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신평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황해북도 위치
신평군 위치

신평군(新坪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북동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신평군의 면적은 1,074.58km²이며 인구는 63,727명(2008)이다. 남쪽으로 곡산군·수안군, 서쪽으로 연산군, 평안남도 회창군, 북쪽으로 평안남도 신양군·양덕군, 동쪽은 강원도 (북) 법동군·판교군과 접한다. 동서(도음리~고읍리) 간의 길이는 48km이고, 남북(평화리~남천리) 간의 길이는 32km이며, 도 전체면적의 11.36%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구 11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신평읍이다.

광복 당시에는 황해도 곡산군의 북부 지역이었지만, 북한에 의해 군으로 신설되었다. 군명은 신평군이 설치된 옛 곡산군 멱미면 문암리의 별칭인 '신평(新坪)'에서 따왔다.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신평휴게소가 있다. 북한 당국은 이곳의 '신평금강'을 관광지로 개발하고 있다.[3]

자연환경[편집]

신평군은 산줄기들에 둘러막혀 있는데, 동부에는 아호비령산줄기(阿虎飛嶺山-)가, 북부에는 강동산줄기(江東山-)가, 서부에는 서백년산줄기(西百年山-)가, 남부에는 언진산줄기(彦眞山-)가 뻗어 있다. 신평군 경계에 황해북도에서 제일 높은 산들이 솟아 있는데, 북부에 황해북도의 지붕을 이루는 하람산(霞嵐山 1,485m)과 가사산(袈紗山, 1,408m) · 십자봉(十字峯, 1,166m)이, 동부에 천을봉(天乙峯, 1,216m) · 육판덕산(陸坂德山, 1,323m) · 백년산(百年山, 1,341m)이, 남부에 대각산(大角山, 1,278m) · 만년산(萬年山, 901m)이, 서부에는 서백년산(西白年山, 1,219m) · 백산(白山, 1,241m) · 시루봉(1,181m) · 기주봉(1,143m) 등의 산이 솟아 있다.

지형은 북부와 동부가 높고 남서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으며 이 때문에 신평군 안에서 시작되는 남강(南江)과 그 지류들이 이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신평군은 대체적으로 해발 1,500m 이하의 중산성산지로서 남강과 그 지류에 의하여 심히 깎이여 생긴 깊은 골짜기들과 급한 비탈면을 가진 험준한 산악을 이루고 있다.

신평군에는 깊은 백석골과 추동골, 중평동골짜기를 비롯하여 남천리의 곡애안골, 고읍리의 신성골, 평화리의 외룡골, 멱미노동자구의 뙤치골 등 골짜기들과 두무덕, 하람덕 등 평탄면들이 형성되어 있다. 두무덕 일대는 토심이 깊고 부식질이 많아 좋은 경작지로 되고 있다. 남강 연안을 따라서는 창담벌(蒼潭-), 화동벌, 운암벌(雲岩-)과 같은 벌들이 전개되어 있다.

신평군은 시생대로부터 하부고생대에 해당하는 여러 지질시대의 지층으로 되어 있는데, 퇴적층은 주로 양덕융기구에 있는 시생대랑림층군과 요함구에 있는 상부원생대의 상원계, 구현계, 하부고생대의 황주계층들이다. 낭림층군은 주로 흑운모편암과 혼성암류, 규암, 석회암으로, 구현계와 황주계는 주로 규암, 전판암류로 되어 있다. 관입암으로는 시생대 연화산암군, 상부원생대 연산암군과 중생대 단천암군의 암석들이다. 단천암군은 양덕관입암체, 금강관입암체, 상서관입암체, 만년관입암체 등으로 되어 있다.

이 관입암체는 흑운모화강암, 반상화강암, 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천암군의 관입암체는 중석을 비롯한 유색금속의 성인암으로 되어 있다. 신평군에는 중석, 납, 아연, 금 등 유색금속광물과 석회석, 린 등 비금속자원 그리고 이탄, 초무연탄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신평군의 대부분 지역에는 갈색산림토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높은 산지대에는 표백화갈색토양이, 남강 연안에는 충적토, 논토양이 약간 분포되어 있다.

