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장연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남도 위치
장연군 위치

장연군(長淵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서쪽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장연군의 면적은 396.08km²이며 인구는 91,422명(2008)이다. 북쪽은 과일군송화군, 동쪽은 삼천군, 동남쪽은 태탄군이며 남쪽은 룡연군과 맞닿아 있다. 서쪽은 황해에 접하며 장산곶이 있다. 서북~동남(광천리~낙흥리) 간의 길이는 36km이고, 북동~남서(박산리~학림리) 간의 길이는 12km이며, 도 전체면적의 4.69%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19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장연읍이다.

이름난 큰소(용정소, 모정소, 잠두소, 검우소)들이 길게 놓여 있는 고장이므로 고구려 때부터 장연군으로 불렀다. 일명 장담이라고도 불렀다.

서해 방향으로 돌출한 반도가 국방 요지로 이용되던 장산곶이다. 대청도를 중심으로 어업이 많이 행해진다.[3]

자연환경[편집]

장연군은 장연남대천을 중심으로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다. 남동부에 불타산줄기(佛陀山-)가 뻗어 있으며 여기에 장연군에서 제일 높은 불타산(佛陀山, 609m)과 도습산(道習山, 392m), 세마리산(細馬里山, 296m)이 솟아 있다. 북부 과일군과의 경계지역에는 박석산(礡石山, 595m), 태자봉(太子峯, 509m)이 솟아 있다. 태자봉 일대에는 묘한 바위들과 골짜기마다에서 흐르는 맑은 물, 우거진 이 한데 어울려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고 있으며 이 자연경치에 어울리게 고적들이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장연군에는 해발 200m 미만의 구릉지대가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평균해발은 115.5m이고, 장연읍의 해발은 20m이다. 불타산이 있는 남동부 산지의 기울기는 평균 35~40°이다. 산봉우리들은 대체로 벼랑으로 되어 있다. 동부 장연읍 일대를 중심으로 한 장연남대천 하류연안에는 넓은 장연벌(長淵-, 160㎢)이 전개되어 있는데, 이 일대는 주로 석회암과 고회암분포지역으로서 석회암지형이 발달되어 있으며 동굴들이 많다. 장연남대천 연안에는 높이 3~10m의 단구과 함께 침수지도 있다. 해안선의 길이는 41.52km로서 완만한 굴곡을 보이고 있는데, 바닷가에는 약 11㎢의 간석지가 있다.

지질은 하부원생대의 황해계층과 상부원생대 상원계의 퇴적변성암층 그리고 제4 기층으로 이루어졌다. 상원계층이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데, 상원계층은 직현통의 규암, 운모편암, 석회질운모편암, 석회암, 고회암 층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는 금광상과 납, 아연 광상이 발달되어 있으며 비금속자원도 분포되어 있다. 토양의 대부분은 갈색산림토양이며 바닷가 연안에는 간석지토양, 하천 연안에는 논토양과 충적지토양이 있다.

연평균기온은 9.9℃, 1월 평균기온은 -5.7℃, 8월 평균기온은 24.1℃, 최고극기온은 36℃(1955년 7월 27일), 최저극기온은 -25.9℃(1967년 12월 30일), 10℃이상 적산온도는 3,545℃이다. 연평균강수량은 995.7mm이다. 첫서리는 10월 21일에, 마감서리는 4월 22일에 내린다. 바람은 북서 및 동풍이 우세하다. 연평균풍속은 2.4m/s이며 10m/s 이상의 센 바람은 1년에 10회 정도 나타난다. 하천은 5km 이상 되는 하천이 11개이다.

장연군의 기본 수계를 이루는 장연남대천은 삼천군 도명리의 광대산에서 시작하여 송화군을 거쳐 창파리와 용연군 석교리에서 서해에 흘러든다. 장연군 영역에서 하천의 길이는 34.11km, 유역면적은 264.48㎢이다. 이밖에 어천(魚川), 선정개(仙井-), 학림천(鶴林川), 샘물천, 청계천(淸溪川), 동계천(東溪川), 서곶천(西串川) 등이 유입되어 있다. 일부 하천들은 어구에서 밀물의 영향을 받는다. 저수지로는 상좌저수지(上左貯水池), 학림저수지(鶴林貯水池), 해안저수지(海岸貯水池) 등이 있다.

