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룡연반도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룡연반도

룡연반도황해남도 용연군(룡연군) 서부 황해에 돌출한 반도이다. 두음법칙을 적용하면, 용연반도라고 쓸 수도 있지만, 고유명사의 경우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룡연반도'라고 쓰는 게 맞다.

개요[편집]

  • 룡연반도는 길이 21km, 폭 7km이며,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에 황해지역이 침강하여 바다에 잠길 때 높은 산맥 부분이 남아서 형성된 것이다. 반도의 중앙으로 불타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있어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을 가른다. 또 북서부에는 구월산맥이 남서방향으로 뻗어 북쪽의 해안평야와 남쪽의 남대천 유역 평지의 두 생활권으로 분리한다. 서쪽 끝에는 장산곶절벽이 있다. 태산봉(381m), 국사봉(288m) 등의 산들이 있으며, 이 산들은 오랜 침식작용으로 가파르고 험하다. 해안 쪽으로 가면서 구릉들과 해안단구 및 해안평야가 있다. 해안선은 대체로 단조로우나 북부 해안을 중심으로 진풍반도(眞風半島)를 비롯한 국부적인 굴곡을 보인다. 또 해안은 사질해안과 암석해안이 섞여 있으며, 특히 장산곶 남해안에 발달한 해식절벽은 소나무 숲과 어울려 아름다운 경치를 이룬다. 장산곶 북해안의 몽금포(夢金浦)는 사질해안을 이루어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기후는 비교적 따뜻한 해양성기후로 연평균기온은 10℃, 연평균강수량은 1,000mm이다. 토양은 대부분 갈색산림토이다. 해안 일대에는 규사가 많고 장산곶 부근 해저에서는 응회질 점판암이 산출되어 벼룻돌로 쓰인다. 그밖에 예로부터 알려진 낙산(樂山)금광·금산포철광 등이 있다. 몽금포해수욕장을 비롯하여 송화(松禾)온천 및 구월산, 장연(長淵) 서쪽 2km에 위치한 석회동굴인 화굴(花窟), 또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차바위, 몽금포사구, 몽금포코끼리바위 등의 관광자원이 있다.[1]
  • 룡연반도의 끝에는 장산곶이 있다. 반도 북해안에는 몽금포 마을이 있고 장산곶으로부터 이어지는 사구는 명승지로서 알려져 있다. 반도의 남해안은 대동만을 사이에 두고 옹진반도와 서로 마주 보고 있고 구미포 역시 경승지로서 알려져 있다. 장산곶의 앞바다에는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백령도가 있다. 룡연군(龍淵郡)은 황해남도에 위치한 군이다. 서쪽의 황해로 뻗은 룡연반도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으로는 태탄군, 북쪽으로는 장연군에 접한다.[2]

불타산맥[편집]

  • 불타산맥은 황해남도 삼천군과 신천군 경계에 있는 까치산(594m)에서 시작하여 용연반도(룡연반도) 서쪽의 국사봉까지 뻗은 산맥이다. 길이 90km, 평균 높이 250m, 너비 5∼10km로 최고봉은 불타산(609m)이다. 장연향사곡지와 태산향사곡지 사이에 동서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동쪽의 구월산맥·수양산맥과 접한다. 높은 산맥은 아니나 해안지대의 낮은 충적평야지대 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이고 지형이 험준하여 산맥의 형태가 뚜렷하다. 중생대 백악기 습곡운동에 의하여 생긴 배사산맥이다. 중앙의 불타산 지역이 높으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고 너비도 좁아진다. 주요 봉우리는 까치산·팔봉산(482m)·목감산(252m)·불타산·성주봉(555m)·망대봉(380m)·태산봉(381m)·국사봉(288m) 등이다. 기반암은 상원계의 규암·석회암이며 이밖에 규질편암·점판암·돌로마이트도 있다.
  • 오랜 세월에 걸쳐 남대천과 장탄천 등의 하천 침식작용과 용식작용을 받아 위에 있던 두터운 석회암층이 침식되어 없어지고 밑에 있던 굳은 규암층이 드러나 산맥의 축을 이루었다. 규암층은 분수선을 중심으로 1∼3km 너비로 드러나 있으며 남쪽 기슭에는 석회암층이 남아 있다. 규암으로 된 산맥의 기본능선은 좁고 톱날처럼 날카로우며 봉우리들은 뾰족하다. 경사도는 30˚ 정도이며 45∼50˚ 되는 곳들도 있다. 수십m에서 수 km에 이르는 절벽이 여럿 있으며 좁고 깊은 V자형, 직선 계곡이 많다. 계곡 기슭에는 너비 300∼500m, 길이 2∼3km의 운적층이 펼쳐져 있다. 토양은 적갈색산림토와 갈색산림토이며, 식물분포는 온대북부계통과 온대남부계통의 점이지대에 해당한다. 주요 수종은 소나무·참나무·굴피나무·동백나무·산초나무 등이며, 식물분포 점이지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줄바꽃·모시풀·털손잎풀·정향풀·백선·초피나무·굴피나무 등이 자란다. 특히 북부에서는 볼 수 없는 대나무·모감주나무·이팝나무 등이 자란다. 멧돼지·노루·고라니 등의 동물이 서식하며 남쪽 사면지대에는 꿩이 많고 서쪽에 장산곶식물보호구가 자리한다. 수리니고개와 불유고개 등 여러 개의 고개가 있으며, 용연군과 장연군쪽 산기슭은 과수원으로 개간되었다.

