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7호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 목록) |
(→역 목록) |
||
115번째 줄: | 115번째 줄: | ||
| Tapseok | | Tapseok | ||
| 塔石 | | 塔石 | ||
− | | style="text-align: left;"| {{한국 | + |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UL|U}}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9.9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9.9 |
| rowspan="2"|[[의정부시]] | | rowspan="2"|[[의정부시]] | ||
|- | |- | ||
133번째 줄: | 133번째 줄: | ||
| 道峰山 | | 道峰山 | ||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1}} | | style="text-align: left;"| {{한국 도시철도|SM1}} |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22.4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22.4 |
| rowspan="37"| [[서울특별시]] | | rowspan="37"| [[서울특별시]] | ||
| [[도봉구]] | | [[도봉구]] | ||
143번째 줄: | 143번째 줄: | ||
| 水落山 | | 水落山 | ||
| | | |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26.0 |
− | | style="text-align: right;" | | + | | style="text-align: right;" | 26.0 |
| rowspan="7" | [[노원구]] | | rowspan="7" | [[노원구]] | ||
|- | |- |
2025년 1월 12일 (일) 17:11 판
서울 지하철 7호선(서울地下鐵七號線) 또는 수도권 전철 7호선(首都圈電鐵七號線)은 경기도 양주시의 고읍역에서 인천광역시 서구의 석남역을 잇는 61.3km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과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의 일부를 구성하며, 서울특별시의 2기 지하철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됐다. 노선의 색은 ●갈록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운영
일부 지상 구간(고읍~장암~수락산(지하), 건대입구(지하) - 자양(뚝섬한강공원)~청담(지하))이 존재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간은 지하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 있으므로, 서울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해,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 두 양사간의 협의를 통해 수립된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7호선을 이루며, 여객 안내 등에서는 두 노선의 구분이 이원화되지 않고 단지 "(서울 지하철) 7호선"으로만 통상적으로 분류된다. 열차 승무나 역무, 열차 통제, 역사 시설물 관리 등은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의 보유차량, 승무원, 노선별 제약 요인 등을 고려해,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교통공사 등 양사간의 공동 협의를 통하여 수립된다.
온수(성공회대입구)~석남(거북시장)역 구간에서는 인천교통공사 7호선 운영사업단 승무원이 별도로 담당하며, 승무교대는 온수(성공회대입구)역에서 이뤄진다. 더욱이, 7호선 일부 구간 중 인천교통공사 소속 구간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인천 도시철도로 엄연히 분류되기 때문에, 치안 서비스는 인천광역시경찰청 소속 지하철 경찰대를 비롯한 국토교통부 산하의 서울지방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두 양사가 공동으로 전담하므로, 광역철도수사과가 있는 안양역에 있다.
연결선
도봉산역 인근에 경원선과, 태릉입구역 인근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이어진 연결선이 존재한다. 도봉산역 인근의 연결선은 1996년 9월 20일 고읍~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당시 7호선 차량 반입에, 태릉입구역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태릉입구역 인근의 연결선은 6호선 차량이 중검수를 위해 도봉차량사업소까지 오가는 데에 사용된다.
2000년 2월 29일 7호선 건대입구역 - 온수(성공회대입구) 구간 개통 당시는 중간의 경인선 오류동역에서 천왕차량사업소까지 임시 선로를 부설해 이를 통해 차량을 반입했다.
차량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 본래 서울 지하철 6호선용으로 도입된 차량이나, 1개 편성이 차출돼 운행되고 있다.
주요 사건 사고와 논쟁
건대입구역 강북 구간 침수
태릉입구역과 주변 11개 역
1998년 5월 2일 오전 7시 40분쯤, 전날인 5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중랑천이 범람하였다. 당시 612공구에서 중랑천에서 개착공사가 진행되고 있었고, 이 공사로 140 m 너비의 중랑천을 양쪽에서 각각 50m와 20m짜리 둑으로 막으면서 강의 너비가 절반으로 줄어든 상태였다. 이 상황에서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이 둑을 덮치면서 서울 지하철 6호선 공사장으로 밀려들었고, 이 물은 높이 4m의 물막이벽을 넘고 환승 통로를 통해 태릉입구역을 침수시켰다.
