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청천강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천강

청천강(淸川江)은 서한만(황해)으로 유입하는 이다. 옛 이름은 살수(薩水)이다.[1]

개요[편집]

  • 청천강은 북한에 있는 길이 199km, 유역 면적 9,470㎢의 강이다. 옛 이름은 살수(薩水)이다.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이 있었던 곳이다. 청남정맥(산맥 기준으로는 낭림산맥) 낭림산(狼林山: 2,014m)과 웅어수산(雄魚水山: 2,019m)에서 발원한다. 남서쪽의 요동(遼東) 방향을 취하여 유원진, 희천시, 영변군, 박천군, 안주시 등을 지나서 황해로 흘러 들어간다. 하류에서는 평안남도평안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청천강은 구조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압록강이나 대동강에서 감입곡류(嵌入曲流)가 심한 것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중류 유역은 침식 개석된 평지를 형성하며, 하류 지역에는 많은 토사를 퇴적하여 안천, 운천 등의 비옥한 충적평야를 전개한다.[2]
  • 청천강은 평안북도 희천군석립산(石立山) 북서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평안북도의 남부를 남서로 흘러 황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총 길이는 약 199㎞이며 유역 면적은 5,831㎢, 가항로는 152㎞이다. 희천 남부에서 희천강(熙川江)과 합류하고 묘향산맥적유령산맥 사이를 지나 영변 남쪽에서 구룡강(九龍江)과 합류한다. 이 강은 하류에서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의 경계를 이루며, 안주·박천의 충적평야를 형성한다. 고구려 시대에는 이곳을 살수(薩水)라고 불렀으며, 수나라 양제의 100만 대군이 침략하여 왔을 때 을지문덕(乙支文德)이 크게 승리한 곳이기도 하다.[3]
  • 청천강은 평남 ·북 도경을 서류하여 서한만(西韓灣)으로 유입하는 강이다. 길이 199km. 유역면적 9,470㎢. 낭림산맥의 낭림산(狼林山:2,014m)과 웅어수산(雄魚水山:2,019m)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의 요동(遼東)방향을 취하여 유원진(柔院鎭) ·희천(熙川)을 거쳐 영변군 연산면(延山面)과 박천군 덕안면(德安面), 안주시 입석면(立石面)을 지나 황해로 흘러들어간다. 청천강은 구조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압록강이나 대동강의 감입곡류(嵌入曲流)가 심한 것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중류 유역은 침식 개석된 평지를 형성하며, 하류 지역에는 많은 토사를 퇴적하여 안천(安川) ·운천(雲川)의 비옥한 충적평야를 전개한다. 또 지류인 희천강(熙川江) ·구룡강(九龍江) ·대령강(大寧江)을 합류하여 수량이 항상 풍부하므로, 주운(舟運)의 편의가 많으며, 포장수력(包藏水力) 또한 25만 6000 kw에 달한다.[4]

한반도의 강[편집]

  • 강(江)은 내륙을 흐르는 하천(河川) 중에 규모가 제법 크고 뚜렷한 물줄기를 말한다. 강의 순우리말은 '가람'이며, 한자어원인 강(江)자는 본래 중국의 장강(양쯔강)을 가리키던 글자였으나 의미가 확대되어 지금의 모든 강을 지칭하는 단어가 되었다. 강(江)과 내(川)를 합쳐서 하천(河川)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크고 작은 모든 하천을 망라해서 그냥 하천이라 부르지만, 하천 중에서 크고 길게 흐르는 하(河)를 특별히 강이라 부른다.
  • 하천은 강수에 의해 증발산량과 지하침투량을 제외한 순수한 지표수가 하도를 따라 흐르는 것을 말한다. 유수는 침식, 운반, 퇴적 작용을 수행하면서 여러 가지 지형을 만들며 인간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높은 산이 많으면 비례적으로 하천도 많다. 낙동강, 대동강, 금강 등과 같이 주요 하천들의 이름 뒤에는 '江'이 붙어 있다. 압록강, 두만강, 한강, 낙동강, 대동강, 금강은 유로의 길이가 400km 이상으로 우리나라의 6대 하천이다. 큰 강들은 발원지의 고도가 높기 때문에 구배가 급하며, 그렇기 때문에 중상류의 좁은 골짜기는 감입곡류 부분이 많아서 유로연장도 긴 편이다. 우리나라의 하천법에 지정된 하천의 수는 직할 하천이 62개, 지방 하천이 55개, 준용 하천이 3,807개로 총연장은 30,221km에 달한다.

청천강의 지형특징[편집]

  • 청천강 유역은 희천·영변·운산·태천·박천군 등과 창성·삭주군의 남부 및 구성군의 동남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단층지형을 나타낸다. 북부는 개마고원의 서부에 해당하는 고원지대로서 희천·북진(北鎭)·대관(大館)을 연결하는 불규칙한 경계선을 따라 고도가 갑자기 낮아진다. 이 저지는 남부의 해안 지역으로 가면 고도 200∼300m의 저산성산지를 이룬다. 서부에는 화강암질의 천마산(天摩山)이 있어 서해안 지역과 분리되며, 동부로는 강을 사이에 두고 묘향산맥과 마주 보고 있다.
  • 박천군의 서북부에는 화강암질의 노년기 저산성구릉이 넓게 분포하고 청천강 유역에는 기름진 박천평야가 형성되어 곡창지대를 이룬다. 박천은 군의 중앙에 위치하여 영변과 북진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며 물산(物産)의 집산지이기도 하다. 주요 산물은 농산물이며, 그 밖에 운모(雲母)의 매장량이 많다. 한편 영변군은 청천강 중류의 좌안(左岸)에 위치한다. 영변은 대표적인 산성취락(山城聚落)으로서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철옹성(鐵甕城)의 요새이다. 용문산(龍門山) 기슭의 용산면 일대는 평안남도에서 이어지는 대석회암지대(大石灰岩地帶)로 카르스트지형이 잘 발달되어 있다. 부근에 있는 동룡굴(蝀龍窟)은 석회동굴로서 기이한 형상이 신비롭다.
  • 청천강 상류 지역에 위치한 희천군은 적유령산맥과 묘향산맥에 둘러싸여 대부분이 산지이며, 하천이 감입곡류함으로써 생기는 좁은 계곡에는 아름다운 경승지가 펼쳐진다. 이곳에서 북쪽의 구현(拘峴)·적유령(狄踰嶺)을 넘으면 독로강(禿魯江) 유역의 강계에 이르게 된다.

