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변군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녕변군(寧邊郡, 표준어: 영변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녕변군의 면적은 504㎢이며 인구는 113,852명(2008)이다. 서쪽으로 박천군·태천군, 북쪽으로 운산군, 동쪽으로 구장군과 인접하고 남쪽은 평안남도에 접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영변읍이다.
1428년(세종 10) 평안도의 연산부와 무산현을 병합하여 영변대도호부라 하면서 생성되었으며, 평안도병마절도사가 한동안 녕변의 지방관직을 겸직하였다. 1895년(고종 32년) 영변도호부에서 영변군으로 개편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녕변군"이라 부름에 따라 현재에 이르고 있다. 1896년에 13도제가 시행되면서 평안북도에 속했고, 1897년부터는 평안북도관찰사영의 소재지이자 1921년 신의주로 평안북도청이 이전될 때까지 평안북도의 도청 소재지였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의 구절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과 녕변원자력연구소로 익숙한 지명일 것이다. 일단 녕변의 약산으로 유명한 약산이 여기 위치하며 녕변 3대 사찰인 천주사, 서운사, 보현사가 있고 영변행궁이 여기 있었으며 녕변읍성이 있고 녕변객사의 정문이었던 언무루와 정자인 육승정이 남아있다. 철옹성이라고도 부르는 고구려 시기에 지어진 녕변산성 유적지가 있다.[3]
자연환경[편집]
녕변군은 대부분 지역이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으며 북부로부터 남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는데, 해발 100m 미만의 지역은 55.6%, 100~200m 지역은 29%, 200~400m 지역은 12.4%, 400m 이상 지역은 3%를 차지한다. 북부와 북서부에 향적산(香積山, 780m), 명덕산(明德山, 564m), 갈마봉(渴馬峯, 447m), 감투봉(596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영변읍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은 전형적인 침식분지(영변분지)로 되어 있는데, 분지의 변두리에 약산(藥山, 488m), 남산(450m), 모란봉(315m), 진망산(鎭望山, 415m)을 비롯한 야산들이 솟아 있다. 중부와 동부 그리고 남부에는 구룡강(九龍江)과 청천강(淸川江)의 지류들에 의하여 깎이고 패여 침식잔구로 된 구릉성산지들이 분포되어 있다.
[벌은 구룡강과 청천강 유역에 이루어져 있는데, 벌의 비중이 큰 지역은 서화리, 연화리, 남등리, 관하리 등 지역이다. 지질은 낭림층군의 퇴적변성암과 중생대 경상계층, 제4기층, 연화산암군과 단천암군의 암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철, 금, 동, 운모, 규석, 장석, 흑연, 석회석 등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영변군에서 산출되는 규석과 장석은 질이 좋아 도자기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8.3℃이고 1월 평균기온은 -10.3℃, 8월 평균기온은 23.8℃이다. 최고극기온은 35.5℃(1956년 8월 2일), 최저극기온은 -33.4℃(1985년 1월 14일)이었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425℃이다. 영변군은 북한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 속하는데, 연평균강수량은 1,365mm이다. 강수량이 가장 적었던 1977년에는 835.1mm, 가장 많았던 1967년에는 2,244.4mm였다. 폭우가 자주 내리며 7~8월의 강수량은 747mm로서 연간 총 강수량의 54.7%를 점한다.
첫서리는 10월 9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17일경에 내린다. 겨울에 땅이 어는 깊이는 68cm인데, 가장 깊이 언 1978년에는 112cm에 달했다. 연평균풍속은 2.9m/s이며 봄에 세고 여름에 약하지만 그 차이가 다른 군들보다 작다.
하천은 남동부 개천시와의 경계를 따라 청천강이, 중부에서는 구룡강이, 서부에서는 대령강이 흐른다. 이밖에도 향적산의 남동부에서 발원하는 전장천, 구장에서 흘러드는 위천을 비롯한 10여 개의 하천들이 유입되어 있다. 저수지는 1959년에 건설된 봉산저수지, 오봉저수지와 1978년에 건설된 남등저수지를 비롯하여 5개의 저수지가 있다.
