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법동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강원도 (북) 위치
법동군 위치

법동군(法洞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북) 북서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법동군의 면적은 849.132km²이며 인구는 35,119명(2008)이다. 동쪽은 원산시·안변군·고산군, 서쪽은 평안남도 양덕군황해북도 신평군, 남쪽은 세포군·판교군, 북쪽은 문천시·천내군과 접한다. 동서(법동읍~해랑리) 간의 길이는 27km이고, 남북(금평리~용포리) 간의 길이는 41km이며, 도 전체면적의 7.65%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9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법동읍이다.

1952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당시의 강원도 문천군의 일부 지역과 이천군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신설한 군으로서 지난날 풍하면의 소재지 마을의 이름을 따서 법동군이라 하였다. '법동'은 이전부터 법골이라고 불리던 골짜기 마을로서 법을 다루는 관청이 있던 마을이라 하여 비롯된 지명이다.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지난다. 임진강과 고미탄천의 발원지이다. 그리고 이곳에 소재한 시설로 마식령 스키장이 있다.[3]

자연환경[편집]

법동군은 강원도 (북)에서 산지 비율이 높은 지역중 하나로서 법동군 전체면적의 약 90%가 해발 400m 이상의 산지로 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해발 800m 이상 되는 지역이 37%나 된다. 동, 서, 북 삼면이 거의 남북방향으로 뻗어 있는 마식령산줄기(馬息嶺山-)와 아호비령산줄기(阿虎飛嶺山-)에 둘러싸여 있고 남쪽 임진강이 흐르는 골짜기와 고미탄천이 흐르는 골짜기만이 열려 있는데, 임진강 골짜기와 고미탄천 골짜기 사이에는 명의덕산줄기(明夷德山-)가 뻗어 있어 전반적으로 3개의 산줄기와 2개의 골짜기를 이룬다. 지세는 북부에서 남쪽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아호비령산줄기에는 두류산(頭流山, 1,323m) · 덕골산(1,129m) · 천을봉(天乙峯, 1,216m) · 육판덕산(陸坂德山, 1,323m), 명의덕산줄기에는 대화봉(1,370m) · 배덕산(1,297m) · 명의덕산(1,572m) · 매봉산(1,578m) · 삿갓봉(1,309m), 마식령산줄기에는 성재산(1,102m) · 고춘봉(高春峯 1,129m) · 백암산(白巖山 1,228m) · 저두봉(猪頭峯, 1,340m) · 복개산(1,358m) 등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줄지어 솟아 있다.

이 산줄기들의 산봉우리 사이에는 갈골령(753m), 마식령(768m), 봉수령(烽燧嶺, 1,083m), 아호비령(648m), 소재령(822m) 등 이름난 영들이 있다. 산줄기들은 급경사를 이루고 바위들이 드러난 곳이 많으며 골짜기들은 몹시 깎여 깊은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의 70% 이상이 물매가 25° 이상으로 급하며 5° 아래의 평탄한 지역은 5%에 지나지 않는다. 매봉산, 명의덕산, 육판덕산, 덕골산 등 여러 산들에는 마이오세 평탄면의 유물이 남아 있다. 해발 1,200m 이상 되는 높은 산들에는 고생대 초산통의 석회암이 용식작용을 받아 이루어진 카르스트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지층은 편마암 및 혼성암류들과 원생대 상원계, 고생대 황주계 지층들이 분포되어 있다. 관입암은 시생대 연화산암군과 중생대 단천암군의 화강암류로 되어 있다. 제4기층은 임진강 연안과 고미탄천 연안의 좁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철, 망간, 턴스텐, 동, 회중석, 리튬, 루비듐, 세슘, 금, 은, 석면, 인회석, 석고, 석회석, 초무연탄, 점토 등이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 7.9℃, 1월 평균기온은 -8.6℃, 8월 평균기온은 22.1℃, 최고극기온은 34.5℃(1978년 7월 28일), 최저극기온은 -30.1℃(1980년 12월 29일), 10℃이상 적산온도는 3,113℃, 연평균일조율은 42%로서 도에서 가장 적다. 연평균강수량은 1,176.6mm이며 여름철에 그의 64%가 내린다. 첫서리는 10월 7일경에, 마감서리는 4월 25일경에 내린다. 바람은 남서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3.1m/s로서 강원도내에서 비교적 센 지역에 속한다. 특히 봄철에 3.5m/s로서 가장 세다.

