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중랑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랑구 구기
중랑구 위치
중랑구청

중랑구(中浪區)는 서울특별시 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1988년 1월 1일부터 동대문구에서 분리되었다. 동쪽은 경기도 구리시, 서쪽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남쪽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북쪽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등과 인접한다.[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동북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 04' 05˝~127° 07' 04˝, 위도상으로는 북위 37° 34' 01˝~37° 37' 06˝에 위치한다. 구의 동쪽 끝은 망우동, 서쪽 끝은 중화동, 남쪽 끝은 면목동, 북쪽 끝은 신내동이며, 동서 간 거리는 4.39㎞, 남북 간 거리는 5.70㎞이다. 면적은 18.53㎢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3.1%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17번째에 해당한다. 행정구역은 16개 행정동(6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망우본동이 전체 면적의 15.6%를 차지하여 가장 크고 면목 5동이 전체 면적의 3.5%로 가장 작다. 인구는 2020년을 기준하여 39만 9562명으로 서울시 전체 인구의 약 4%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14번째로 많다.

구를 상징하는 꽃은 배꽃,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까치이다. 구를 대표하는 캐릭터는 배꽃을 모티브로 하여 해맑게 웃는 얼굴로 맑은 중랑천 위를 떠다니는 배꽃 요정으로 형상화한 '중랑이'이다. 구청 소재지는 신내동이다. 중랑구는 동대문구에서 분구할 때 분구의 기준이 되었던 중랑천에서 이름을 따왔다. 다만 이 중랑천은 일제강점기 때 붙여진 이름이며, 원래 이름은 한천(漢川)이다.

중랑구는 금천구, 노원구와 비슷하게 동고서저 지형을 보인다. 다른 2구와 마찬가지로 번화가는 주로 서부에 많은 편이며 지나가는 지하철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 중앙선, 경춘선이 있다. 서울의 기초자치단체를 가나다순으로 정렬하면 가장 마지막인 25번째가 된다.[2][3]

자연환경[편집]

대체로 동쪽이 높고 서쪽은 낮은 동고서저형(東高西低型)의 지형을 이룬다. 동쪽에 망우산(282m)과 구릉 산(178m, 검암산), 동남쪽에 아차산의 최고봉인 용마봉(348m, 용마산)이 구의 경계를 이루고, 망우산 일대에는 1930년대부터 공동묘지가 형성되어 있다. 북부에는 평지에 돌출한 봉화산(160m)이 묵동·신내동·상봉동·중화동 등 4개 동에 걸쳐 있으며, 서쪽으로는 서울~원산을 잇는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흐르는 중랑천이 성북구·동대문구와 경계를 이룬다. 신내동에서 발원하는 묵동천은 북서류 하여 불암산에서 발원하는 화랑 천과 합쳐져 노원구와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중랑천에 합류한다.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조산운동으로 생성된 대보 화강암이 기반암을 이루고, 중랑천 연변에는 신생대 제4기의 범람으로 충적층이 형성되어 과거에 농경지와 배밭으로 이용되었으나 지금은 주거지로 변모하였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바탕으로 산과 한강의 영향을 받고 있는 도시기후도 나타내고 있으며, 연평균 기온은 12.3℃, 1월 평균기온은 -1.5℃, 8월 평균기온은 26·1℃, 연 강수량은 1,508.3㎜이다.

역사[편집]

중랑구 지역은 서울 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구석기 유적이 있는 곳이다. 즉 면목동 구석기 유적은 한탄강의 전곡리 선사유적지와 금강의 공주 석장리 유적과 대비되는 후기 구석기 유적으로 서울 지역의 구석기 문화생활의 실체를 확인해 주고 있다. 그리고 상봉동과 봉화산 기슭에서는 청동기 유적이 확인되고 있어 중랑구 지역은 선사시대 이래 주민이 거주하며 생활을 영위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중랑구를 포함한 한강 유역을 무대로 최초의 정치세력이 등장한 것은 진국(辰國)과 삼한 사회의 마한(馬韓), 그리고 초기 백제였다. 서기전 1세기 말 백제국이 마한을 정복하고 초기 고대국가인 백제(百濟)로 발전하기에 이른다. 한편 백제는 하남위례성에 도읍하기 전 하북 위례성을 경영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유력한 지역으로 중랑구 면목동, 광진구 중곡동 일대가 지적되었다. 백제는 한강 유역의 경제성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생산 활동과 인구 증가를 이루었고 보다 큰 정치집단을 형성하여 4세기 중엽 근초고왕 때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475년 한강 유역은 고구려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553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이래 신라 삼국통일의 전진기지가 되었다. 신라는 전국에 9주를 설치했고, 강남구를 포함한 서울 지방은 한산 주(漢山州)에 편입되었다. 한산 주는 757년(경덕왕 16) 지금의 서울 지방에 한양군(漢陽郡)을 설치하면서 한주(漢州)로 개칭되었다. 후삼국시대에는 왕건의 활동으로 태봉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중랑구의 산세를 이루는 봉화산·망우산·용마봉 등은 아차산의 지맥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삼국시대에 각축을 벌였던 곳으로 아차산성 및 아차산 제1~5보루, 용마봉 제1~7보루, 망우산 제1~3보루, 봉화산 보루 등 고구려 보루성을 살필 수 있다. 따라서 이곳은 삼국시대의 성곽 체제를 살필 수 있고, 정치적 통일을 위한 백제·고구려·신라의 각축 현장으로서 역사적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918년 왕건이 국왕에 추대되어 고려왕조를 개창함에 따라 한양군(漢陽郡)은 고려에 편입되었으며, 940년(태조 23) 전국의 행정구역을 재편성하고 주군현(州郡縣)를 개칭함에 따라 한양군은 양주(楊州)로 편제되었다. 이때 중랑구 일대는 양주에 속하였으며, 문종과 숙종 때 남경이 설치됨에 따라 남경 유수부의 관할구역이 되었다.

