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마스터노드'''(masternode)란 [[블록]] 마스터노드는 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입니다. 마스터노드는 해당되는 코인의 블록체인과 완전하게 동기화된 하나의 [[노드]] ('''full node''') 또는 암호화폐 지갑이다. 간단히 말한다면 탈중앙 서버라고 말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노드의 사용처를 변행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특별한 수행을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내용이다. 일반적 '''노드'''와는 비교 했을때 기능이 많이 존재하여서 많은 서버 유지비가 들어간다. 마스터노드를 운영하는 코인만큼 인센티브제로 코인을 보상받을 수 있게 가지고 있다. 하루에 몇 번을 보상을 지급하는 다양한 '''마스터노드'''가 존재하고 운영중이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 + | '''[[마스터노드]]'''는 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이다. 마스터노드는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
| | | |
− | '''지분증명(Proof-of-Stake)''' 비교분석한다면 많은점이 다릅니다. 많은 사용자들은 마스터 노드가 지분증명 방식의 연장선이라고 생각들합니다. 그것은 아닙니다. 마스터노드의 작업증명 (Proof-of-Work, PoW)이라는 프로텍션 [protection]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숙지하여한다.
| + | ==노드== |
| + | [[노드]](node)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이다. 노드는 은행 금고를 지키는 파수꾼으로 볼 수 있다. 금고 주위에 파수꾼이 많으면 금고가 더 안전한 것처럼 블록체인 또한 노드가 많을수록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은 강화된다. |
| | | |
− | == 마스터노드의 중요기능 == | + |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
− | * 투표와 노드화된 중앙 거버먼트(government) 탈중앙 노드구축기술
| + | 노드는 [[풀 노드]](full node)와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나뉜다. 풀 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 노드에 의존한다. |
− | * 네트워크의 모든 마스터노드는 중앙화된 서버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익명성을 강조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 | |
− | * 컴퓨팅 파워를 제공함으로써 생태계를 유지시켜주며 전기료가 다른코인에 비해 적게들어간다.
| + |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 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한 접속권한 부여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다시 사용해보면 풀 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
− | * 일정 지분의 코인을 가지고 해당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이있다.
| + | |
− | * 언제 어디서든 채굴 현황 확인과 출금(채굴된 분량만)이 가능합니다.
| + |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 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풀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 | * 노드중에도 중앙 마스터 노드가 존재한다. 다른 사람들이 거래를 원활하게 하거나 익명거래를 위해 주소를 믹싱해서 숨겨주는 등 특정 서비스를 하면 마스터노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코인별로 정해진 수량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특정 코인을 정해진 수량 만큼 구축한 가상 서버에 넣어두면 채굴과 같이 코인을 생성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 | |
| + | ==마스터 노드== |
| + | 마스터 노드라고 하면 주인, 혹은 상위 노드로 표현된다. 좀 더 구체적인 의미는 풀 노드 중에서 권한과 보상을 받는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 풀 노드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부 저장해 네트워크에 기여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마스터노드는 풀 노드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투표 실시)을 받고, [[트랜잭션]]의 추가기능(익명, 즉시 전송)을 수행한다. |
| + | |
| + | 풀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채굴]]을 하지 않을 경우, 풀 노드를 운영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보상도 지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의 풀 노드들은 대부분 채굴을 위한 풀 노드들이지 개인이 사용하는 노드가 아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규모 구성원들의 대부분은 라이트 노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마스터노드가 고안된 것이다. 또한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
| + | |
| + | 즉, 마스터 노드 체제가 나온 이유는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을 주기 위함이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예를 보면 비트코인 이용자는 증가하지만 풀 노드의 숫자는 감소하고 있다. 풀 노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저장 용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이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풀 노드가 감소하는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풀 노드가 감소하면 네트워크는 약해지고 결국 사용자도 줄어들게 된다. |
| + | |
| + | ==대시와 마스터코인== |
| + |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합의 체제인 [[대시]]의 경우 블록보상 비율은 [[채굴자]] 45%, 마스터노드 45%, [[거버넌스]] 10%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대시의 마스터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대시 코인을 1,000개 보유해야 하며, [[네트워크]]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양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즉시전송, 익명전송 기능과 합의체제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채굴자와 동일한 블록보상을 받게 함으로써 풀 노드의 유지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
| |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마스터노드는 익명성과 즉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시 마스터노드를 설명하기 위해 생겨난 단어이다. 마스터노드는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코인은 대시코인, 해피코인이 있다.