신현군은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높은 산들에 둘러싸여 있어 대륙성기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은 9℃로서 도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1월 평균기온은 -8.5℃, 8월 평균기온은 23.7℃이다. 최고극기온은 35.6℃(1970년 8월 12일)였고 최저극기온은 -29.4℃(1970년 1월 6일)로서 그 차는 65℃이다. 10℃이상 적산온도는 3,488℃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396.3mm로서 황해북도에서 제일 많다. 1일 최대강수량은 349.4mm(1967년 8월 28일)이며 7~8월에 내리는 강수량은 787.6mm로서연강수량의 56.4%이다. 첫서리는 대부분 지역에서 10월 7일에 내리지만 높은 산간지역인 대지리에서는 9월 21일에 내린다. 마감서리는 대부분 지역에서 4월 27일에, 산간지역(대지리)에서 5월 5일에 내린다. 주풍은 남서풍이며 연평균바람속도는 1.5m/s로서 황해북도에서 제일 약하다.

영역 내로 남강을 비롯한 여러 개의 강 하천들이 유입되어 있는데, 길이가 5km 이상 되는 하천이 19개이다. 주요 강하천들로는 추전강(楸田江), 평촌천(坪村川), 선암천(仙岩川), 미송천(美松川), 두무강(杜霧江), 화암천(花岩川), 봉명천(鳳鳴川) 등이 있다. 신림군 영역을 흐르는 남강의 길이는 약 75.4km이다.

신림군은 황해북도식물지리구에서 동북구의 남강 상류지대에 놓여 있으며 북한 온대북부의 식물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온대성식물들과 함께 한대성식물들도 적지 않게 분포되어 있는데 신갈나무, 피나무, 사시나무, 자작나무, 다릅나무, 물푸레나무, 가래나무, 소나무, 황벽나무 등이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전나무, 잣나무 등이 반점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밖에 싸리나무, 철쭉나무, 물앵두나무, 메역순나무, 만병초, 고광나무, 오갈피나무, 갈기조팝나무, 국수나무 등 떨기나무가 분포되어 있으며 그 아래로 대사초, 미역취, 모시대, 은방울꽃, 말나리, 참취, 박새, 송이풀, 꿩의다리, 큰기름새, 붉은참나무 등 초본식물이 자라고 있다. 해발 1,000m 이상 지역에는 북부아한대성 식물요소들인 전나무,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눈잣나무, 좀참꽃, 답자리참꽃, 좀붓꽃, 매저지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신평군에 분포된 산림유형의 57.8%는 참나무림이, 25%는 소나무림이다.

신평군의 산림 자원에서 기본은 주로 동발목으로 이용하는 목재자원이다. 산지에는 도토리, 머루, 다래를 비롯한 산과일과 삽주, 삼지구엽초, 천남성, 만삼 등 약초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고사리, 도라지, 두릅, 버섯 등 산나물이 많이 산출되고 있다. 신평읍 · 생양리 · 대지리에서는 10여 정보의 고사리밭을, 남천리 · 신평읍 · 생양리에서는 20여 정보의 도라지밭과 4정보의 두릅밭을, 신평읍 · 생양리에서는 많은 버섯밭을 조성하였다.[4]

