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안동 김씨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씨 신 안동 김씨
新 安東 金氏
관향 경상북도 안동시
시조 김선평(金宣平)
중시조 김습돈(金習敦)
집성촌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상북도 안동시, 의성군, 예천군, 청송군
충청남도 논산군, 청원군, 괴산군, 연기군
충청북도 음성군, 부여군
경기도 고양시, 광주시, 포천시, 양평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인물 김계권, 김계행, 김번, 김원효, 김극효, 김상용, 김상준, 김상관, 김상헌, 김광욱, 김광찬, 김광혁, 김광현, 김수흥, 김수항,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김이소, 김이교, 김병교, 김병기, 김병지, 김온순, 김달순, 김매순, 김희순, 김조순, 김명순, 김문순, 김수근, 김홍근, 김흥근, 김좌근, 김삼근, 김성근, 김병학, 김병덕, 김병국, 김병시, 김병기, 김병기, 김병덕, 김병원, 김병지, 김병필, 김병익, 김병학, 김호규, 김덕규, 김창규, 김옥균, 김성락, 김경진, 김동진, 김덕진, 김복진, 김영진, 김성진, 김석진, 김익진, 김좌진, 김가진, 김기진, 김광림, 김상년, 김익기, 김인년, 김무연, 김광현, 김시현, 김세현, 김모임, 김범일, 김명동, 김익동, 김복동, 김옥숙, 김증한, 김영한, 김두한, 김수한, 김종한, 학조대사, 영빈김씨, 순원왕후, 효현왕후, 철인왕후
년도 2015
인구 47,702명
나라 한국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경상북도 안동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편집]

시조 김선평(金宣平)은 경순왕(敬順王)의 방계승통으로 진골이며 고창녕국(古昌寧國)의 성주였다. 930년(고려 태조 13년) 김선평(金宣平), 권행(權幸), 장길(張吉) 삼사는 군사들을 이끌고 전쟁에서 승리하여 고려 태조를 도운 공로로 태사 작위를 받았다. 이후 고창부에서 안동부(安東府)[1]로 승격되었다. 이후 신 안동 김씨가 형성되었다.[2] 공수부정 김습돈(金習敦)을 중시조로 한다.

조선조에 들어와 후손 비안현감 김삼근(金三近, 1390. ~ 1465.)이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부근에 살다가 소산리으로 옮겨 정착한 이래 크게 번성하였다. 장자 김계권(金係權, 1410. ~ 1458.)은 한성판관이고, 차자 김계행(金係行, 1413. ~ 1517.)은 대사헌으로 재임하였다.

김계권(金係權, 1410. ~ 1458.)은 5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세조의 국사를 지낸 명승 학조대사(學組大師)이고, 둘째 김영전(金永詮, 1837.)은 사헌부감찰, 셋째 김영균(金永勻, 1822. ~ 1872.)은 진사, 넷째 김영추(金永錘, 1443.)는 수원부사, 다섯째 김영수(金永銖, 1716. ~ 1786.)는 사헌부장령으로 재임하였다.

다섯째 사헌장령 김영수는 3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 김영(金瑛, 1475. ~ 1582.)은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으로 재임하였고, 둘째 김번(金璠, 1479. ~ 1544.)도 문과에 급제하여 평양서윤으로 재임하였고, 셋째 김순(金珣, ~ 1623.)은 진사시에 합격하여 형조좌랑으로 재임하였다.

평양서윤을 역임한 김번(金璠, 1479. ~ 1544.)의 후손들이 분파하였는데, 왕비 3명, 후궁 1명, 부마도위 2명, 종묘공신 6명, 판서 35명, 당상관(정3품 이상) 140여 명 등 가장 많은 고관대작을 배출하였다.