영변군은 식물분포구에서 온대북부구와 온대중부구의 점이적인 지대에 속해 있다. 산림은 영변군 전체면적의 50.8%를 차지하는데, 주요 수종은 소나무와 참나무이다. 산림축적에서 소나무는 66.4%, 참나무는 22.8%이다. 이밖에 상수리나무, 음나무, 쥐엄나무, 옻나무, 쪽동백나무를 비롯하여 다른 지역에서 보기 드문 민등나도국수나무, 메미꽃 등 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산토끼, 오소리, 너구리, 노루 등 여러 가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꿩이 많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갈색산림토양이, 구룡강과 청천강 연안에는 충적토 및 논토양이 덮여 있다.[4]
역사[편집]
녕변군 지역의 세죽리에서 신석기시대로부터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에 이르는 여러 시기의 유물유적이 발굴된 것은 적어도 이 시기부터 녕변군 지역에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을 확인해 준다. 영변군 지역은 고구려시기에 아초(阿草)로 불렸고, 또 밀운군(密雲郡), 안삭군(安朔郡), 운남군(雲南郡)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 와서 연주(延州)와 무주(撫州) 두 지역으로 나뉘어졌다. 조선 초기인 1429년에 다시 두 지역을 통합하여 영변대도호부로 개편하였다.
1895년에 부군제를 실시하면서 의주부 녕변군으로 되었으며, 그 이듬해인 1896년에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평안북도 녕변군으로 개편되어 읍내면(邑內面), 팔원면(八院面), 소림면(少林面), 연산면(延山面), 태평면(泰平面), 용산면(龍山面), 고성면(古城面), 남송면(南松面), 독산면(獨山面), 봉산면(鳳山面), 백령면(百嶺面), 북신현면(北薪峴面), 남신현면(南薪峴面), 오리면(梧里面), 어룡면(魚龍面) 등 15개 면을 관하에 두었고 1907년까지 평안북도의 소재지로 되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어룡면이 용산면과 남신현면에 분리 편입되면서 폐지되었고, 1918년에 읍내면이 영변면(寧邊面)으로 개칭되어 광복 전에 영변군은 영변면, 팔원면, 소림면, 봉산면, 연산면, 태평면, 북신현면, 남신현면, 남송면, 용산면, 백령면, 오리면, 고성면, 독산면 등 14개의 면에 114개의 동을 관할하고 있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용산면 · 백령면 · 남신현면과 오리면의 4개 리 · 고성면의 3개 리는 구장군에, 태평면 · 북신현면과 남송면의 11개 리는 향산군에, 남송면의 6개 리는 북진군에, 독산면은 박천군에, 연산면 도화리가 평안남도 개천군에 넘어가고 나머지 지역이 평안북도 영변군으로 개편되었는데, 이때 영변면의 동부리 · 서부리를 병합하여 영변읍(寧邊邑)으로, 연산면의 화연리 · 대홍리 · 문봉리를 병합하여 연산리(延山里)로, 연산면의 문연리 · 입석리를 병합하여 문화리(文化里)로, 연산면의 화천리 · 서연리 · 언무리를 병합하여 서화리(西花里)로, 연산면의 신천리 · 대성리를 병합하여 대천리(大川里)로, 연산면의 매야리 · 용연리 · 화평리를 병합하여 용화리(龍和里)로, 영변면의 용포리 · 용혁리를 병합하여 용포리(龍浦里)로, 소림면의 용추리 일부를 분리하여 약산리(藥山里)로, 영변면 서외성리를 서외성리(西外城里)로, 팔원면의 중남리 · 용중리 · 용산리 · 천양리를 병합하여 팔원리(八院里)로, 팔원면의 화평리 · 석성리 · 평강리를 병합하여 화평리(和坪里)로, 팔원면의 평화리 · 송현리를 병합하여 송화리(松和里)로, 팔원면의 명당리 · 가덕리를 병합하여 명덕리(明德里)로, 팔원면의 옥창리 · 용두리 · 소장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창리(玉倉里)로, 팔원면의 은행리 · 용성리 · 소장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성리(龍城里)로, 봉산면의 무창리 · 원음리 · 양지리를 병합하여 봉산리(鳳山里)로, 봉산면의 박진리 · 고성리 · 수유리를 병합하여 고성리(古城里)로, 봉산면의 봉지리 · 관하리 · 관상리를 병합하여 관하리(館下里)로, 봉산면의 구산리 · 조양리를 병합하여 구산리(龜山里)로, 봉산면의 덕암리 · 공사리 · 망일리를 병합하여 망일리(望日里)로, 봉산면의 용흥리 · 신흥리를 병합하여 용흥리(龍興里)로, 소림면의 원등리 · 남등리 · 천등리 · 각추리를 병합하여 남등리(南燈里)로, 소림면의 서위리 · 서남리를 병합하여 서위리(西位里)로, 소림면의 상등리 · 용추리 · 신건리를 병합하여 용추리(龍湫里)로, 소림면의 용하리 · 신흥리 · 상추리 · 평화리를 병합하여 상추리(上秋里)로, 오리면 봉무리 · 영변면 동외성리를 병합하여 봉동리(鳳東里)로, 오리면 봉흥리 · 영변면 남외성리를 병합하여 봉남리(鳳南里)로, 고성면의 마전리 · 남산리 · 중화리를 병합하여 남산리(南山里)로, 고성면의 상초리 · 하초리 · 신개리 · 하서리를 병합하여 하초리(下草里)로, 고성면의 신풍리 · 구항리 · 봉덕리를 병합하여 구항리(龜項里)로, 오리면의 삼봉리 · 상흥리를 병합하여 삼봉리(三峯里)로, 오리면의 문봉리 · 봉소리 · 문흥리 · 봉문리를 병합하여 오봉리(梧峯里)로, 오리면의 송강리 · 송림리를 병합하여 송강리(松江里)로, 오리면의 세죽리 · 세흥리 · 세신리를 병합하여 세죽리(細竹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34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삼봉리는 구장군에, 서위리 일부 · 상추리는 박천군에, 용흥리는 태천군에 각각 편입하고, 연산리와 문화리를 병합하여 연화리(延花里)를, 봉남리와 봉동리를 병합하여 동남리(東南里)를, 약산리와 서외성리를 병합하여 서산리(西山里)를 각각 신설하였다. 1961년에 구항리 일부가 남산리에 넘어갔으며, 1967년에 하초리 일부가 용성리에 편입되었다.
1972년에 팔원리가 팔원노동자구(八院勞動者區)로 승격되었고, 1989년에 영변읍 일부가 서산리에, 서산리 일부가 영변읍에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영변읍), 1구(팔원노동자구), 26리(고성리, 관하리, 구산리, 구항리, 남등리, 남산리, 대천리, 동남리, 용성리, 용추리, 용포리, 용화리, 망일리, 명덕리, 봉산리, 서산리, 서위리, 서화리, 세죽리, 송강리, 송화리, 연화리, 오봉리, 옥창리, 하초리, 화평리)로 구성되어 있다. 구장군 소재지는 영변읍이다.[5]
산업[편집]
녕변군의 공업에서 기본은 방직공업으로서 북한 비단천 생산기지의 하나로 알려진 영변견직공장(寧邊絹織工場)이 있다. 이 기업소에서는 의주와 평양 제사공장의 명주실과 청진화학섬유공장의 인견실을 기본 원료로 하여 약산단, 구룡단을 비롯한 천들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제품들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밖에 팔원견직공장(八院絹織工場)을 비롯한 방직부문공장들에서는 비날론혼방천, 인견천, 스프천이 생산된다.
방직공업 외에 지방산업공장에서는 여러 가지 식료품과 철제일용품, 종이, 도자기, 농기계, 벽돌 등을 생산하고 있다. 약산주는 군의 특산물의 하나이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40% 되는데 그 중에서 밭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곡물에서는 옥수수, 공예작물에서는 담배, 채소에서는 무가 큰 비중을 점한다. 옥창리는 군에서 담배산지로 알려져 있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양, 토끼, 닭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그 주요 산지는 오봉리, 연화리, 팔원노동자구, 고성리 등 지역이다. 과일생산에서는 사과가 43%, 배가 39%를 차지한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명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곳으로서 뽕밭면적에서나 고치생산에서나 모두 평안북도의 첫 자리를 차지한다. 주요 누에치기산지로는 구산리, 옥창리, 하초리, 관하리, 연화리, 오봉리 등 지역이다. 양봉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그 주요 산지는 오봉리, 용화리, 옥창리, 구항리 등 지역이다. 이밖에 양어장과 저수지들을 이용하여 기념어(백련), 초어, 화련어, 잉어, 붕어, 뱀장어 등 어류를 양식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구성선과 팔원청년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대장역, 팔원청년역, 화평역, 하초역 등 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향산 간 관광도로와 박천~초산, 의주~구장, 영변~개천, 영변~구장 간 도로가 뻗어 있다. 영변에서 박천과 구장까지는 각각 25km, 정주까지는 78km, 구성까지는 62km, 태천까지는 35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녕변군〉, 《위키백과》
- ↑ 〈녕변군〉, 《나무위키》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녕변군〉, 《위키백과》
- 〈녕변군〉, 《나무위키》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영변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