하천망은 임진강 상류부와 그 지류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길이 5km 이상 되는 하천이 16개 유입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서 임진강과 고미탄천, 통동천이 법동군에서 발원하여 다른 군으로 흘러든다. 모든 하천들은 영역 내에서 발원지를 가진 최상류로서 산악하천의 특성을 나타낸다. 하천들은 굴곡률이 적고 여울이 많으며 물매가 급하고 물살이 빠르다. 하천들의 평균유량은 29.8m3/s, 유출량은 34.5ℓ/s이다. 이 지역에는 노탄온천, 노탄약수, 임진강약수가 있다.

산림은 법동군 전체면적의 90%로서 강원도 (북)내에서 산림 면적과 산림 축적량이 가장 많은 군이다. 식물은 온대북부식물로부터 아한대성식물에 이르기까지 1,430여 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관목만 하여도 70여 종이나 된다. 해발 600m 아래 되는 지역에는 소나무림이, 600~800m 사이에는 소나무와 참나무 혼성림이, 800m 이상 되는 지역에는 참나무를 기본으로 하는 활엽수림이 분포되어 있다. 해발 1,200m 이상 되는 높은 산지대인 명의덕산, 매봉산 일대에는 아한대성식물과 한대성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북서부지역에는 100~250년생의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들의 울창한 원시림이 남아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소나무, 참나무, 잣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눈측백, 눈잣나무, 피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등이 있다. 산마루들에 펼쳐진 옛 평탄면에는 만삼을 비롯한 약용식물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 속에는 산삼, 참당귀, 시호, 오미자, 승마, 삼지구엽초, 참나물, 두릅, 고비, 고사리, 도라지, 버섯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동물로는 멧돼지, 노루, 곰, 사향노루, 산양, 족제비, 여우, 수달, 오소리, 너구리 등 짐승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하천에는 열목어, 어룽치, 뱀장어, 칠색송어, 붕어 등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낮은 지역에는 갈색산림토양이, 높은 지역에는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강연안에는 충적토가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법동군 지역은 본래 강원도 문천군(文川郡)과 이천군(伊川郡)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강원도 문천군의 풍상면(豊上面) · 풍하면(豊下面) · 이천군 웅탄면(熊灘面)의 전체 리와 문천군 운림면(雲林面)의 1개 리를 통합하여 법동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풍하면의 법동리 · 백암리 · 외고읍리 · 병암리 · 산동리 · 내고읍리를 병합하여 법동읍(法洞邑)으로, 풍하면의 노탄리와 청계리를 병합하여 노탄리(蘆灘里)로, 풍하면의 여해리와 풍상면의 내동리 · 방하리를 병합하여 여해리(汝海里)로, 풍하면의 원산리와 율동리를 병합하여 율동리(栗洞里)로, 풍하면의 외백일리 · 내백일리 · 석천리를 병합하여 백일리(白日里)로, 풍하면의 엄석리와 봉황산리를 병합하여 봉황산리(鳳凰山里)로, 풍하면의 하취암리와 상취암리를 병합하여 취암리(鷲巖里)로, 풍하면의 고련리 · 어유리리 · 종포리를 병합하여 어유리(漁遊里)로, 풍하면의 장안리를 장안리(長安里)로, 풍하면의 금구리를 금구리(金龜里)로, 풍상면의 작동리 · 복회리 · 억동리 · 마식리를 병합하여 작동리(鵲洞里)로, 풍상면의 도찬리 · 풍전리 · 구미리를 병합하여 도찬리(道贊里)로, 풍상면의 하령저리 · 상령저리 · 금동리 · 수침리를 병합하여 영저리(嶺底里)로, 풍상면의 노동리 · 거리 · 마전리를 병합하여 거리(巨里)로, 풍상면의 서흥리 · 상서리 · 하서리를 병합하여 상서리(上西里)로, 풍상면의 하감산리와 상감산리를 병합하여 상감리(上甘里)로, 풍상면의 감둔리를 감둔리(甘屯里)로, 운림면의 마쟁리와 풍상면의 용포리를 병합하여 용포리(龍浦里)로, 이천군 웅탄면의 회전리와 희역리를 병합하여 신동리(新洞里)로, 이천군 웅탄면의 왕막리 일부와 건자리를 병합하여 건자리(乾子里)로, 이천군 웅탄면의 해랑일리와 해랑이리를 병합하여 해랑리(海浪里)로, 이천군 웅탄면의 용금리와 평리를 병합하여 금평리(金坪里)로, 이천군 웅탄면의 왕막리 일부와 이락리를 병합하여 구룡리(龜龍里)로 각각 개편하여 1개 읍, 22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거리가 마전리(馬轉里)로 개칭되었고, 봉황산리가 노탄리와 어유리에, 상감리가 용포리에 각각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1961년에 신동리가 세포군에 이관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법동읍), 19리(감둔리, 건자리, 구룡리, 금구리, 금평리, 도찬리, 영저리, 노탄리, 용포리, 율동리, 마전리, 백일리, 상서리, 어유리, 여해리, 작동리, 장안리, 취암리, 해랑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동군 소재지는 법동읍이다.[5]