역사[편집]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곡산군(谷山郡)의 상도면(上圖面) · 하도면(下圖面) · 멱미면(覓美面) · 이령면(伊寧面) · 화촌면(花村面)의 전체 리와 봉명면(鳳鳴面)의 1개 리(동천리), 동촌면(東村面)의 1개 리(오륜리)를 통합하여 황해도 신평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멱미면의 오류리 · 문암리를 병합하여 신평읍(新坪邑)으로, 상도면의 대동리 · 지경리를 병합하여 대지리(大地里)로, 상도면의 장암리 · 웅담리를 병합하여 석암리(石岩里)로, 상도면의 희엽리 · 방동리와 하도면의 명탄리를 병합하여 선암리(仙岩里)로, 하도면의 하남리 · 횡천리를 병합하여 남천리(南川里)로, 하도면의 미산리와 멱미면의 송현리를 병합하여 미송리(眉松里)로, 멱미면의 상단리 · 하단리를 병합하여 화암리(花岩里)로, 멱미면의 생왕리 · 장양리 · 두무리를 병합하여 생양리(生陽里)로, 멱미면의 마가리와 동촌면의 오륜리를 병합하여 평화리(平和里)로, 이령면의 원곡리 · 가락리를 병합하여 백년리(百年里)로, 이령면의 추전리 · 난전리를 병합하여 추란전리(楸蘭田里)로, 화촌면의 청룡리 · 봉산리를 병합하여 용산리(龍山里)로, 화촌면의 도리리 · 청금리를 병합하여 고읍리(古邑里)로, 화촌면의 무고리 · 장평리를 병합하여 장암리(將岩里)로, 이령면의 거리소리 · 거하리를 병합하여 거리소리(巨利所里)로, 이령면의 도음리를 도음리(陶陰里)로, 화촌면의 광천리와 봉명면의 동천리를 병합하여 광천리(廣川里)로, 화촌면의 운암리를 운암리(雲岩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7리를 관할하였다. 같은 해에 백년리가 백년노동자구(百年勞動者區)로 승격되었다.

1958년에 화암리 일부가 신평읍에 편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멱미노동자구(覓美勞動者區)로 개편되었으며, 백년노동자구를 만년노동자구(萬年勞動者區)로 개칭하였다. 동시에 거리소리 일부가 도음리와 만년노동자구에, 용산리 일부가 장암리에, 화암리 일부가 신평읍에, 생양리 일부가 거리소리에, 운암리가 광천리와 용산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95년에는 장암리, 용산리, 광천리가 고읍리에 흡수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신평읍), 2구(만년노동자구, 멱미노동자구), 11리(거리소리, 고읍리, 남천리, 대지리, 도음리, 미송리, 생양리, 석암리, 선암리, 추란전리, 평화리)로 구성되어 있다. 신평군 소재지는 신평읍이다.[5]

산업[편집]

광복 전에 광석채굴업이 있었다. 농산물로는 주로 조, 수수, 감자, 콩, 팥 등이 재배되었다. 따라서 주민의 대부분은 일제에게 고용된 광산노동자들과 화전농사와 숯구이를 하던 사람들이었다. 광복 후 신평군은 광업을 비롯한 중앙공업과 지방공업, 임업, 발전된 농촌경리를 가진 군으로 전변되었다.

신평군 경제에서 채취공업이 기본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에는 광석을 다량 채굴하고 다량 처리하기 위하여 설비를 대형화, 고속도화하고 운반을 다양화하여 생산을 훨씬 늘리고 있다. 광석채굴업과 함께 임업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산림자원이 풍부한 신평군에는 공업림경영소, 갱목생산사업소, 채벌사업소, 임산작업소 등 임업부문 기업소들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방공업에서 식료품공업이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군 전체면적에서 농경지가 5.9%로서 황해북도에서 농경지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에 속한다. 농경지 가운데서 논이 6%, 밭이 79%, 과수밭이 7%, 뽕밭이 6%이다. 주요 농작물은 옥수수, 벼, 콩, 수수, 밀, 보리, 메밀, 감자 등이 있다.

채소업에서 양배추를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 자두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축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소, 돼지, 양, 염소, 닭, 오리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그 중 소의 사육량은 황해북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고읍리, 대지리, 남천리를 비롯한 산간 리들에서는 토봉꿀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6]

교통[편집]

신평군 지역은 교통에서 도로 운수가 기본을 이룬다. 평양~원산 간 관광도로와 신계~양덕(평안남도) 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신평읍과 인접해 있는 여러 군들 그리고 신평군내 각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망이 구축되어 있다. 신평~연산, 신평~곡산, 신평~양덕, 신평~대지, 신평~정봉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황해북도 소재지인 사리원시까지는 약 142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평군〉, 《위키백과》
  2. 신평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신평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신평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신평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신평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황해북도 신평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신평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