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경원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함경북도 위치
경원군 위치

경원군(慶源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북동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경원군의 면적은 910km²이며 인구는 107,327명(2008)이다. 북쪽으로 온성군, 서남쪽으로 회령시, 동남쪽으로 경흥군과 인접하고 있다. 북남(훈융리~용계리) 간 거리는 58km이고, 동서(용남리~연산리) 간의 거리는 20km이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21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경원읍이다.

군역 내에 퇴적으로 연륙된 중국측 섬이 여럿 붙어있고, 반대로 중국쪽으로 퇴적된 류다섬을 군에서 관할하고 있다. 본토와 류다섬 사이에는 교량이 건설되어 있으며 류다섬에 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교통편이 의외로 난이도가 지옥이다. 대개 최북단의 온성군을 가장 가기 힘든 곳을 꼽게 마련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경원군이 가장 가기 힘든 곳이다.

조선의 발원지로 유명하다. 이성계의 선조의 무덤이 바로 여기에 있었는데, 정도전 등이 주가 되어서 '경사스러운 조선 왕조의 근원지이니 경원이라 칭하자'고 해서 경원군이 되었다.

북한 정권은 체제경쟁에 역사를 써먹기 위해 북한 땅에 중심지를 두었던 고조선-고구려-고려 왕조를 긍정적으로 부각하고 반면 남한 땅에 중심지가 있었던 백제/신라-조선 왕조를 의도적으로 폄하하는 역사관을 견지했다. 조선 왕조의 길지라는 의미인 이 지명을 가만히 두지 않아 1977년 9월 16일에 새별군으로 개칭된 바 있었다. '새별'은 북한 가곡 '조선의 별'에서 '조선의 밤하늘에 뜬 새별', 즉 김일성을 의미하며, '일제 치하에 신음하던 이 고장 사람들에게 항일 운동으로 샛별처럼 조국 광복의 서광을 비추었다'고 선전하는 차원에서 개칭한 것이다. 그러다 2005년 3월에 원래 이름이었던 경원군으로 개칭되었다.[3]

자연환경[편집]

경원군은 함경북도 북동부 일대에서 비교적 발달된 평야를 가지고 있으며 덕지대와 중산 및 저산성 산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 온성군회령시의 경계지대인 서부와 남서부에는 함경산맥이 뻗어 있으며 경원군에서 비교적 높은 증산(甑山, 1,040m), 삿갓봉(740m), 월파산(月波山, 659m), 넓은덕산(894m), 고연두산(高煙頭山, 841m), 감투봉(715m) 등이 솟아 있다. 남부와 남동부 경흥군과의 경계지대에는 저산성산들로 이루어진 백동산맥(栢洞山脈)이 뻗어 있으며 바름봉(731m), 만덕산(710m), 탑향산(塔鄕山, 825m), 백동산(310m) 등이 솟아 있다.

경원군의 중부에는 해발 100~300m 정도의 하면덕(下面-), 성내덕(城內-), 안농덕(安農-), 농포덕(農圃-), 안원덕(安原-), 용북덕(龍北-) 등 덕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덕들은 서로 연결되여 물결모양의 구릉 지대를 형성하였으며 그 길이는 25km 이상 된다. 동부 두만강 연안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되어 있는데, 두만강과 그 지류인 중영천(中榮川), 성천(城川), 금동천(金洞川), 안원천(安原川)을 비롯한 하천들의 퇴적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새별 벌이 전개되어 있다. 그 면적은 100km2이며 훈융리에서 용당리에 이르기까지 그 길이는 약 21km이다. 경원군의 남부 오룡천(五龍川)연안에도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30~80m, 너비는 2km, 길이는 20km 정도이며 새별벌과 함께 군의 주요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두만강 연안에는 물길변화와 퇴적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유다섬(柳多-), 농포섬(農圃-), 용당상섬(龍堂上-), 용당하섬(龍堂下-) 등 사주가 분포되어 있다. 경원군의 지층은 두만계, 함경계 지층과 두만강암군 훈융관입체, 신건관입체, 홍의관입체, 용계관입체, 회령암군 관입체에 속하는 암석들로 형성되었으며 여기에는 석탄, 금, 수정, 팽윤토, 석회석 등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석탄은 고건원, 용북, 용서, 경원, 농포, 하면 일대의 함경계의 평륙층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고건원지구탄전은 고건원, 용북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넓은 구역을 포괄하고 있으며 함북북부탄전의 중요한 부분으로 되고 있다. 경원군의 석탄은 회분이 적고 탄화도와 발열량이 높다.