산업[편집]

법동군의 공업은 식료품공업, 광업, 피복 및 방직공업, 일용품공업, 종이 및 화학공업, 제약공업, 기계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료품공업은 지방공업생산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장공장과 식료공장에서는 간장, 된장, 과자, 사탕, 청량음료 등을 생산하며 산과와 채소를 가공하고 있다. 광업에서는 초무연탄, 석, 동, 리튬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지하자원을 채취하는 상서광산과 법동광산이 있다.

직조공장에서는 스프천 · 비날론혼방천 · 재생천 같은 것을, 옷 공장에서는 학생복 · 작업복 · 솜옷 등을 생산한다. 일용품공장에서는 목재일용품을 기본으로 하면서 학용품, 화학일용품, 종이일용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법동가구공장에서는 합판, 옷장, 이불장, 찬장, 밥상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영예군인일용품공장에서는 학습장, 수첩 등 학용품을 생산한다.

용포리에 있는 성냥공장에서는 갑성냥을 비롯한 여러 가지 성냥을 생산하여 군내의 수요를 충족시킬 뿐 아니라 도내의 여러 곳에 보내주고 있다. 종이공장에서는 필기종이와 포장지, 장판지, 도배지를 생산한다. 화학공장에서는 가성소다생산을 기본으로 하면서 비누를 비롯한 화학일용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 전동기수리와 기계부속품 및 농기구를 생산하는 기계수리공장과 농기구공장이 있으며 영신환, 건위산 등을 생산하는 제약공장이 있다.

농업은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는 농산업과 축산업, 과수업, 잠업 등으로 이루어졌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6.5%로서 강원도 평균농경지비율보다 적다. 농작물 파종면적에서 곡물파종면적은 71.6%를 차지한다. 주로 옥수수를 재배하고 있으며 이밖에 콩, 벼 등을 재배하고 있다.

전체 곡물생산의 84.5%를 차지하는 옥수수산지는 마전리, 법동읍, 도찬리, 건자리 등 지역이다. 콩은 주로 상서리 · 법동읍 · 노탄리 등 지역에서, 논벼는 주로 노탄리 · 법동읍 · 어유리 등 지역에서 많이 재배된다. 채소밭은 전체 농경지면적의 11.5%를 차지하는데 주로 무, 배추, 고추, 시금치, 양배추 등이 재배된다. 주요 채소산지로는 법동읍, 도찬리, 마전리, 상서리 등 지역이다. 이밖에 감자를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 주요 산지로는 마전리, 용포리, 도찬리 등 북부지역이다.

축산업에서는 봉황산등판을 비롯한 사료 초지가 많은 자연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양, 소, 염소, 토끼 등 초식성 가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양봉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법동군은 오래 전부터 꿀의 명산지로 유명하다. 주요 산지는 마전리, 법동읍 등 지역이다. 과수업에서는 배, 사과, 복숭아, 살구 등이 산출되는데, 주요 산지는 마전리, 노탄리, 어유리 등 지역이다. 이밖에 양잠업도 행해지고 있는데, 주요 산지로는 법동읍, 마전리, 도찬리, 용포리 등 지역이다.[6]

교통[편집]

교통은 평양~원산 간 관광도로와 평양~원산, 법동~이천, 마전~법동 간 등의 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법동~원산, 법동~용포사적지, 법동~상서, 법동~노탄, 법동~건자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강원도 (북) 소재지인 원산시까지는 법동군에서 74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법동군〉, 《위키백과》
  2. 법동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법동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법동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법동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법동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법동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법동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