손자 동지돈녕부사 김극효(金克孝, 1542. ~ 1618.)와 그의 아들 김상용(金尙容, 1561. ~ 1637.), 김상헌(金尙憲, 1570. ~ 1652.) 형제가 현달하여 인조 때 상신에 올랐다. 김상헌(金尙憲, 1570. ~ 1652.)의 손자 김수항(金壽恒, 1629. ~ 1689.) 영의정의 자제들인 김창집(金昌集, 1648. ~ 1722.) 영의정, 김창협(金昌協, 1651. ~ 1708.) 대제학, 김창흡(金昌翕, 1653. ~ 1722.) 사헌부집의,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 이조참의, 김창즙(金昌緝, 1662. ~ 1713.) 왕자사부, 김창립(金昌立, 1666. ~ 1683.) 형제는 덕망과 명망으로 높게 현달하고 당대를 지배하였던 인물들로 서인 노론 세력의 중추가 되었다.

김창집(金昌集, 1648. ~ 1722.) 영의정의 현손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 부원군의 딸이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 ~ 1857.)가 되면서 김조순(金祖淳, 1765. ~ 1832.)은 국구로서 영안부원군에 봉해졌고, 헌종왕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 ~ 1843.), 철종왕비 철인왕후(哲仁王后, 1837. ~ 1878.)에 이르기까지 세도 가문이 되었다. 이들 후손들은 한양 백악산 아래 장의동에 세거하여 장동 김씨(壯洞 金氏)라고 하였다. “금관자(金貫子)가 서 말인 집안”이라고 말하며, 17세기 이후 최고 명문가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주요 인물[편집]

고대시대[편집]

성함 영역 종파 직위
김선평(金宣平) 정치
왕실
안동김씨시조 태사

중세시대[편집]

성함 영역 종파 직위
김조순(金祖淳) 정치
왕실
문정공파 부원군
김조근(金祖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부원군
김문근(金汶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부원군
순원왕후(純元王后) 정치
왕실
문정공파 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정치
왕실
문정공파 왕후
철인왕후(哲仁王后) 정치
왕실
문정공파 왕후
김광찬(金光燦)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수흥(金壽興) 정치
왕실
부사공파 영의정
김수항(金壽恒)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창집(金昌集)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유근(金逌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흥근(金興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좌근(金左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국(金炳國)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병시(金炳始)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석진(金奭鎭)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영의정
김상헌(金尙憲) 정치
왕실
문정공파 좌의정
김이소(金履素) 정치
왕실
문정공파 좌의정
김이교(金履喬) 정치
왕실
문충공파 좌의정
김홍근(金弘根) 정치
왕실
문충공파 좌의정
김병학(金炳學) 정치
왕실
문정공파 좌의정
김상용(金尙容) 정치
왕실
문충공파 우의정
김달순(金達淳) 정치
왕실
문정공파 우의정
김병덕(金炳德) 정치
왕실
문충공파 우의정
김상관(金尙寬) 정치
왕실
부사공파 좌찬성
김병기(金炳冀) 정치
왕실
문정공파 좌찬성
김창협(金昌協) 정치
왕실
문정공파 대제학
김희순(金羲淳) 정치
왕실
문정공파 대제학
김유근(金逌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병조판서
김보근(金輔根) 정치
왕실
문충공파 병조판서
김병지(金炳地) 정치
왕실
문정공파 공조판서
김창업(金昌業)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판서
김문순(金文淳)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판서
김수근(金汶根)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판서
김병교(金炳喬)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판서
김난순(金蘭淳) 정치
왕실
문충공파 형조판서
김응균(金應均) 정치
왕실
문충공파 예조판서
김병필(金炳弼) 정치
왕실
문정공파 예조판서
김명순(金明淳)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참판
김매순(金邁淳) 정치
왕실
문충공파 예조참판
김온순(金蘊淳) 정치
왕실
문충공파 공조참판
김병기(金炳基) 정치
왕실
문충공파 이조참의
김병필(金炳弼) 정치
왕실
문정공파 이조참의
영빈김씨(寧嬪金氏) 정치
왕실
문정공파 귀비

근대시대[편집]

