 환승 개시
- 2016년 12월 9일: 신창급행 신설, 수서평택고속선 개통에 따라 SRT 지제역(現 평택지제역) 연계 이용 개시
- 2017년 7월 7일: 경인선 특급열차 운행 개시 (정차역: 동인천-주안-부평-송내-부천-구로-신도림-노량진-용산)
- 2017년 9월 2일: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신설동역에서 우이신설선 환승 개시
- 2018년 6월 16일: 경인선 소사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 환승 개시
- 2019년 12월 30일: 경부선 급행 개편으로 경부선 용산 급행 및 서울 급행 폐지, 청량리 착발로 일원화 및 증회, 금정역과 성균관대역을 급행열차 정차역으로 추가
- 2020년 1월 28일: 서울 급행 운행 재개 및 청량리 급행 6회 완행전환
-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선 전 구간 개통으로 경부선 수원역이 수인·분당선 환승역으로 안내가 대체됨
- 2020년 11월 24일:경부선 지제역을 평택지제역으로 역명 변경
- 2021년 10월 30일: 장항선 탕정역 개통
- 2022년 5월 28일: 경부선 대방역에서 서울 경전철 신림선 환승 개시
- 2022년 6월 20일: 경인선 특급열차 운행 개시 (정차역: 역곡-영등포)
- 2023년 12월 16일: 경원선 소요산역 - 연천역 전철화 구간 연장 개통. 소요산역 역사 신설.
인용 오류: "내용주"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내용주" />
태그가 없거나,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