노드
노드(node)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이다. 노드는 은행 금고를 지키는 파수꾼으로 볼 수 있다. 금고 주위에 파수꾼이 많으면 금고가 더 안전한 것처럼 블록체인 또한 노드가 많을수록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은 강화된다.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노드는 풀 노드(full node)와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나뉜다. 풀 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 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 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한 접속권한 부여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다시 사용해보면 풀 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 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 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풀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스터 노드
마스터 노드라고 하면 주인, 혹은 상위 노드로 표현된다. 좀 더 구체적인 의미는 풀 노드 중에서 권한과 보상을 받는 노드로 정의할 수 있다. 풀 노드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전부 저장해 네트워크에 기여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마스터노드는 풀 노드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투표 실시)을 받고, 트랜잭션의 추가기능(익명, 즉시 전송)을 수행한다.
풀 노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채굴을 하지 않을 경우, 풀 노드를 운영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보상도 지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의 풀 노드들은 대부분 채굴을 위한 풀 노드들이지 개인이 사용하는 노드가 아니다. 네트워크를 이루는 소규모 구성원들의 대부분은 라이트 노드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채굴하지 않는 풀 노드를 늘리기 위해 마스터노드가 고안된 것이다. 또한 마스터노드 운영 시 소정의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즉, 마스터 노드 체제가 나온 이유는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을 주기 위함이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예를 보면 비트코인 이용자는 증가하지만 풀 노드의 숫자는 감소하고 있다. 풀 노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저장 용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풀 노드 유지에 대한 보상이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풀 노드가 감소하는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풀 노드가 감소하면 네트워크는 약해지고 결국 사용자도 줄어들게 된다.
대시와 마스터코인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합의 체제인 대시의 경우 블록보상 비율은 채굴자 45%, 마스터노드 45%, 거버넌스 10%로 구성되어 있다.
대시의 마스터 노드가 되기 위해서는 대시 코인을 1,000개 보유해야 하며, 네트워크의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양을 지속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즉시전송, 익명전송 기능과 합의체제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채굴자와 동일한 블록보상을 받게 함으로써 풀 노드의 유지 인센티브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같이 보기
이 마스터노드 문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
|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합의 알고리즘, 암호 알고리즘, 알고리즘,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 서비스
|
|
블록체인 기술
|