태릉입구역이 물에 잠기자 주변의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먹골역, 중화역,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면목(서일대입구)역, 사가정역 등을 비롯한 11개 역이 침수됐다. 이에 따라 건대입구역~도봉산역간의 열차 운행이 중지됐다. 태릉입구역은 승강장이 있는 지하 4층부터 대합실이 있는 지하 1층까지 물이 차 올랐다. 7호선의 변전소 1곳, 역사 전기실 7곳, 신호기계실 5곳, 통신기계실 7곳 등 지하철을 운행하는 데 핵심적인 설비들이 모두 물에 잠겼다.
침수는 북쪽 수락산역과 남쪽 용마산역에서 멈췄다. 도봉산역~건대입구역 구간에서 태릉입구역이 표고가 가장 낮았고, 북쪽 수락산역은 태릉입구역보다 21 m가, 남쪽의 용마산역은 11 m가 높기 때문이었다. 남쪽으로 물이 더 유입되었을 경우 연결된 환승 통로를 통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도 있었다.
다음날인 5월 3일부터 11개역에서 동시에 물빼기 작업을 시행했으나, 양수기가 부족한 탓에 80여만 톤에 이른 많은 물을 빼는데 1주일 이상이 소요됐다. 또한 AFC(역무자동화설비) 등 각종 전자기기도 침수돼 완전히 복구하려면 시간이 1개월 이상 필요했다. 하지만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5월 11일 오후 5시부터 15분 간격으로 운행을 재개했다. 임시로 운행한 동안 ATC의 도움을 받지 않고 수동으로 운행했고, 역내 설비도 침수돼 전광판 등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 동안 침수된 구간은 오후 10시까지만 운행하고 나머지 시간에 복구작업을 시행했다. 6월 17일부터는 ATC 등의 복구가 완료되면서 배차간격을 10분으로 줄였고, 8월 3일부터는 임시 운행 시간을 자정까지 2시간 연장했다. 9월 16일부터 출퇴근 시간 운행간격이 7분으로 줄어들었다.
1998년 8월 6일: 도봉산역
1998년 5월 2일에 첫 번째 침수가 일어난 이후 복구 작업을 벌인 도중, 그 해 8월 6일 새벽에 또 다시 경기 북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따라서 지상 구간인 도봉산역의 선로에 물이 차올라 이 날은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됐다. 이는 앞서 그 해 5월에 태릉입구역에서 발생한 침수를 복구한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1개 역이라도 침수되면 모든 역에서의 운행을 중단시켜야 했기 때문이었다.
도봉산역은 철로 (고가)보다 역사가 낮기 때문에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 날에 일어난 사고 역시 경원선 도봉산역을 침수시킨 물이 7호선 환승 통로로 흘러들면서 발생한 것이었다. 이 사고로 도봉산역 - 건대입구역간 열차 운행이 전면적으로 중단됐다. 같은 해 5월에 침수 사고를 겪었던 7호선 태릉입구역은 다시 지하 2 - 4층이 모두 물에 잠겼다. 사고가 발생한 지 나흘이 지난 8월 9일에 임시로 복구됐다.
침수 피해의 복구
7호선은 해를 넘겨서, 이듬해인 1999년 1월 4일 상봉변전소와 도봉산역 전기·설비분야의 복구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완전히 복구돼 정상적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피해 금액이 시설 복구비 379억원에 영업 손실 100억 여 원 등 모두 4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같은 해 8월 3일에 도봉산역이 다시 침수됨에 따라 결국 도봉산역의 주요 설비를 2층으로 옮기게 되었다.
고속터미널역의 침수 (2001년)
2001년 7월 15일에 발생한 37년 만의 집중호우 때문에 고속터미널역이 침수돼 고속터미널역 - 강남구청역간의 열차운행이 중단됐다. 침수는 범람한 반포천의 빗물이 인근 센트럴시티 빌딩 지하 2층 주차장을 통해 승강장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면서 선로가 2~3 m 침수되었고 승강장이 물에 잠겼으며, 7월 17일 복구가 완료되어 운행이 재개됐다.