연평균기온은 5.7℃, 1월 평균기온은 -12.1℃, 8월 평균기온은 21.3℃이며 최고극기온은 36.9℃(1977년 7월 30일), 최저극기온은 -29.6℃(1972년 2월 16일)이며 연안개일수는 36일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경원에서 2,738℃, 봉산리에서 2,590℃이며 연평균일조율은 56%로서 함경북도내에서 높은 편이고, 가장 낮은 7월에는 33%이다. 연평균강수량은 경원에서 588mm, 신건리일대에서 600mm, 봉산리 지역에서 570mm이며 최대강수량은 946mm(1928년), 최소강수량은 318.1mm(1924년)이다. 첫서리는 10월 초순에, 마감서리는 5월 초에 내리며 겨울동토의 깊이는 75~80cm이다.

여름에는 동풍, 기타 계절에는 서풍이 우세를 차지하고 연평균풍속은 3.3m/s로서 1월에는 4.6m/s, 8월에는 1.5m/s이다. 경원군내의 하천들은 거의다 두만강수계에 속하고 5km 이상 되는 하천은 17개이고 그중 큰 하천으로는 두만강과 그 지류인 오룡천이 있다. 두만강은 동부경계에서 거의 남북방향으로 흐르며, 오룡천은 남부지역에서 남서~북동방향으로 흘러 신건리에서 두만강에 유입된다.

그 밖의 하천들은 모두 소하천이다. 경원군에는 성내천(城內川)을 막아 건설한 성내저수지(城內貯水池)가 있으며 경원, 훈융, 사수, 하면, 중영, 유다섬 일대와 경흥군 일대의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경원군은 북한 온대 북부 식물 분포구에 속하며 주로 신갈나무숲, 신갈나무-소나무숲, 잎갈나무숲을 조성하고 있다. 산림의 정보당 축적량은 30m3에 이르며 총축적량의 55%는 용신리, 성내리, 연산리, 봉산리, 용계리에 집중되어 있다. 에는 꿩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 등으로 되었다.[4]

역사[편집]

경원군 지역에서 아직까지 원시사회의 유적 · 유물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주변의 온성군, 경원군, 원 선봉군 등지에서 구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는 대량의 유물, 유적이 발굴된 것은 이곳에도 원시사회에 사람이 살았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옛 문헌에 따르면 경원군 지역에 숙신(肅愼), 읍루(揖婁), 예맥(濊貊), 부여(夫餘), 말갈(靺鞨) 등 부족국가가 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에 편입되었다.

고구려가 패망한 뒤 한때 당나라에 예속되었으나 발해국이 세워지면서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에 소속되었다. 926년(태조 9년) 거란에 의해 발해가 패망한 뒤 거란의 속지로 되었다가 1125년(인종 3년)에는 여진의 손아귀에 들어 있었고 1234년(고종 21년)에 원나라에 의해 금나라가 망한 뒤에 원나라의 판도로 되었다.

1368년(은왕 12년)에 원나라가 멸망하자 고려의 세력이 두만강 하류지역까지 뻗치게 되어 경원군 지역은 현재의 은덕군, 나선시의 원 선봉군지역과 함께 공주로 명명되었다. 1398년(태조 7년)에 동북면(東北面)의 행정구역을 정할 때 경원군 지역에 목조의 능인 덕릉(德陵)과 목조의 비의 능인 안릉(安陵)이 있고, 조선왕조 건국의 성지라 하여 경원으로 개칭하고 부(府)를 설치하여 경성에서 두만강하류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관할하였다. 그러다가 1409년(태종 9년)에 치소를 고성에서 소다로(蘇多老)로 천이하자 그 이듬해에 여진족들이 침입하여 이 고장 주민들을 경성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경원군의 치소를 경성에 병설하였다.

1417년(태종 17년)에 현재의 부령군 부거(富居)로 치소를 이동시켜 경원도호부로 승격시켰다가 6진(六鎭) 개척 당시인 1434년(세종 16년)에 지금의 경원읍으로 치소를 옮겼으며 현재의 은덕군 지역을 분리하여 공성현(孔城縣)을 신설하였다가 후에 경흥군(慶興郡)으로 개칭하였다.

1583년(선조 16년)에 여진의 침범이 빈번한 경원군 지역에 이순신이 건원보 권관(乾元堡 權管)으로 부임되었고 같은 해 7월에 여진의 두목을 참살하였다. 1895년(고종 32년)에 지방행정개혁이 시행되어 경원부(慶源府)에서 경원군(慶源郡)으로 되어 읍사(邑社), 훈융사(訓戎社), 소을하사(所乙下社), 성천사(城川社), 농포사(農圃社), 안원사(安原社), 동림사(東林社), 고건원사(古乾原社), 건원사(乾原社), 고아산사(古阿山社), 아산사(阿山社), 유신사(有信社), 해진사(海津社) 등 13개 사를 두었다.

