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황해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천 앞바다
황해 위성사진
황해

황해(黃海, 영어: Yellow Sea) 또는 서해(西海, 영어: West Sea)는 태평양의 일부로 한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의 바다이다. 황하토사가 유입되어 바다의 색깔이 누런빛을 띠었다는 것에서 황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다. 북한은 조선서해(朝鮮西海)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프랑스 지도 제작자 당빌이 만든 '신중국지도첩'(1737년)에 표기된 황해(프랑스어: Hoang Hai ou Mer Jaune)가 국제 표준으로 쓰이며 한국 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1]

개요[편집]

황해는 한반도와 중국 대륙에 삼면이 둘러싸여 있는 바다이다. 중국 대륙 동쪽에 한반도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름 그대로 '누런 바다'이다. 크기는 남북 약 1,000㎞, 동서 약 700㎞로 전 해역에 걸쳐 100m 이하의 수심을 가지는 동부아시아의 거대한 대륙붕을 형성하고 있다. 대체로 수심은 20∼80m 정도이며 평균 수심은 44m, 최대 수심은 103m이다. 이는 중국의 황하, 요하, 회하, 양쯔강에서 유입되는 탁한 강물 때문에 누렇게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네 강 중 특히 황하와 요하는 상류 사막 지역에서 흙탕물이 꾸준히 유입되어 중국과 한국에서 유입되는 토사로 육지 쪽으로 갈수록 누렇다. 특히나 한반도 서해안은 갯벌이 잘 발달해서 흙빛 바닷물이란 황해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제주도와 양쯔강 하구를 잇는 선을 경계로 동중국해와 나뉜다. 황해라고 부르는 부분은 전라남도 서남부까지이며 이후 제주도와 추자도 사이는 제주해협, 그리고 서귀포 이남의 제주 남방해역은 동중국해로 취급한다. 한국에서 중국을 갈 때 서해를 건넌다는 표현을 쓰는데 사실 베이징을 갈 때 서해를 건너는 것이고 상하이 등 남중국이나 대만을 갈 때는 동중국해를 건너는 셈이 된다. 또한 빠른 조류 때문에 안강망어업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황해어장에서 주요 어획 대상으로 하는 온대성 어종으로는 조기를 비롯한 민어, 전갱이, 멸치, 광어, 삼치, 도미 등이며 한대성 어종으로 대구나 꽁치 등도 있다. 온대성 어종 중에 새우는 특히 황해에서 많이 난다.[2]

황해는 한반도의 동고서저 지형의 영향을 받아 하천의 퇴적물들이 많이 쌓이기도 하고 서해의 해안선이 굉장히 복잡한데다가 대륙에 막혀있기까지 하기 때문에 갯벌과 습지가 상당히 발달해있다. 서해의 갯벌은 캐나다 동부 연안, 미국 동부 조지아 연안, 아마존강 하구와 함께 세계 5대 갯벌 지역으로 꼽힌다. 한국에서는 서해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흔히 말하는 인천 앞바다 즉 경기만 일대 역시 황해의 일부이다. 인천광역시와 인근 김포시, 화성시, 안산시, 시흥시 등에 면해 있으며 인천국제공항도 황해 상의 영종도에 건설되었다. 서울특별시경기도 대부분의 지역은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 등 대외 창구를 인천광역시에 의존하며 한국 수도에 면한 해역이므로 매우 중요해 제2해병사단과 2함대, 해양경찰청이 철통같이 해안선을 보호한다. 수도권을 하나로 묶으면 사실상 서울 앞바다에 해당한다. 남북한을 제외하고 접하는 나라는 중국이 있으며 일본도 동중국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한다. 한국 연해는 조석 간만의 차가 크며, 인천에서는 조차가 8m에 이른다.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실종 학생들 및 일반인 탑승자들의 유해나 유품이 떠내려갈 경우를 대비해 협조를 요청한 국가가 중국, 대만, 일본이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세월호가 침몰한 곳이 서해 끝자락인 전라남도 진도군 앞바다여서 해류에 따라 오키나와나 큐슈 일부로도 유류품이 떠내려 갈 수 있었다.[3]

특징[편집]