산림은 장연군 전체면적의 62%인데, 그 중에서 침엽수가 57%를 차지한다. 기본 수종으로는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엄나무, 오리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등이 있다. 대체적으로 의 중턱까지는 소나무숲이, 그 이상 지역에는 참나무숲이 분포되어 있다. 이 밖에 싸리나무, 개암나무, 진달래나무, 산초나무, 초피나무 등 떨기나무도 자라고 있다. 서부와 남서부의 바닷가에서는 짠물살이식물들이 자라고 그 기슭의 백사장들에는 해당화, 달맞이꽃, 하늘타래를 비롯한 식물들이 있다. 장연군의 앞바다에는 꽃게, 바지락, 굴, 해삼, 까나리, 숭어, 농어, 복어, 가자미 등 어족이 풍부하다.[4]

역사[편집]

장연군과 주변지역에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것은 이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로부터 원시사회의 문화가 존재, 발전했던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문헌에 의하면 장연군은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판도에서 장연(長淵)으로 불리웠다가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16년(757년)에 신라의 폭지군(瀑池郡)에 속해 있었다.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옹진군의 속현이 되었고, 예종 1년(1106년)에는 감무가 부임되었다. 이 시기에 해위포(海葦浦)가 설치되었고, 11세기 후반에는 안란창(安瀾倉)으로 개편되었다. 조선시대 개국 원년인 1392년에 장연군에 만호(萬戶)가 감무를 겸임하였다.

태종 2년인 1402년에는 진(鎭)이 설치되었고, 태종 14년인 1414년에는 영강현(永康縣)을 합속하여 연강(淵康)으로 개칭하였다가, 2년 후에 다시 분리되고 왜적의 강점으로 폐현이 되었던 해안현(海安縣)이 병합되어 본래의 장연현(長淵縣)으로 복귀되었다.

인조 1년인 1623년에 후금(後金)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영조 40년인 1764년에는 농민들의 모반사건으로 현으로 강등, 영조 49년인 1773년에 도호부로 다시 복귀되었다. 문헌에 따르면 장연군은 오래 전부터 해상수로를 통한 교역이 발달되어 있어 시장이 흥성하였고 인가가 몰려들어 영조 35년인 1759년에는 벌써 5,844가구에 총인구 24,735명(『세종실록지리지』)이나 되었고, 시장이 12군데나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1896년 행정체제 개편 시에 황해도 장연군으로 되면서 설산면(雪山面), 낙산면(樂山面), 순택면(蓴澤面), 산정면(山亭面), 낙흥면(樂興面), 속내면(速內面), 목단면(牧丹面), 태호면(苔湖面), 속외면(速外面), 후선면(候仙面), 남창면(南昌面), 동대면(東大面), 서대면(西大面), 추화면(秋花面), 용호면(龍湖面), 신남면(薪南面), 신북면(薪北面), 해안면(海安面), 백령면(白翎面) 등 1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장연면(長淵面), 대구면(大救面), 순택면, 후남면(候南面), 신화면(薪花面), 목감면(牧甘面), 용연면(龍淵面), 백령면, 속달면(速達面), 해안면, 낙도면(樂道面) 등 11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39년에 백령면이 옹진군(甕津郡)에 편입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해안면, 대구면과 용연면의 13개 리가 용연군에 편입되었고, 목감면 · 속달면 · 후남면이 태탄군에 편입되었으며, 순택면 · 신화면 · 장연면 · 낙도면의 전체 리와 용연면의 2개 리, 송화군 연정면(蓮井面)의 2개 리, 운유면(雲遊面)의 1개 리를 통합하여 황해도 장연군으로 개편되면서 장연면의 읍후리 · 읍내리 · 읍남리 · 읍외리 · 읍동리 · 읍서리를 병합하여 장연읍(長淵邑)으로, 낙도면의 월장리 · 삼천리 · 도습리를 병합하여 산천리(山川里)로, 낙도면의 송죽리 · 지경리 · 오응리를 병합하여 송경리(松境里)로, 장연면의 칠남리 · 칠북리와 송화군 연정면의 율사리를 병합하여 명천리(明川里)로, 장연면의 곡암리 · 죽계리를 병합하여 청계리(淸溪里)로, 장연면의 읍전리와 길촌리를 병합하여 화원리(花園里)로, 순택면의 상좌리 · 승탑리를 병합하여 산수리(山水里)로, 순택면의 두현리 · 학현리 · 창현리를 병합하여 학림리(鶴林里)로, 순택면의 갈사리 · 왕제리를 병합하여 창파리(滄波里)로, 신화면의 군산리 · 신령리 · 쌍월리를 병합하여 태자리(太子里)로, 신화면의 휴동리 · 삼은리 · 서곶리와 송화군 운유면의 서의리를 병합하여 광천리(鑛泉里)로, 신화면의 대사리 · 휴서리 · 자양리를 병합하여 금사리(金沙里)로, 신화면의 효제리 · 야랑리 · 금산리를 병합하여 백촌리(白村里)로, 용연면의 복구리와 서원리를 병합하여 추화리(秋花里)로, 신화면의 도산리 · 삼현리를 병합하여 삼산리(三山里)로, 순택면의 여산리 · 박산리와 송화군 연정면의 조령리를 병합하여 박산리(礡山里)로, 순택면의 눌산리 · 종현리 · 비석포리를 병합하여 눌산리(訥山里)로, 낙도면의 세마리를 세마리(細馬里)로, 낙도면의 낙흥리와 천사리를 병합하여 낙흥리(樂興里)로, 낙도면의 석장리를 석장리(石長里)로, 장연면의 선정리를 선정리(仙亭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0리를 관할하였다.