1896년에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북도 경원군으로 되어 훈융사는 온성군에 이관되고 건원사는 신건원면(新乾原面)으로, 소을하사는 송하면(松下面)으로, 아산사는 신아산면(新阿山面)으로 각각 개편되었으며, 농포사는 농포면(農圃面)과 의동면(儀洞面)으로, 해진사는 덕천면(德川面)과 덕명면(德明面)으로 분리되어 읍면(邑面), 송하면, 성천면(城川面), 농포면, 의동면, 안원면(安原面), 동림면(東林面), 고건원면(古乾原面), 신건원면, 고아산면(古阿山面), 신아산면, 유신면(有信面), 덕천면, 덕명면 등 14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읍면 · 송하면 · 성천면을 통합하여 경원면(慶源面)을, 의동면 · 농포면 · 안원면을 통합하여 안농면(安農面)을, 동림면 · 신건원면을 통합하여 동원면(東原面)을, 신아산면 · 고아산면을 통합하여 아산면(阿山面)을, 고건원면 · 덕천면을 통합하여 용덕면(龍德面)을, 덕명면 · 유신면을 통합하여 유덕면(有德面)을 각각 신설하여 광복 전까지 안농, 동원, 경원, 용덕, 아산, 유덕 등 6면 61동리를 관할하였다. 1947년 11월에 유덕면이 경흥군에 편입되었고, 1948년에 군 소재지를 성내리로부터 이동리(梨洞里, 현재 농포리)로 천이하였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 때 아산면의 10개 리가 경흥군에 편입되었고, 경원군은 용덕면, 안농면, 동원면, 경원면의 전체 리와 아산면의 1개 리, 온성군 훈융면의 3개 리로 이루어졌는데, 안농면 이동리가 경원읍(慶源邑)으로 승격되었고, 안농면의 금동리와 상동리가 병합하여 금동리(金洞里)로, 안농면의 김희리와 신개리가 병합하여 안농리(安農里)로, 동원면의 금월리와 안농면의 안원리가 병합하여 안원리(安原里)로, 안농면의 세동리와 고성리가 병합하여 고성리(古城里)로, 경원면의 봉운리와 관류리 일부가 병합하여 봉운리(峯雲里)로, 경원면의 증산리와 심령리, 안농면의 석현리가 병합하여 증산리(甑山里)로, 경원면의 중영리와 송천리가 병합하여 중영리(中榮里)로, 경원면의 하면리와 이도리가 병합하여 하면리(下面里)로, 훈융면의 사수리와 풍무리가 병합하여 사수리(沙水里)로, 경원면의 성내리, 회동리와 관류리 일부가 병합하여 성내리(城內里)로, 동원면의 유수리 · 중평리 · 공자리가 병합하여 동림리(洞林里)로, 용덕면의 용북리와 동원면의 임대리가 병합하여 용북리(龍北里)로, 동원면의 신건리와 화정리가 병합하여 신건리(新乾里)로, 용덕면의 용서리와 용현리가 병합하여 용현리(龍峴里)로, 용덕면의 용남리와 용향리가 병합하여 용남리(龍南里)로, 용덕면의 용신리와 용평리가 병합하여 용신리(龍新里)로, 안농면의 승량리와 여운리가 병합하여 승량리(承良里)로, 아산면의 수정리와 동원면의 노관리가 병합하여 노관리(魯貫里)로 각각 개편되어 1읍(경원), 21리(금동, 양동, 안농, 안원, 고성, 봉운, 증산, 중영, 하면, 사수, 성내, 금화, 동림, 용북, 신건, 용현, 용문, 용남, 용신, 승량, 노관)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하면리 일부가 사수리에 편입되었고, 사수리와 금화리가 통합 분리되어 사수리와 훈융리(訓戎里)로, 신건리와 노관리가 통합 분리되어 신건리와 화정리(禾汀里)로, 용북리 일부가 분리되어 고건원노동자구(古乾原勞動者區)로 각각 개편되었다.

1954년 10월에 동림리 일부가 용북리에, 용북리 일부가 고건원노동자구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58년 6월에 종성군의 용계리, 봉산리, 종산리, 연산리가 경원군에 흡수되고, 고성리가 안원리에, 화정리가 신건리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봉운리가 경원읍으로 승격되고 원 경원읍이 농포리로 강등되었다. 1961년 3월에 하면리와 용북리가 노동자구로 각각 승격되었고, 증산리가 성내리에 편입되었으며 1964년 5월에 경원읍의 일부가 후석리(後石里)로 개편되었다.