황해라는 명칭 자체가 지형적인 특성을 따온 중립적인 명칭이라 딱히 분쟁이 일어날 여지가 없고, 그래서 한민 정부와 중국 정부간의 갈등이 없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별로 신경쓰지 않고 민간차원에서도 그리 신경쓰는 일이 없다. 거의 전 영역이 대륙붕이며 평균수심은 46m 정도, 최대수심이 110m 밖에 안 되는 얕은 바다다. 남해의 평균 수심이 101m, 동해가 평균 1,530m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얕다. 그렇기 때문에 해수면이 낮았던 빙하기 때엔 대부분이 육지였다. 당시 황해 중심부엔 큰 강(대한강)이 있었다.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이 큰데다 크고 작은 암초와 섬들이 많아 큰 배가 드나들기엔 영 껄끄러운 곳이다. 실제 19세기 말부터 조선을 이런저런 목적으로 찾아온 유럽 선박들은 애로사항을 겪었으며 게다가 연안으로 갈수록 물살이 거센 곳도 많았다. 조선왕조 때 미곡 운반기지가 있던 황해도 옹진, 강령, 충청도 태안, 서산, 전라도 무안, 해남 부근의 해안선이 서해안 중에서 복잡한 지형을 가진 까닭에 빠른 물살로 미곡 운송 선박이 자주 침몰하는 일이 잦았는데 태안반도에 운하 건설을 고려할 정도였으며 심청전에서 심청이 몸을 던진 인당수 또한 백령도와 본토 사이의 물살이 빠른 해협을 말하는 것이다. 물살 세기로 유명한 울돌목도 이 바다에 속해 있다.

황해는 대형 항만이나 조선소가 발달 혹은 조성되기엔 최악일 뿐더러 잠수함이 잠항하기에도 위 특성과 더불어 각종 쓰레기와 폐어구들이 툭하면 선체나 스크류에 들러붙기에 한국 해군은 잠수함 활동을 사실상 포기했고 이는 조선인민군 해군도 마찬가지라 웬만하면 서해에선 수상함으로 도발을 했고, 잠수함은 거의 동해에서만 작전과 침투시도를 한다. 다만 이런 빈틈을 노려서 천안함 피격 사건과 같이 서해에서도 잠수함 도발을 감행하기도 했다. 물론 북한 잠수함들도 서해에서 활동하기는 마찬가지로 사실 모든 장비가 더 열악하다보니 국군 이상으로 더 힘들다. 그러나 북한이란 정권 자체가 사람 목숨을 가볍게 여기고 무모한 짓을 벌이는 데 거리낌이 없기 때문에 충분히 서해로도 잠수함 도발을 감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미군은 아예 여기서 잠수 자체를 금지한다. 서해에 면한 나라인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역시 자군 잠수함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구해도 스크류에 폐그물이 걸리는 건 마찬가지다. 결국 중국 해군도 서해에서 잠수함 운용은 포기하고 남중국해로 이동했다. 물론 수심이 얕기에 천안함 피격사건이나 세월호 침몰사고, 서해 훼리호 침몰사고처럼 구조나 수색 작업 및 가라앉은 선체를 인양하기 쉬울지 몰라도 혼탁한 시야와 극심한 조수 간만때문에 이조차도 쉽지 않다.

황해는 수심이 낮은 만큼 간척에 용이한데, 실제로 한국과 중국은 옛날부터 갯벌과 연안을 꾸준히 메꿔 간척 및 염전 면적을 늘려왔다. 한국 해안선의 경우 100년 전의 해안선의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각지가 개발되어 있고 지금도 개발이 활발해 외국의 많은 지도 사이트에는 지금은 간척되어 육지가 된 부분이 아직도 바다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중국 또한 간척이 매우 활발하며, 연안에는 엄청난 면적의 염전이 만들어져 있다. 또한 크고 아름다운 황하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엄청난 양의 토사로 인해 해안선이 매우 빨리 변화한다. 화이허 강이 흐르는 장쑤성이 대표적인 예로, 주요 도시가 해안에 접해있지 않고 약간 내륙에 위치한다. 옛날 항구와 함께 조성된 도시들이 토사의 퇴적으로 인해 항구로서의 주요 기능을 상실한 지금에도 남아있는 것이다. 얕은 수심 때문에 쓰나미가 일어나기 쉽지 않다. 해저에서 지진이 일어나더라도 물의 양 자체가 많지 않으며, 쓰나미가 생기더라도 육지에 다가가며 저수심 지대와 갯벌에서 대부분이 막힌다.