1952년 12월에 송경리가 낙연노동자구(樂淵勞動者區)로 개편되었고, 1954년에 황해도황해남도황해북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 장연군으로 되었다. 1981년 10월에 태자리가 샘물리로 개칭되었다. 1990년 6월에 산천리 일부가 낙연노동자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9월에 백촌리를 해안리(海岸里)로 개칭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장연읍), 1구(낙연노동자구), 19리(광천리, 금사리, 눌산리, 낙흥리, 명천리, 박산리, 산수리, 산천리, 삼산리, 샘물리, 석장리, 선정리, 세마리, 창파리, 청계리, 추화리, 학림리, 해안리, 화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연군 소재지는 장연읍이다.[5]

산업[편집]

장연군은 광복 전까지 조, 수수를 주로 심던 매우 뒤떨어진 농업생산 지역이었다. 일제는 낙연지구에 기여 들어 이곳에서 납, 아연, 금 등 귀중한 유색금속자원을 약탈하여 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현대적인 공업과 발전된 농업을 가진 군으로 전변되었다. 현재 장연군의 경제는 채취공업을 기본으로 하는 중앙공업과 식료품과 생활필수품 생산을 위주로 하는 지방공업 그리고 농산업으로 이루어졌다. 중앙공업을 이루고 있는 채취공업에서는 지질심부탐사를 강화하고 굴진 및 채광을 고도로 기계화하며 선광장을 확장하는 한편 선진작업 방법을 널리 받아들여 유색금속광물생산을 훨씬 늘리고 있다.

지방공업은 식료, 일용품, 방직 및 피복, 기계, 종이, 화학, 건재, 제약 공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에서 식료공업이 첫 자리를 차지한다. 식료공업에서는 간장, 된장, 기름, 과일 및 채소가공품, 청량음료 등이 생산된다. 농경지에서 논이 23%, 밭이 51%, 과수밭이 19%, 뽕밭이 2%, 호두나무밭이 4%를 차지하는데 주요 곡물은 벼, 옥수수, 콩, 보리 등이 있다. 옥수수는 주로 석장리, 청계리, 광천리, 학림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고, 벼는 주로 추화리, 창파리, 해안리, 눌산리, 금사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채소업에서는 배추, 무 등이 기본을 이루고 있는데 그 주요 산지는 장연읍, 낙연리, 화원리, 청계리 등 지역이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 포도, 단버찌, 감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특히 사과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예로부터 사과와 감은 이 고장의 특산물로 알려졌다. 장연읍, 박산리, 산수리 일대의 야산들에 500여 정보의 호두나무숲을 조성되어 있으며 이밖에 감나무, 수유나무, 왕밤나무를 많이 심어 무성한 숲을 조성하였다. 축산업에서는 소, 돼지, 염소, 양, 오리, 닭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수산업에서는 바다를 끼고 있는 유리한 조건을 이용하여 까나리, 숭어, 뱅어, 새우, 굴, 맛, 바지락, 해삼 등을 어획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장연군 영역의 8.5km 구간에서 장연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장연역(長淵驛)과 낙산역(樂山驛)이 설치되어 있다. 본래 협궤이던 것을 1967년에 광궤로 바꾸었다.

도로망은 장연에서 용연, 벽성, 송화를 연결하는 2급 도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백촌에서 남포까지 정기수상통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그 발전전망이 크다. 장연~태탄, 해주~장연, 장연~용연, 장연~송화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황해남도 소재지인 해주시까지는 156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장연군〉, 《위키백과》
  2. 장연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남도 장연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장연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