철산역 방화 사건 (2005년)
2005년 1월 3일 오전 7시 10분 경 철산역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목격자는 가산디지털단지역(마리오아울렛)에서 탄 50대 중반의 남성이 신문지에 불을 붙인 뒤 김치통에서 인화 물질을 꺼내 불을 질렀다고 증언했다. 전동차 안에서 연기가 나면서 승객 100여 명이 철산역, 광명사거리역에서 긴급 대피한 소동이 일어났으며, 기관사가 긴급 소화작업을 벌인데다 승객이 많지 않아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경찰은 불을 지른 용의자인 강모 씨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을 결심했고, 내 시체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불을 질렀다’고 자백했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3량이 전소됐고 65세 여성이 손에 1도 화상을 입었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연계
7호선은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 인근에서 중앙선과 교차하나, 수도권 전철 중앙선과의 환승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2003년 9월에 중앙선 상에 환승역을 설치한 결정이 내려졌고, 2010년 12월 21일 중앙선 상봉역이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함께 개통됐다.
보라매(현대HT)역 - 신풍역 93분간 운행 중단
2020년 1월 22일 보라매(현대HT)역을 출발해 신풍역으로 가는 열차가 도중 원인 불명의 고장으로 멈춰 신풍역에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켰다.
부천 및 인천 구간 연장 및 운영권 이원화
199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1기 신도시 개발 이후, 경기도 부천시 중동, 상동 신도시 입주민들의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경인선 구간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서, 7호선을 온수(성공회대입구)역부터 부평구청역까지 연장한 공사가 2003년 10월 착공됐으며, 2011년 6월 30일에 개통됐다. 연장 구간의 총 연장은 10.2 km이며, 부천시 구간에 6개와 인천광역시 구간에 3개로 총 9개 역이 산재되어 있다. 부천시의 재정난으로 공사가 약간 지연된 적이 있다.
2013년 2월 부천시는 온수~부평구청 구간의 2012년 이용객 수는 하루 평균 8만 5629명이고 2013년 2월 한달간 총 이용객은 248만 5933명, 하루 평균 이용객이 8만 8784명으로 7호선 연장선의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4년 8월 30일은 부평구청(세림병원)역까지 연장된 7호선을 석남(거북시장)역까지 3.94km를 연장하는 사업이 착공됐다. 이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청원에 따라, 2015년 7월 30일에 개통돼 현재 운행 중인 인천 도시철도 2호선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정거장을 추가 신설한 사업이다. 2021년 3월 25일에 7호선 부평구청-석남 구간이 개통됐는데, 원적산터널을 관통한 것이 특징이므로,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의 운영권이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 소속으로 이원화가 된 배경으로 꼽힌다.
이는,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의 운영을 인천교통공사가 별개로 전담한 것은, 2021년 3월 25일에 개통된 석남 연장 구간을 비롯한 청라국제도시 구간에 대한 건설 및 운영에 대비하기 위해서, 인천 도시철도로 지정된 것이다.
온수역 - 석남(거북시장)역 운행중단 위기
2023년 2월 9일 경기도와 부천시,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간 법적분쟁 진행중으로 해당 구간 운행이 중지될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와 소송이 종결되고 운영사 변경시까지 인천교통공사에서 한시적으로 운행을 맡기로 하면서 일단락됐다.
연혁
- 1990년 11월 28일: 고읍~건대입구역 구간 착공
- 1993년 1월 8일: 건대입구역~온수(성공회대입구)역 구간 착공
- 1996년 9월 20일: 고읍~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00년 2월 29일: 온수(성공회대입구)~건대입구역 구간 개통
- 2001년 1월 8일: 전 날 중부지방 대폭설(서울 19cm 대관령 90cm 적설) 과 당일 한파 영향으로 사가정역~중곡역 구간 전차선 차단 사고 발생 오전 전구간 운행중단.