성함 영역 종파 직위
김성근(金聲根)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병익(金炳翊)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학진(金鶴鎭) 정치
정부
문정공파 조선귀족
김석진(金鶴鎭) 정치
정부
문정공파 조선귀족
김종한(金宗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가진(金嘉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덕한(金宗漢) 정치
정부
문정공파 조선귀족
김세현(金始顯)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호규(金虎圭) 정치
정부
문충공파 조선귀족
김옥균(金玉均) 정치
정부
문충공파 급진개화파
김영한(金榮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창한(金彰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병규(金炳奎)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서규(金瑞圭)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영진(金英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병원(金炳鵷)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경진(金慶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중추원참의
김좌진(金佐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독립운동가
김동진(金東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독립운동가
김완규(金完圭) 정치
정부
문정공파 독립운동가
김시현(金始顯) 정치
정부
승의랑공파 독립운동가
김의한(金毅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독립운동가
김복한(金福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독립운동가
김명동(金明東) 정치
정부
문충공파 독립운동가

현대시대[편집]

성함 영역 종파 직위
김수한(金守漢) 정치
정부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장
김옥숙(金玉淑) 정치
정부
참봉공파 영부인
김덕규(金德圭) 정치
정부
참봉공파 국회부의장
김태동(金泰東) 정치
정부
문충공파 보건사회부장관
김성진(金晟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보건사회부장관
김호진(金浩鎭) 정치
정부
진사공파 고용노동부장관
김성진(金聖鎭) 정치
정부
문정공파 문화공보부장관
김모임(金慕妊) 정치
정부
시중공파 보건사회부장관
김익진(金翼鎭) 정치
정부
문충공파 검찰총장
김창규(金昌圭) 정치
정부
참봉공파 공군참모총장
김인년(金仁年) 정치
정부
첨사공파 공군참모총장
김범일(金範鎰) 정치
정부
증참의공파 대구광역시장
김무연(金武然) 정치
정부
계공랑공파 경상북도지사
김증한(金曾漢) 정치
정부
문충공파 교육부차관
김복동(金復東) 정치
정부
참봉공파 신군부장군
김광림(金光琳) 정치
정부
처사공파 기획재정부차관
김대진(金大鎭) 정치
국회
어담공파 국회의원
김두한(金斗漢) 정치
국회
문충공파 국회의원
김익기(金翼基) 정치
국회
사헌공파 국회의원
김상년(金聖鎭) 정치
국회
승의랑공파 국회의원
김을동(金乙東) 정치
국회
문충공파 국회의원
김성동(金盛東) 정치
국회
예의소승공파 국회의원
김충환(金忠環) 정치
국회
생원공파 국회의원
김형동(金亨東) 정치
국회
생원공파 국회의원


왕실과의 인척 관계[편집]

조선[편집]

여왕 외척 본관 직위
순원왕후 순조 전주 국왕
효현왕후 헌종 전주 국왕
철인왕후 철종 전주 국왕

항렬자[편집]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46세
□순(淳) □근(根) 병(炳) □규(圭)
□균(均)
□진(鎭) □한(漢) □동(東) □현(顯) □년(年)
□기(基)
□일(鎰)
□종(鍾)
□구(求) □모(模) 연(然) □배(培) □선(銑) 원(源) □영(榮) 사(思) □준(浚) 선(善) □택(澤) □식(植) □환(煥) □철(喆) □용(鏞)

문화 유적[편집]

태장재사[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석실서원[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풍고묘역[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왕후예릉[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구[편집]

  • 1985년 21,554명
  • 2015년 47,702명

참고 문헌[편집]

세도정치[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해박해[편집]

{{#invoke:Labelled list hatnote|labelledLi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1. 본래 고창녕국(古昌寧國)이 신라에 정복되어 고타야군(古陀耶郡)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고창군(古昌郡)으로 개칭되었고, 이후에는 980년(경종 5년) 영가군(永嘉郡), 1197년(명종 27) 안동도호부, 1204년(신종 7) 안동대도호부, 1308년(충렬왕 34) 복주목(福州牧),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피난 온 공민왕을 섬긴 공으로 안동대도호부가 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의 토성(土姓)으로 권(權)·김(金)·강(姜)·조(曺)·장(張)·고(高)·이(李) 7성이 기록되어 있으며 약 1100년 이상의 유적들이 남아 있다.
  2. 문헌 :《高麗史, 新增東國輿地勝覽》.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