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首都圈 電鐵, Seoul Metropolitan Subway Syste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등 지역에서 운행한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 등을 이른 말이다. 수도권 전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복잡한 교통 체계를 가진 광역전철 체계다.
역사[편집]
수도권 전철은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 개통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함께 경부선, 경원선, 경인선 등과의 직결 운행을 개시한 것이 시초다. 광운대역부터 서울역까지와 인천역부터 수원역까지 이른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후 서울 지하철의 확충과 서울 근교 철도 구간의 전동차 운행을 통해 노선을 확충해 나가게 됐으며,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규칙성이 없던 노선들의 안내를 일괄적으로 정리해 보다 확실한 수도권 전철 체계가 정립됐다. 한편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일산선, 과천선, 안산선 등을 일괄적으로 수도권 전철로 부르던 것을 2000년에 '1호선', '3호선', '4호선' 등으로 분리했다.
연혁[편집]
자세한 사항은 각 노선 문서의 연혁에서 볼 수 있다.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 청량리역~서울역까지 개통과 동시에 경원선, 경부선 성균관대역, 경인선 등을 이어서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을 빼고 나머지 구간은 국철로 안내됨.
- 1978년 1월 11일: 경원선 용산역~청량리역 구간이 추가로 수도권 전철에 편입됨. 회기역 직전에 합류해 용산역~광운대역 구간을 운행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선으로 취급됨.
- 1980년 1월 5일: 경원선 신이문역, 회기역, 신도림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환승역) 개통
- 1980년 2월 10일: 경부선, 경원선 회기역 / 경인선 백운역, 석계역, 신길역 개통
- 1980년 3월 10일: 경원선 서빙고역, 회기역, 옥수역 (서울 지하철 3호선 환승역) 개통
- 1980년 7월 10일: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 1980년 7월 1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성수역을 응봉역으로 개칭.
- 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 1981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교대역 구간 개통.
- 1981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영등포역~수원역 간 복복선 개통.
- 1983년 8월 25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을지로입구역 구간 개통, 신설동역~성수역 구간이 별개의 지선으로 분리.
- 1983년 9월 17일: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서울대입구역 구간 개통.
- 1983년 10월 23일: 교대역~서울대입구역 6.7km 구간 개통
- 1984년 5월 12일: 교대역~서울대입구역 19.8km 개통으로 을지로순환선 완성
- 1984년 5월 18일: 동교역에서 홍대입구역으로 변경
- 1984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삼송역~독립문역 구간 개통.
- 1985년 4월 20일: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역~한성대입구역 구간 개통, 경원선 광운대역~의정부역 및 경인선 온수역, 간석역, 도원역 구간 개통과 함께 경원선 창동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 환승 개시
- 1985년 9월 1일: 서울 지하철 구간 역무 자동화.
- 1985년 9월 27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남태령역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옥수역,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양재역 구간 개통.
- 1986년 3월 2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독산역 개통.
- 1986년 7월 12일: 경원선 의정부역~가능역 및 경인선 중동역, 부개역, 도화역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 역명 변경
- 1987년 12월 3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중동역 개통.
- 1989년 10월 25일: 경부선·안산선 금정역 개통 → 안산선 직결 운행 계통 운행 개시
- 1990년 4월 1일: 화물터미널역을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
- 1991년: 수도권 전철 구간 역무 자동화.
- 1991년 11월 23일: 경부선 영등포역~구로역 간 3복선 개통, 영등포역~주안역 간 반복 열차 투입
- 1992년 3월 20일: 기지역에서 용답역으로 역명 변경
- 1992년 5월 22일: 신정지선 신도림역~신정네거리역 1.9km 구간 개통
- 1993년 10월 30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서초구청)~수서역 (7.5 km, 7개 역) 개통.
- 1994년 1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서울역~영등포역 간 3복선 개통.