Bech32 • BTP • DRC-20 • EIP • IPFS • KRC-20 • NFT 마켓플레이스 • P2P • P2PKH • P2SH • PFP • PUF • SPV • TPS • TRC-20 • UTXO • 가나슈 • 가명성 • 가스 • 가십 • 가십 프로토콜 • 개념증명(PoC) • 검증가능지연함수(VDF) • 게스 • 고스트 프로토콜 • 공공예산 • 글로벌신뢰인공지능 • 대체가능토큰 • 대체불가토큰(NFT) • 도지더리움 브릿지 • 디지털 자산 • 디지털 희소성 • 라운드 • 라운드 로빈 • 라이트하우스 • 랜덤 • 레그테크 • 레이든 • 리카르디안 계약 • 린스타트업 • 마스터키 • 마스트 • 메인넷 • 멜팅 • 믹싱 • 민팅 • 밈블윔블 • 반감기 • 베타넷 • 변경불가성 • 브릿지 • 블록체인 생태계 •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aaS) • 블룸필터 • 비블록체인 • 비앱 • 비콘체인 • 비트코인코어 • 빤통경제 • 수정 고스트 프로토콜 • 스냅샷 • 스마트 계약 • 스마트 브리지 • 스웜프로토콜 • 스크립트퍼브키 • 스테이킹 • 스텔스 주소 • 스핀오프코인 • 슬래싱 • 시크릿 컨트랙트 • 심플 컨트랙트 • 아토믹스왑 • 암호경제(크립토 이코노미)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앵커링 • 언스테이킹 • 에어드랍 • 에폭 • 오프체인 오더락 • 오피리턴 • 옵코드 • 원토큰 문제 • 웨이 • 위스퍼 프로토콜 • 위임 • 유니스왑 • 유동성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 이중지불 • 익명성 • 인증된 익명 아이디 • 인터레저 프로토콜(ILP) • 자산화 • 잠금 스크립트 • 최소기능제품(MVP) • 컨소시엄 블록체인 • 컬러드코인 • 코인셔플 • 코인소각 • 코인에이지 • 코인조인 • 코인토싱 • 크립토노트 • 키스토어 • 타임락 • 테스트넷 • 토다 • 토큰 이코노미 • 토큰화 • 튜링완전 • 튜링불완전 • 트랜잭션 아이디(TxID) • 트러스트 컨트랙트 • 트루빗 • 트릴레마 • 파워 • 파티셔닝 • 퍼블릭 블록체인 • 페널티 • 프라이버시 • 프라이빗 블록체인 • 플랫폼 • 플러딩 • 피어 • 피투피(P2P)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합의 • 해시락 • 해시타임락(HTLC) • 해제 스크립트 • 확장성
|
|
해시
|
레인보우 테이블 • 매핑 • 머클경로 • 머클루트 • 머클트리 • 분산해시테이블(DHT) • 블록해시 • 스큐드 머클트리 • 온라인툴즈 • 이전블록해시 • 카뎀리아 • 해시 • 해시레이트 • 해시맵 • 해시충돌 • 해시테이블 • 해시파워 • 해시함수 • 해싱
|
|
블록
|
고아블록 • 그래핀 • 논스 • 마이크로블록 • 베이킹 • 북키퍼 • 브랜치블록 • 브로드캐스팅 • 블록 • 블록높이 • 블록바디 • 블록생성자 • 블록정보 • 블록타임 • 블록헤더 • 비츠 • 세그윗 • 엉클블록 • 완결성 • 제네시스블록 • 타임스탬프 • 프룻 • 프룻체인
|
|
체인
|
더블체인 • 라이트닝 네트워크 • 라이트닝 루프 • 루트체인 • 루프체인 • 메인체인 •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 베리파이어블 프루닝 • 블록격자 • 블록체인 • 사용자 활성화 소프트포크(UASF) • 사용자 활성화 하드포크(UAHF) • 사이드체인 • 서브체인 • 소프트포크 • 오페라체인 • 오프체인 • 온체인 • 인터체인 • 차일드체인 • 체인 • 탱글 • 테스트체인 • 토카막 네트워크 • 포크 • 포크체인 • 퓨어체인 • 프로덕트체인 • 프루닝 • 프리포크 • 플라즈마 알고리즘 • 플라즈마캐시 • 플래시 계층 • 하드포크 • 해시그래프 • 홀로체인
|
|
노드
|
검증인(밸리데이터) • 기본노드 • 노드 • 라이트노드 • 랜덤노드 • 마스터노드 • 베이킹노드 • 보조노드 • 보증노드 • 슈퍼노드(슈퍼대표, 대표노드) • 슬롯 • 슬롯리더 • 엔드포인트노드(레인저노드) • 의회 네트워크 • 작업노드 • 종단노드 • 종자노드(시드노드) • 중계노드 • 지갑노드 • 채굴노드(마이닝노드) • 쿼럼 • 풀노드 • 합의노드
|
|
샤딩
|
네트워크 샤딩 • 데이터베이스 샤딩 • 동적샤딩 • 샤드 • 샤딩 • 스테이트 샤딩 • 알고리즘 샤딩 • 적응형 상태 샤딩 • 체인샤딩 • 트랜잭션 샤딩
|
|
채굴
|
병합채굴 • 사전채굴 • 에이식(ASIC) • 에이식부스트 • 에이식 저항 • 일드파밍 • 채굴 • 채굴 난이도 • 채굴량 • 탄소감축채굴 • 페어런치
|
|
탈중앙화
|
TVL • 거버넌스 • 게임파이 • 다오(DAO) • 다이코(DAICO) • 닥(DAC) • 닥스(DAX) • 덱스(DEX) • 디앱(DApp) • 디지오(DGO) • 디튜브 • 디파이(DeFi) • 분산경제 • 분산원장(DLT) • 분산 클라우드 • 소셜파이 • 씨파이(C-Fi) • 오프체인 거버넌스 • 온체인 거버넌스 • 원장 • 준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탈중앙화 TPS • 탈중앙화 조직(DO) • 탈중앙화 지수(DQ)
|
|
분산아이디
|
DIDs • IETF • ToIP • 검증가능한 자격증명 • 검증인 • 디지털아이덴티티재단 • 발급자 • 보유자 • 분산아이디(DID) • 분산아이디 기관 • 분산아이디 인증(DID Auth) • 아이온 • 자기주권 • 자기주권신원 • 최소화된 자격증명 데이터 • 탈중앙화 키관리시스템 • 통합해석기
|
|
오라클
|
상호인증 블록체인 • 오라클 • 오라클 머신 • 오라클 문제 • 오라클 서비스 • 중간자
|
|
BIP
|
BIP • BIP9 • BIP16 • BIP32 • BIP39 • BIP43 • BIP44 • BIP47 • BIP49 • BIP63 • BIP70 • BIP84 • BIP141 • BIP148
|
|
ERC
|
ERC • ERC-20 • ERC-165 • ERC-223 • ERC-621 • ERC-721 • ERC-777 • ERC-827 • ERC-884 • ERC-998 • ERC-1155 • ERC-1404
|
|
위키 : 자동차, 교통, 지역, 지도, 산업, 기업, 단체, 업무, 생활, 쇼핑,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인물, 행사, 일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