조선왕조가 개창 되어 한양으로 천도함에 따라, 한양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양주 군 고양주 면 지역으로 옮겨와 살게 되었는데, 중랑구 지역이 바로 그 일대에 해당되었다. 조선 초 양주 군은 양주부, 양주도호부로 승격되었다가, 양주목이 되었다. 그리고 중랑구 일대는 양주 지역의 동남쪽 끝 지역에 해당되었으며 당시 망우리·고양주 등의 지명이 전한다. 현재의 중랑구는 양주군 망우리 면·고양주면 일대에 해당되었다. 고양주 면이나 망우리 면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영조 때 간행된 『여지도서』를 살펴보면, 망우리 면의 인구는 233호에 남자 359명, 여자 529명으로 총 888명이었으며, 고양주 면은 732호에 남자 1,754명, 여자 1,348명으로 총 3,148명으로 확인되어 대략적인 지역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중랑구 일대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이 있는 검암 산으로 가는 길목으로서 중랑포나 송계원을 지난 임금 일행이 주정소 등을 두고 잠시 머물던 곳으로 능행소와 마방터 등의 관련 지명이 많이 남아있다. 그리고 망우동의 양원 마을에는 동래 정씨의 집성촌이 있는데, 이는 고려 말 간의 대부를 지낸 정구(鄭矩)가 이성계의 친구로서 조선왕조에 참여하지 않고 고려에 충절을 지킨 사실이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중랑구 일대는 광진구와 더불어 조선 시대에 국립목장이 경영되었던 곳이다. 1663년(현종 4) 허목에 의해 쓰여진 「한성목장지도」 중 ‘진헌마색정도’에 보면 아차산 일대의 뚝섬과 중랑포를 경계로 하는 목장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임진왜란 때 순국한 신립 장군의 후손으로 인조반정 공신이자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신도비와 평산 신씨 묘역이 자리하고 있어 조선시대의 지역적 특징을 살필 수 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고종의 뜻에 따라 포천(抱川)·양주(楊州)·연천(漣川) 등지에서 의병이 모집되어 수차례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급기야 양주(楊州)에서 의병대장들의 모임을 열고 이인영(李麟榮)을 원수부 13도 의병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허위(許蔿)는 군사장(軍師長)이 되어 일거에 서울에 진입, 동대문 밖 30리 지점에서 일본군과 대치, 격전을 벌였으나 패하여 퇴군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기리기 위해 망우공원 서쪽 기슭에 13도창의군탑이 세워졌다. 그리고 중앙선(처음은 경경선)철도가 1936년 착공되어 1942년에 개통되면서 망우역이 설치되었다. 1911년 현재 중랑 지역은 경기도 양주군 망우리면 묵동리·신현리·능후동·방축리·직곡리·상리·봉황동·내동리·능내동·양원리·입암리·봉현리·중리·하리와 고양군 두모면 면목리 지역이었으며, 1914년 양주군 구리면 상봉리·중하리·묵동리·망우리·신내리와 고양군 뚝도면 면목리 지역이 되었다.