1977년 9월에 경원군이 새별군으로 개칭되면서 경원읍이 새별읍으로, 승량리가 용당리(龍堂里)로 각각 개칭되었고 1986년 12월에 안농리가 유다섬리로 개칭되었다. 2006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경원읍), 3구(고건원노동자구, 용북노동자구, 하면노동자구), 21리(금동리, 농포리, 동림리, 양동리, 용계리, 용남리, 용당리, 용문리, 용신리, 용현리, 유다섬리, 봉산리, 사수리, 성내리, 신건리, 안원리, 연산리, 종산리, 중영리, 후석리, 훈융리)로 되어 있다. 경원군 소재지는 경원읍이다.[5]

산업[편집]

경원군은 북한 유연탄생산과 함경북도 내 곡물 및 축산물 생산에서 큰 비중을 담당하고 있다. 공업에서는 석탄공업이 기본을 이루고 있으며 석탄의 매장량과 생산량, 탄질은 함북북부탄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경원군에서는 탐사사업을 확고히 하여 석탄매장량을 확정하는 동시에 탄광들에 수직갱, 사갱들을 건설하고 현대적 설비를 갖추어 석탄생산량을 늘리도록 하였다. 군에는 규모가 큰 고건원탄광, 용북청년탄광, 하면탄광과 중소규모의 탄광들이 있으며, 여기에서 생산되는 석탄은 발열량이 높아 함경북도내 금속공업의 원료로 많이 이용된다.

지방공업은 식료품, 방직 및 피복, 일용품, 종이, 도자기, 건재 등 공업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여러 가지 식료품, 천, 양말, 수건, 내의, 가구, 도자기, 부엌세간, 안료, 종이, 악기, 모피가공품, 유리제품, 초물제품 등이 있다. 이밖에도 탄광에서 이용하는 안전등과 탄광설비들도 생산되고 있다.

농업은 벼와 감자, 옥수수를 주요 농작물로 하는 농산업과 양 사육을 위주로 하는 축산업을 비롯하여 여러 부문으로 이루어졌다. 농경지는 군 면적의 11%를 차지하며 온성군, 회령시 버금으로 간다. 그중에서 면적은 명간군, 어랑군 다음의 순위를 차지한다. 농경지에서 이 70%, 논이 25%, 과수 밭과 뽕밭이 5%를 차지하며 농경지는 주로 훈융리, 안원리, 하면노동자구, 성내리 등지에 분포되어 있고 종산리, 용신리, 양동리 등지에는 비교적 적게 분포되어 있다.

은 주로 새별벌에 위치한 훈융리, 사수리, 하면노동자구, 중영리, 성내리, 유다섬리, 양동리, 금동리, 농포리 등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군 논면적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그중 군 논면적의 9.3%가 훈융에 분포되어 있으며 훈융은 논이 가장 많은 지역에 속한다. 주요 농산물로는 벼, 감자, 옥수수, 콩 등이 있으며 공예작물로는 담배, 들깨, 역삼 등이 있다. 담배는 경원읍, 하면노동자구, 후석리, 용남리를 제외한 전반적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경원군은 북한 양 사육업이 발달한 지역으로서 경원군의 양은 털질이 좋고 생산성도 높다. 이외 젖소목장, 오리공장, 닭 공장을 통하여 염소, 소, 돼지 등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과수업에서 기본은 배와 백살구이다. 배 재배면적은 군 과수재배면적의 약 40%를 차지하는데, 배는 신건리 · 용남리 · 성내리에서, 백살구는 군내의 전반적 지역에서 재배되며 사과, 자두, 포도는 군내의 일부 지역에서만 산출된다.[6]

교통[편집]

교통은 동부로 함북선(咸北線)이 통과하고 있으며 명간군 영역에서 그 길이는 29.2km(훈융~신건 간)로서 구간에는 훈융역, 하면역, 새별역, 농포역, 용당역, 신건역 등 6개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 함북선의 신건역에서 임대에 이르는 철로가 설치되어 있다.

도로 교통은 동부에서 두만강 연안을 따라 신의주~우암 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이 밖에 새별~용계리, 새별~종성 간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새별~용계, 새별~성내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된다. 함경북도 소재지인 청진시까지는 187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경원군 (함경북도)〉, 《위키백과》
  2. 경원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경원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경원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경원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경원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북도 경원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경원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