황해는 해수욕장으로서의 평가는 동해나 남해보다 대체로 좋지 않다. 황해 자체가 수심이 얕고 갯벌이 발달했으며 물빛이 더 탁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시민들이 괜히 같은 도시권으로 엎어지면 코 닿는 인천광역시 앞바다를 놔두고 일부러 머나먼 강원도 동해안까지 가는 게 아니다. 그나마 충청남도-전라북도 지역의 태안반도, 보령시 앞바다, 부안군 변산반도, 고창군 앞바다 주변은 비교적 수심이 깊고 지형이 험해 해수욕에 적합한 입지를 갖추고 있는데 아산만 이북의 경기도, 인천광역시와 영광군 홍농읍 이남 전라남도의 경우 대부분의 해안에 갯벌이 형성되어 있다. 한국 뿐만 아니고 이는 북한 쪽도 마찬가지라 비교적 수심이 깊은 황해도 장산곶 부근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해수욕장이 없다. 한국 측 해변의 유명한 해수욕장으로는 을왕리, 왕산, 만리포, 십리포, 춘장대, 대천, 꽃지, 변산 등이 있다. 서해에 유명 해수욕장이 많지 않은 이유는 해안선이 복잡하고 갯벌이 많은 지형 탓에 서해에 면하는 지역들은 동해, 남해와 달리 중심 시가지가 해안가 근처에 형성되지 못하고 죄다 내륙으로 깊이 들어가 있어서 시내에서 바다의 접근이 불편한 형태도 한몫 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특별시만 해도 약간 내륙으로 들어간 모양새고 광주광역시는 영산강을 한참 거슬러 가야 하는 더욱 내륙이다. 북측으로 가면 평양과 신의주도 약간 내륙이다. 한국에서 바다와 시가지가 아예 접해있는 서해의 항구 도시는 인천광역시 및 전라남도 목포시 단 두 곳 뿐이며 그마저도 인천 앞바다는 물이 탁하고 지형이 너무 복잡해 부산처럼 관광지가 형성되기 어렵다 보니 같은 수도권 사람들에게도 외면받는다. 그 외에 태안군, 보령시, 부안군 등지에서 서해치고는 깊고 푸른 물을 볼 수 있으며, 시가지와 바닷가가 그나마 가까운 이유로 서해안 도시 중 관광 쪽으로는 가장 성공한 케이스로 뽑히며, 나머지 시군들은 중심 시가지가 내륙 깊게 들어서 있어 바닷가 지역이라는 분위기를 느끼기도 어렵고 시내에서 바다를 보려면 차를 타거나 시내, 농어촌버스를 타고 한참을 달려야 하기에 불편하다. 그리하여 자연스레 관광객이 많이 찾지 않는 것이다. 보령과 더불어 서해의 유명 관광지인 태안, 서천, 부안, 고창도 전부 읍 소재지에서 농어촌버스를 타고 나가야만 바다를 볼 수 있다. 한국인이 많이 찾는 해수욕장 10위권 중에서 서해안에 있는 해수욕장은 2위 대천해수욕장이 유일하다. 나머지 9곳은 모두 부산광역시 및 강원도 영동의 남해안, 동해안 해수욕장들이다.

해류의 경우 황해 난류가 남쪽으로부터 들어온 후 연안류의 성질을 띤 채 황해 연안을 흐른다. 그러나 겨울에는 난류 유입이 차단되고 오히려 수온이 내려가 한류가 된다. 군사적으로는 사실상 죽음의 바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미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인도양, 태평양, 대서양, 북극해 등과 마찬가지로 황해도 당연히 모든 국가가 공유해야 할 공해라는 입장을 밝히고 미 해군 항모도 필요에 따라 서해에 출동시키고 있지만 물론 이건 평시라서 중국이 격침시키고 싶어도 시킬 수가 없다는 걸 알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짓이다. 전시 상황이 벌어지면 사실상 한국, 중국, 대만, 미국을 막론하고 수상함대가 이 지역에서 생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수상함이 투입되더라도 무인함 위주로 예측한다. 물론 한국과 중국이 직접 충돌할 가능성은 낮고 중국도 굳이 미국에 먼저 싸움을 걸 가능성은 낮아 현실적으론 아직까지는 북한의 국지도발이 이 지역에서 안보 위협 원인이다.[4]

지리[편집]

국제수로기구에 의하면 남부 경계는 한국의 제주도 서쪽에서 중국 상하이(上海) 부근 양쯔강(揚子江) 하구까지를 잇는 선을 택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와 구분한다. 북서쪽으로 산둥반도(山東半島)와 랴오둥반도(遼東半島) 사이를 잇는 선으로 보하이만(渤海灣)과 구분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하이만, 랴오둥만, 서조선만을 합쳐서 황해라고 부른다.[5]