1949년 면목동 지역은 서울특별시 성동구로 편입되었으며, 1963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확장 때 경기도 구리면 상봉·중화·묵동·신내·망우리 등과 성동구 면목동이 동대문구에 편입되어 망우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8년 망우 출장소 관할 지역이 중랑구로 분리, 신설되었다. 중랑구가 과수농업지역에서 서울로 편입되면서 점차 공장과 망우로를 중심으로 한 상권이 형성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 신택지 개발로 인하여 새로운 주거 단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재래시장 형태에서 백화점·쇼핑센터·마트 등 새로운 유통시설이 들어섰으며, 1985년 동마장 버스터미널이 상봉 시외버스터미널로 이전됨으로써 교통·서비스업 중심지로 변모하였다.

2008년에 면목 1동과 면목 6동이 면목 본동으로, 면목 3동과 면목 8동이 면목 3·8동으로, 중화 2~3동이 중화 2동으로, 망우 1~2동이 망우본동으로 각각 합동되어 16개 행정동으로 재편되었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16개 행정동(망우본동, 망우 3동, 면목 본동, 면목 2동, 면목 3·8동, 면목 4동, 면목 5동, 면목 7동, 묵 1~2동, 상봉 1~2동, 신내 1~2동, 중화 1~2동) 6개 법정동(망우동·면목동·묵동·상봉동·신내동·중화동)으로 이루어져 있다.[4]

산업[편집]

부동산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의 비중이 크다. 2018년을 기준하여 지역 내 총생산(GRDP)은 4조 4527억 원으로 서울시 전체 GRDP의 1.1%에 그쳐 25개 구 가운데 강북구·도봉구 다음으로 비중이 작다. 경제 활동별 부가가치의 비중은 부동산업(7821억 원)이 19.1%로 가장 크고, 이 밖에 도소매업(15.0%), 교육서비스업(9.8%),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9.5%), 제조업(7.2%) 등의 순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사업체 수는 2만 8024개로 서울시 전체 사업체의 3.4%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13번째로 많다. 사업체별로는 운수·창고업체(6550개)가 23.4%로 가장 많고, 이 밖에 도소매 업체(18.9%), 숙박·음식점 업체(14.8%), 제조업체(12.1%),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 업체(9.8%) 등의 순이다. 전체 사업체의 약 36%가 면목동에 분포하고, 개인 사업체가 약 89%, 종사자 5인 미만의 소규모 업체가 약 85%를 차지한다. 사업체 종사자는 10만 3016명으로 서울시 전체 종사자의 약 2%에 그쳐 강북구·도봉구·은평구 다음으로 적다.

제조업은 봉제업이 주류를 이루어 면목동 일대가 면목 패션 봉제 특구로 지정되어 있다. 2018년 제조업체는 3384개로 서울시 전체 제조업체의 5.7%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6번째로 많고, 제조업 종사자(1만 5250명)는 5번째로 많다. 업종별로는 의복·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체(48.2%)를 비롯하여 가죽·가방 및 신발(13.2%), 섬유제품(10.5%), 식료품(7.7%) 제조업체가 약 80%를 차지한다. 2018년 제조업 부가가치(2937억 원)는 서울시 제조업 총 부가가치의 1.8%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13번째로 비중이 크다.

전통시장은 면목동에 사가정시장·면목골목시장·동원골목시장, 망우동에 우림 골목시장, 상봉동에 동부 골목시장, 묵동에 장미 제일시장 등이 상설시장으로 운영된다. 이 밖에 유통 업체로는 대형 할인점 6개소와 복합 쇼핑몰 1개소, 대규모 점포 7개소 등이 있다. 2018년 도소매업 부가가치(6154억 원)는 서울시 도소매업 총부가가치의 약 1%를 차지하여 25개 구 가운데 18번째에 해당한다.

교통[편집]

도로 교통은 세종시 장군면과 경기도 포천시를 연결하는 세종 포천 고속도로(고속국도 29호선)가 중랑구의 신내동과 망우동을 거쳐 가고, 도시 고속화도로인 동부 간선도로가 경기도 의정부시를 기점으로 중랑천을 따라 중랑구의 묵동·중화동·상봉동·면목동을 거쳐 송파구까지 이어진다. 성북구에서 경기도 남양주시까지 이어지는 북부간선도로가 중랑구 북부의 묵동과 신내동을 경유하고, 중랑 나들목에서 세종 포천 고속도로와 접속한다. 이 밖에 신내동에서 경기도 남양주시까지 이어지는 국도 47호선의 일부인 경춘북로를 비롯하여 동일로(성동구~중랑구~경기도 양주시), 사가정로(동대문구~중랑구~경기도 구리시), 망우로(동대문구~망우동) 등의 간선도로가 중랑구의 내·외곽을 연결한다. 상봉동에 광주·대전·전주·청주 방면의 고속버스와 원주 방면의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상봉터미널이 있다.