- 1994년 4월 1일: 과천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남태령역 및 과천정보타운역 구간 연장 개통. 수도권 전철 4호선 형성. 남태령역~선바위역 사이에 꽈배기굴 생김
- 1994년 9월 1일: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서역~오리역 구간 개통
- 1995년 11월 15일: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상일동역 구간 개통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대화역 및 원흥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20일: 방화역~까치산역 및 마곡(홈&쇼핑)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30일: 강동역~마천역 구간 개통
- 1996년 8월 12일: 까치산역~여의도역 구간 개통
- 1996년 9월 20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읍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모란역 및 남위례역 구간 개통.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역~부평역간 복복선 개통, 용산역~주안역 보통에서 용산역~부평역 직통으로 변경
- 1999년 6월 2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약수역 및 동묘앞역 1호선 구간 환승 개통
- 199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암사역 구간 개통.
- 1999년 10월 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동막(저어새 생태학습관)역 구간 개통.
- 2000년 10월 24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약수역~응암역 및 버티고개역, 한강진역, 이태원역 구간 개통
-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00년 5월 1일: 수도권 전철 및 서울 지하철의 명칭 통합 정책에 의해 기존 국철 구간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안내 명칭이 통합돼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개칭.
- 2000년 7월 28일: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안산역~오이도역 구간 개통.
- 2001년 8월 3일: 신당역 2호선 환승 통로 개통
- 2003년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동탄역 구간 개통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 직결 열차 폐지.
- 2003년 7월 30일: 경부선 영등포역의 선로에 떨어진 승객을 구하려던 김행균 2003년 4월부터 당시 열차운용과장(현재 퇴직)이 승객을 구하고 대신 부상한 사고가 발생
- 2003년 8월 30일: 분당선 수서역~선릉역 및 이매역 구간 개통.
- 2004년 : 운임 산정 방식을 구간 운임제에서 다시 거리 비례제로 변경. 버스와의 환승 할인 제도 도입.
- 2004년 6월 25일: 기존 남부화물기지선 의왕역을 오봉역으로, 부곡역을 의왕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됨
- 2004년 11월 26일: 경기도 용인시 구성읍 보정리 (현.기흥구 보정동)에 보정역을 임시역 형태로 개통.
- 2004년 12월 20일: 경부선 병점역~천안역 및 경부선 부성역, 진위역, 평택지제역, 세마역, 오산대역 구간 연장 개통.
- 2005년 7월 1일: 가리봉역을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역명 변경
-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별개로 분리돼 독립된 운행 계통이 됨. 회기-팔당역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용산-팔당선 용산-팔당간 전철 운행 개시, 중랑역, 양원역, 구리(구리전통시장)역, 양정역,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개통
- 2006년 5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의정부~소요산역 구간 단선 전철화 개통 및 동안역을 동두천역으로, 동두천역을 동두천중앙역으로, 접근 편의성을 위한 셔틀 열차를 용산~광명역 구간에서 운행, 경원선 녹양역, 보산역, 덕계역 개통
- 2007년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역 및 영종역 구간 개통.
- 2007년 12월 24일: 수도권 전철 분당선 오리~죽전(단국대)역 구간 개통.
- 2008년 12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KTX 광명 셔틀 열차 운행구간을 용산~광명역에서 영등포~광명역으로 단축 및 10량에서 4량으로 단축
- 2008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천안~신창(순천향대)역 및 탕정역 구간 개통. 경부선 계통과 통합 운행.
- 2008년 12월 29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시흥역을 금천구청역으로 개칭 및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지평역 구간 개통.
- 2009년 2월 1일: 수도권 전철 승차권을 자기식 종이 승차권에서 1회용 IC식 교통카드로 교체.
- 2009년 6월 1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저어새 생태학습관)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 구간 개통.
-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역~문산역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신논현역 및 마곡나루(서울식물원)역 구간 개통.
- 2010년 2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오금역 구간 개통.
- 2010년 5월 27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을 잠실나루역으로 개칭.
- 2010년 9월: 신호체계를 독일 지멘스 사의 ATP/ATO로 변경
-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춘천(한림대)역 및 별내(삼육대학교)역, 신내역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수도권 전철 중앙선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망우역 환승 개통 및 오빈역 개통.
- 2010년 12월 29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및 마곡나루(서울식물원)역 구간 개통.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역 사이를 운행했던 직통열차가 서울역~인천국제공항역으로 변경.
- 2011년 6월 30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성공회대입구)~부평구청(세림병원)역 구간 개통
- 2011년 7월 1일: 서울메트로와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전 노선에 접근 멜로디를 도입.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제외)
-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강남(하루플란트치과)~정자역 구간 개통.