- 2001년 3월 2일: 출근 시간대 노원역~건대입구역 구간 과혼잡으로 도봉산역 발 보라매역 종착 열차 1일 3회 추가 편성
- 2001년 7월 15일: 서울 지방 시간 당 99.5mm 폭우로 고속터미널역 침수 발생
청담~신풍역 구간 운행 중단 7월 17일부터 정상 운행
- 2003년 9월 26일: 온수(성공회대입구)~부평구청(세림병원)역 연장 구간 착공
- 2004년 3월 29일: 역명을 광명역에서 광명사거리역으로 변경
- 2005년 1월 3일: 철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 발생
- 2005년 7월 1일: 역명을 가리봉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역으로 변경
- 2008년 9월 18일: 역명을 상도(중앙대앞)역에서 상도역으로 변경
- 2010년 10월 21일: 역명을 공릉(서울산업대입구)역에서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으로 변경
- 2011년 6월 30일: 온수(성공회대입구)~부평구청(세림병원)역 구간 개통
- 2014년 5월 23일: 부평구청(세림병원)~석남(거북시장)역 구간 착공
- 2019년 12월 26일: 역명을 용마산역에서 용마산(용마폭포공원)역으로 변경
- 2022년 1월 1일: 까치울역~부평구청(세림병원)역 구간을 인천교통공사로 이관
- 2022년 3월 23일: 석남(거북시장)~청라국제도시역 구간 착공
- 2024년 2월 29일: 역명을 뚝섬유원지역에서 자양(뚝섬한강공원)역으로 변경
- 2024년 12월: 옥정~포천 구간 착공
- 2027년: 고읍~포천역
- 2029년 3월: 석남(거북시장)~청라국제도시역 구간 개통 예정
석남(거북시장)~청라국제도시역 구간
현재 개통된 석남역 연장 구간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한 사업이다. 기획재정부로부터 인천 도시철도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됐고, 석남(거북시장)에서 청라국제도시역 구간까지 10.7km에 9개의 역사가 신설된다. 2022년 3월 23일에 착공했으며, 2029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1조 2000억원 규모다. 역사 운영은 인천교통공사에서 관리할 예정이다.
역 목록
역 번호 |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한글 | 로마자 | 한자 | ||||||
707 | 고읍 | Goeup | 古邑 | - | 0.0 | 경기도 | 양주시 | |
708 | 탑석 | Tapseok | 塔石 | ● [[]] | 9.9 | 9.9 | 의정부시 | |
709 | 장암 | Jangam | 長岩 | 20.8 | 20.8 | |||
710 | 도봉산 | Dobongsan | 道峰山 | ● 수도권 전철 1호선 | 22.4 | 22.4 | 서울특별시 | 도봉구 |
711 | 수락산 | Suraksan | 水落山 | 26.0 | 26.0 | 노원구 | ||
712 | 마들 | Madeul | 1.4 | 4.4 | ||||
713 | 노원 | Nowon | 蘆原 | ● 수도권 전철 4호선 | 1.2 | 5.6 | ||
714 | 중계(한국성서대) | Junggye (Korean Bible Univ.) |
中溪(韓國聖書大) | 1.1 | 6.7 | |||
715 | 하계(을지대 을지병원) | Hagye (Eulji Medical Center) |
下溪(乙支大乙支病院) | 1.0 | 7.7 | |||
716 | 공릉(서울과학기술대) | Gongneung (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孔陵(서울科學技術大) | 1.3 | 9.0 | |||
717 | 태릉입구 | Taereung | 泰陵入口 | ● 서울 지하철 6호선 | 0.8 | 9.8 | ||
718 | 먹골 | Meokgol | 0.9 | 10.7 | 중랑구 | |||
719 | 중화 | Junghwa | 中和 | 0.9 | 11.6 | |||
720 | 상봉 (한국열린사이버대) | Sangbong | 上鳳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앙선 |
1.0 | 12.6 | ||
721 | 면목(서일대입구) | Myeonmok (Seoil Univ.) |
面牧 | 0.8 | 13.4 | |||
722 | 사가정(녹색병원) | Sagajeong (Green Hospital) |
四佳亭(綠色病院) | 0.9 | 14.3 | |||
723 | 용마산(용마폭포공원) | Yongmasan (Yongma Falls Park) |
龍馬山(龍馬瀑布公園) | 0.8 | 15.1 | |||
724 | 중곡 | Junggok | 中谷 | 0.9 | 16.0 | 광진구 | ||
725 | 군자(능동) | Gunja(Neung-dong) | 君子(陵洞) | ● 수도권 전철 5호선 | 1.1 | 17.1 | ||
726 | 어린이대공원(세종대) | Children's Grand Park (Sejong Univ.) |
어린이大公園(世宗大) | 1.1 | 18.2 | |||
727 | 건대입구 | Konkuk Univ. | 建大入口 | ● 서울 지하철 2호선 | 0.8 | 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