철도 교통은 1939년 망우역이 영업을 개시하여 중앙선과 경춘선이 운행하였다. 이후 광역 전철 시대가 열리면서 중앙선과 경춘선이 수도권 전철의 운행계통에 포함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중랑구의 중랑역~상봉역~망우역~양원역을 경유한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중랑구의 중랑역~상봉역~망우역~신내역을 거쳐 가고, 망우역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광운대역을 연결하는 지선으로 망우선이 운행한다. 1996년 수도권 전철 7호선이 개통하여 의정부시 장암역에서 중랑구의 먹골역~중화역~상봉역~면목역~사가정역~용마산역을 거쳐 인천시 석남역까지 운행하고, 2000년에는 수도권 전철 6호선이 개통하여 은평구 응암역에서 중랑구의 봉화산역~신내역까지 운행한다. 상봉역에서 수도권 전철 7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이 접속하고, 신내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6호선이, 망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경의 중앙선이 접속한다.

관광[편집]

1930년대부터 망우산 기슭에 공동묘지가 형성되어 독립운동가 만해 한용운·오세창, 아동문학가 소파 방정환, 화가 이중섭, 시인 박인환 등의 묘소가 있으며, 산 일대의 83만여 ㎡에 걸쳐 망우리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망우리 공원에는 5.2㎞에 걸쳐 '사색의 길'이라는 경관 좋고 청량한 산책로가 조성되고, 강북 일대와 북한산·도봉산·봉화산의 전경이 한눈에 펼쳐지는 조망 명소 등이 조성되어 도심의 휴식처로 인기가 높다. 망우산과 능선으로 이어지는 용마산은 용마폭포·청룡폭포·백마 폭포 등 세 줄기의 인공폭포와 잔디광장·인공암벽장 등이 조성된 용마폭포공원이 명소로 꼽히고, 산자락에는 이 지역에 거주하였던 조선 전기의 문신 서거정(徐居正)의 호를 딴 사가정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의 봉수대 터가 있는 봉화산에는 한지·옹기·목공 체험장과 옹기가마·옹기 정원·전망대 등을 갖춘 옹기 테마 공원이 조성되어 가족 나들이객의 발길이 이어진다. 이 밖에 망우동에 캠핑장과 자연체험학습장·청소년 체험의 숲·물놀이장 등으로 조성된 중랑 캠핑숲, 월릉교에서 장평교에 이르는 중랑천 둔치에 수천만 송이의 장미가 식재된 장미거리 등의 명소가 있다.

교육[편집]

전통 교육기관은 조선 시대에 양주에 속하여 1401년(태종 1)에 창건된 양주향교(경기도 문화재자료)가 중랑구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930년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 면목 리(지금의 중랑구 면목동)에 설립된 면목 학원이 1944년 면목 국민학교로 개편되어 지금의 서울 면목 초등학교로 이어지고, 1946년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신내 리(지금의 중랑구 신내동)에서 중화 국민학교가 개교하여 지금의 서울 중화 초등학교로 이어지며, 두 학교를 모태로 하여 1972년 서울 중랑초등학교와 1977년 서울 망우 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1969년 영란 여자중학교와 영란 여자상업고등학교(지금의 이화여대 병설 미디어 고등학교), 1970년 송곡여자중학교·혜원여자중학교·장안중학교·중화중학교 등이 잇달아 개교하였다. 고등교육기관은 1974년에 설립된 배성 실업학교가 배성 실업전문학교·서울 실업전문학교·서일 공업전문대학·서일 전문대학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서일대학교로 이어진다. 2019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전문대학 1개교(서일대학교)와 고등학교 10개교, 중학교 14개교, 초등학교 23개교 등이 있다. 학생 수는 3만 1453명으로 서울시 전체 학생 수의 약 1.6%를 차지하여 중구·금천구·영등포구 다음으로 적다.

문화재[편집]

국가 지정 문화재로는 조선 세조 때 평안도 도절제사 이윤 손에게 내린 이윤 손 유서(李允孫 諭書)와 《묘법연화경(2019)》 등 보물 2점이 있다. 이 밖에 망우리 공원 독립유공자 묘역의 서광조(徐光朝)·서동일(徐東日)·오재영(吳哉泳) 묘소 3개소가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시 지정 문화재로는 충익공 신경진 묘역·법장사 아미타 괘불도 및 복장유물·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를 비롯한 서울유형문화재 17점, 서울기념물 2점(아차산 봉수대 터·숙선 옹주 선빈 안 씨 묘), 서울 문화재자료 1점(법장사 목조여래 좌상) 등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중랑구〉, 《위키백과》
  2. 중랑구〉, 《네이버 지식백과》
  3. 중랑구〉, 《나무위키》
  4. 중랑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로고 수정이 필요합니다.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중랑구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