청천강의 생태환경[편집]

  • 자강도 동신군의 북동부 갑현령에서 발원하여 평안북도 정주시와 평안남도 문덕군 사이에서 서해로 흘러드는 강이며 물이 매우 맑고 깨끗해서 청천강으로 불린다. 청천강은 북한 중부지대에서 큰 하천의 하나이다. 길이는 217km, 유역 면적은 9,552.6㎢, 하천망 밀도는 0.40㎞/㎢, 물매는 1.8‰, 굴곡률은 1.36이다. 청천강에는 길이 5km 이상의 하천이 300여 개가 흘러든다. 그 가운데서 길이 5~10km의 하천이 211개, 10.1~15km의 하천이 35개, 15.1~20km의 하천이 24개, 20.1~50km의 하천이 28개, 50.1~100km의 하천이 2개, 100.1~200km의 하천이 2개, 200.1~300km의 하천이 1개이다. 지류들은 대부분 청천강 위안에 집중되어 있다. 비교적 큰 지류는 운전군 남부에서 흘러드는 대령강, 영변군에서 흘러드는 구용강, 희천에서 흘러드는 희천강이다.
  • 청천강은 상류에서 적유령산줄기와 묘향산줄기 사이의 계곡을 따라 흐르며 중하류에서 박천벌, 운전벌, 열두삼천리벌 사이로 흐른다. 좁고 급한 수로를 따라 흐르는 상류에서는 물살이 빠르고 곳곳에 여울과 작은 폭포들이 많다. 하류에 와서는 강폭이 매우 넓어진다. 안주 지방에서 큰물 때 강 너비는 보통 1km 이상 된다. 유역 일대의 기반암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다. 강바닥은 상류에서 바위, 중류에서 굵은 자갈과 굵은 모래, 하류에서 가는모래, 어귀에서 감탕으로 되어 있다. 청천강 유역에서 산지는 87%를 차지한다. 상류와 중류 일대는 산림이 무성하며 주로 혼합림, 활엽수림이 우세하며 중류 이하의 낮은 산에서는 소나무들이 많이 자라고 있다. 청천강 유역은 북한에서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000~1,400mm이다.
  • 특히 대령강, 구용강 상류지대인 동창, 운산 지방에서 비가 많이 내린다. 청천강에서 물 높이와 흐름양은 7~8월에 제일 커지고 1~2월에 제일 작아진다. 청천강에서 큰물은 1965년 8월 6일에 매우 컸다. 이때 큰물 높이는 안주시 북송지점에서 6.74m였다. 청천강은 어귀에서 안주 일대까지는 밀물의 영향을 받는다. 강에는 은어, 잉어, 빙어, 산천어, 칠색송어, 뱀장어 등 물고기들이 많다. 청천강의 특산종인 은어는 보호대상으로 되어 있다. 청천강의 물은 공업용수, 관개용수, 하천 운수 등 경제 여러 부문에 이용된다.

청천강철교 (淸川江鐵橋)[편집]

  • 평안북도 박천군 동남면과 평안남도 안주군 신안주면을 연결하는 철교. 경의선의 맹중리역과 신안주역 사이에 있다. 재래교인 목교는 청천강 하구에서 상류로 27㎞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1906년 6월에 준공되었다. 새로 만들어진 철교는 단선교(單線橋)로 재래교에서 하류로 95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상행선의 교량길이 1,196m, 하행선의 교량길이 1,198m로 각각 1945년 6월 1일, 1940년 8월 20일에 준공되었다.
  • 청천강 철교의 기초공사는 잠함공법(潛函工法)이나, 판항부(鈑桁部)의 일부는 정통공법(井筒工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잠함기초수는 19개로 기초깊이는 13∼21m이며 잠함의 종류는 목재와 철근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경간(徑間) 및 연수(連數)는 상행선의 경우 경간 62m 3경간 연속 트러스 4연이며, 하행선의 경우는 경간 62m 단경간(單徑間) 트러스 1연과 경간 62m 3경간 연속 트러스 4연이다. 하행선의 강재(鋼材)는 3,821t이 소요되었으며, 설계강도는 L-25이다.
  • 청천강철교는 제2차세계대전중인 1945년 7월 31일 정오를 조금 지난 시간에 미군 P-38전투폭격기 2, 3제단(梯團)에 의해 하행선 철교가 폭격되었다. 그중 한 개(250㎏ 폭탄)가 교각에 명중되어 단경간 62m 구항(構桁, 자체무게 600)의 한쪽편이 11m 강 아래로 떨어졌으나 형상이 파손되지 않아 그해 8월 13일 복구되었으며, 기차는 그동안 가설된 가교로 우회 운행되었다. 이 철교는 전쟁에 대비한 내폭교량(耐爆橋梁)으로 6·25 때의 폭격에도 견디어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청천강〉, 《위키백과》
  2. 청천강〉, 《나무위키》
  3. 청천강(淸川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청천강(淸川江)〉, 《두산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청천강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