역사[편집]

형성[편집]

황해(서해)는 중생대 말기부터 군산분지 등 대륙지각의 리프팅(rifting)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형성된 바다이며 한반도에 비해 훨씬 발달된 퇴적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진활동은 한반도보다 더 활발할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도 지진활동이 활발하며 2021년 황해 중부 해역 지진과 2014년의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은 백악기에 형성된 군산 분지의 경계부에서 발생하기도 했다. 서해에는 남중국지괴(Soutii China block)과 중한지괴(북중국지괴, Sino-Korea block)가 고생대 페름기 후기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충돌한 지구조적 경계가 존재한다. 이 경계는 친링-다비-술루 충돌대(Qinling-Dabie-Sulu Belt)의 연장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선사시대[편집]

약 2만 년 ~ 1만 2천 년 전의 빙하기(한반도의 구석기 시대)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120m 가량 낮아, 황해 전 지역은 큰 강이 흐르는 평야였으며, 황해로 흘러드는 강들은 이 강의 지류로 여겨진다.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바다가 차츰 넓어졌다. 황해(서해)를 중심으로 한 해안과 섬에는 물고기, 조개, 해조류 등의 각종 해산물을 포획·채취하여 양식으로 활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

교역[편집]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국은 이미 황해를 통한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하였다. 신라 말에는 장보고가 무역로를 독점하고 해상왕으로 불리기도 했다. 황해가 기록된 지도로는 1908년에 제작된 대한제국지도(大韓帝國地圖)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황해로 표기되는 시기도 이 이후일 것으로 추정된다.

기후[편집]

황해와 인접한 서해안은 바다임에도 불구하고 대륙성 기후를 띈다. 대륙성 기후 중에서도 'Dwa'기후의 교과서적 예시를 보여주는 지역이 바로 서해안이다. 여름은 극단적으로 덥고 끈적하며, 반대로 겨울은 극단적으로 춥고 건조하다. 대표적으로 서해안 최대도시인 인천광역시의 날씨가 여름이면 대도시 특성상 서울 못지않은 열섬 현상으로 호남 서해안 지역보다도 덥고 겨울은 전방지역 특유의 칼바람이 매섭다. 동해안에 비하면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이 드물기 때문에 온대인 완도군에서 냉대인 용천군까지 모두 열대야를 겪는다. 그래서 냉대기후에 속함에도 에어컨 보급률이 매우 높다.

황해는 물의 양 자체가 적어서 여름에는 수온이 크게 올라가고 겨울에는 굉장히 빨리 수온이 내려간다. 그래서 랴오닝성과 북한 연안에는 겨울마다 유빙을 볼 수 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해 결빙 일수가 많아져 본래 부동항이었던 북한의 남포항이 매년 얼어서 겨울에 무용지물이 된다. 반면 물의 양이 풍부한 동해항은 겨울에 그렇게 눈이 오는데도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춥지 않고 바다도 얼지 않는다. 러시아가 그나마 바다가 안 어는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요한 부동항으로 보고 태평양 함대를 두는데 다 이유가 있다. 같은 이유로 중국 해군도 멀리 하이난성을 주 기지로 삼고 서해엔 분함대 정도만 둔다. 한국 해군이 중국보다 전력이 밀리고 중국이 섣불리 미국에 싸움을 걸지 않는 한 이렇다 할 적수도 없어서이다.

겨울 강수량의 경우 시베리아 기단 등 대륙 고기압이 황해를 건너면서 생기는 해기차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해기차가 큰 해에는 폭설이 오지만 해기차가 없거나 적게 나타날 경우 심각한 가뭄을 겪는다. 전반적으로 황해를 흐르는 서한 연안류가 겨울에는 한류의 특성을 띠므로 극단적으로 맑고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는 건 당연하다. 사실 인천은 냉대보다는 온대로 더 많이 취급하며 온난화 추세를 볼때 수도권 서해안은 완전한 온대기후로 갔다고 보는 것이 맞다. 냉대기후는 북측 서해안 지역들 정도이다. 남측에서는 이제는 유빙이 나타나는 일수도 적어졌을 정도로 온난화가 진행되어 10년 뒤 어린 세대는 이 지역을 완전한 온대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황해〉, 《위키백과》
  2. 황해(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황해(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4. 황해〉, 《나무위키》
  5. 황해(한국지명유래집)〉,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황해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