- 2011년 11월 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 청라국제도시(하나금융타운)역 개통.
-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죽전(단국대)~기흥(백남준아트센터)역 구간 개통. 보정역 지하화와 함께 지상 역사 폐쇄. 경원대역을 가천대역으로 개칭.
-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송도역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편입.
- 2012년 7월 1일: 의정부경전철 발곡~탑석역 구간 개통.
- 2012년 9월 15일: 분당선 선릉(애큐온저축은행)~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일: 분당선 기흥(백남준아트센터)~망포역 및 달월역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용산선 디지털미디어시티~공덕역, 천마산역, 왕숙역 구간 개통.
- 2013년 3월 28일: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신논현~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 2013년 4월 26일: 용인경전철 기흥(백남준아트센터)~전대·에버랜드역 구간 개통.
- 2013년 8월 1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전 노선에 서울메트로,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접근 멜로디로 도입.(9호선, 신분당선 제외)
- 2013년 11월 4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역~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구간 개통.
- 2014년 8월 2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한신대)역 간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9월 20일: 용인경전철, 의정부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적용.
-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용산역 및 향동역, 영태역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 용산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형성.
- 2015년 3월 28일: 수도권 전철 1호선, 4호선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철도 환승 통로 개통
- 2015년 7월 30일: 경인선 주안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2호선 환승 개시,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검단산업단지)~운연(서창)역 구간 개통.
- 2015년 10월 31일: 효창공원앞역 경의중앙선 환승 개통
- 2016년 1월 30일: 신분당선 정자~광교(경기대)역 및 미금역 구간 개통
- 2016년 2월 1일: 경인선 개봉역과 제물포역에 경인선 급행열차 추가 정차 개시
- 2016년 2월 27일: 수인선(송도~인천) 및 학익역 복선전철 개통으로 경인선 인천역에서 수인선 환승 개시
- 2016년 9월 24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판교테크노밸리)~여주(여주대)역 및 성남역 구간 개통
- 2016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신창(순천향대)역 간 급행열차 신설.
- 2016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천역에서 잠실새내역으로 변경
- 2017년 7월 7일: 수인선 급행 신설, 경인선 특급 급행 신설 및 경의선 문산~서울역 구간 급행 확대.
- 2017년 9월 2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신설동역 구간 개통.
- 2018년 1월 1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인천국제공항역을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개칭.
- 2018년 1월 31일: 서울 지하철 9호선 중앙보훈병원~종합운동장역 구간 개통
- 2018년 4월 25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서울신대)~원시역 및 하중역 구간 개통.
- 2018년 9월 28일: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양촌(디원시티)역 구간 개통.
- 2019년 6월 17일: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선 상일동~하남풍산역 및 강일역 구간 개통
- 2020년 3월 28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역 및 운천역 구간 개통.
- 2020년 8월 8일: 서울 지하철 5호선 하남풍산~하남검단산역 구간 개통
-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선 오이도~수원역 구간 개통. 수도권 전철 분당선과 수원역에서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형성.
- 2020년 11월 24일: 서해선 원곡역을 시우역으로 개칭.
- 2021년 3월 16일: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 불암산~진접(경복대)역 및 풍양역 구간 개통
- 2021년 3월 25일: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세림병원)~석남(거북시장)역 구간 개통.
- 2021년 5월 22일: 신분당선 강남(하루플란트치과)~신사역 구간, 서울 경전철 신림선 동여의도~관악산(서울대)역 구간 개통.
- 2021년 10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풍기역, 의정부 경전철 차량기지 임시승강장역 개통.
- 2022년 6월 20일: 경인선 특급열차 운행 개시 (정차역: 역곡역~영등포역)
-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서울신대)~일산역 구간 개통.
- 2023년 11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화전역을 한국항공대역으로 개칭.
- 2023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소요산~연천역 구간 단선 전철화 개통.
- 2024년 1월 29일: 용인경전철 운동장.송담대역을 용인중앙시장역으로 개칭.
- 2024년 3월 30일: GTX-A 수서~평택지제(한경국립대)역 및 구성역 구간 개통.
- 2024년 6월 29일: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 암사~별내별가람역 구간 개통
- 2024년 12월 28일: GTX-A 운정중앙~수서역 구간 개통.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