룡연군[편집]

  • 룡연군(龍淵郡)은 황해남도 서부의 서해안에 있는 군이다. 면적 462.55㎢으로 북쪽은 장연군, 동쪽은 태탄군, 서쪽과 남쪽은 황해에 면한다. 군의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불타산맥의 줄기가 서쪽 끝의 장산곶까지 뻗어 있으며 북쪽과 남쪽 강들의 분수령을 이룬다. 불타산맥에는 불타산(609m)·공산(269m)·성주봉(555m)·고두산(384m)·봉화산(322m)·태산봉(381m)·국사봉(288m) 등이 있다. 이 산들과 남쪽 해안 사이에는 넓은 용연평야(룡연평야)가, 북서쪽 해안 사이에는 몽금포평야가 펼쳐져 있다. 하천은 북부의 남대천과 소규모의 차현천·새길천·한천이 있다. 또 원소·샘물샘·물파샘·용난샘 등이 있으며, 고현저수지·장틀저수지·평촌저수지·부성저수지·안동저수지 등 10여 개의 저수지가 있다. 고현저수지에서 용연읍 사이에는 80여 리의 수로가 있으며, 용호리(룡호리)와 장산리 사이에는 서해갑문저수지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100여 리의 수로가 있다. 남쪽 해안지대의 간석지에는 염생식물인 나문재·퉁퉁마디 군락이 있고, 몽금포와 구미포의 모래펄에는 해당화·하늘타리·모래지치 등이 자란다. 장산곶 일대에는 긴열매졸참나무·당졸참나무·뾰족잎오리나무·넓은잎잔털오리나무·뇌성나무·민흰동백나무·샘털찔레나무·윤노리나무·장산벚나무·봄보리수나무·참부처꽃 등 특산식물이 분포하여 이 일대는 장산곶식물보호구로 지정되었다.
  • 월내도·오작도 등의 16개 이 있으며, 해안에는 대동만·몽금포·구미포·덕동포·고암포 등 포와 진, 곶이 있다. 중부에는 규암이, 해안지대에는 석회암이 분포하는데, 큰동굴, 박쥐굴 등의 동굴들이 있다. 또 유리공업의 원료인 규사와 금·철·석회석·백토 등 지하자원이 많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충적토이다. 연평균기온 10.9℃, 1월 평균기온 -3.4℃, 8월 평균기온 23.8℃로 같은 위도의 내륙지방보다 여름 기온이 낮고 겨울 기온이 높다. 도내에서 연평균기온의 연교차가 가장 작은 군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000mm이다. 산림은 군 면적의 50%를 차지하며 주요 수종은 소나무·참나무이다. 식물분포상의 특징은 한반도 남부와 북부의 점이지대로서 식물종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특히 불타산맥을 중심으로 한 장연반도(용연반도)에는 남부계통 식물인 비목나무·때죽나무·으름덩굴과·초피나무·백동백 등이 있으며, 그 남쪽 지대에는 보춘화가 자란다.

룡연반도의 지리환경[편집]

  • 축산업을 위주로 하면서 과수재배와 농업·수산업·식료공업 등 지방공업도 발달하였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쌀·콩이며, 특용작물로 유채·박하를 재배한다. 돼지·오리·양·소 등을 사육하는 목장이 있고 용연닭이 유명하다. 고현리 삼룡골과 연대골·상산골·오동골 등의 골짜기들에서는 양과 젖소 등을 방목한다. 용정리(룡정리)와 남창리에서는 돼지를, 용연리(룡연리)·순계리에서는 오리를 많이 기른다. 경지면적에서 밭이 69%, 과수원이 16%, 논이 12%를 차지한다. 사과·배·포도 등의 과수재배도 매우 활발하다. 과일은 사원리와 가평리, 용호리(룡호리)에서 많이 난다. 수산업으로서는 몽금포항을 중심으로 멸치·갈치·까나리·홍어·전어가 어획되는데, 특히 몽금포의 까나리는 북한 전 지역에서 유명하다.
  • 몽금포·구미포에서는 유리공업 원료인 규사가 채굴되며 철·고령토·크롬이 매장되어 있다. 용연∼장연 간, 용연∼해주 간 도로가 나 있으며, 장연선 철도가 지나는 장연역이 있다. 해운항로는 몽금포·구미포·덕동포 등지에서 해주·남포 방면으로 연결된다. 장연읍까지는 24km, 해주시까지는 100km 거리이다. 명승지로는 몽금포와 구미포가 있다. 몽금포에는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차바위(141)·몽금포사구(42)·몽금포코끼리바위(143)가 있다. 또 장산곶 주변에는 《심청전》으로 잘 알려진 "인당수"가 있다. 장산곶 일대는 장산곶식물보호구(북한천연기념물 18)로 지정되었다. 용호리(룡호리) 제산동·석교리 내화동·평촌리·곡정리·가평리에는 고인돌군이 있다.

장연군[편집]

  • 장연군(長淵郡)은 황해도 서부에 있는 군이다. 장연군은 이미 고구려시대부터 지금의 이름으로 불려왔다. 북쪽은 과일군·송화군, 동쪽은 삼천군·태탄군과 접하며, 서·남쪽은 황해에 면한다. 멸악산맥의 지맥이 본군에 들어와서는 불타산(佛陀山:608 m)을 정점으로 병풍산(屛風山:349 m) ·태산봉(泰山峰:380 m)을 일으키고, 불타산에서 발원하는 남대천(南大川)은 산지를 절단하여 안부(鞍部)를 이룸으로써 유역에는 곡저평야(谷底平野)를 형성하고, 산지를 남북으로 분리시키고 있다. 군의 남부를 서류하는 광탄천(廣灘川)의 하구에는 호수처럼 잔잔한 대동만(大東灣)이 있다. 서단에는 장산곶(長山串), 북안에는 명사십리와 해당화로 유명한 몽금포(夢金浦)의 사빈해안(砂濱海岸)이 전개된다. 또 장산곶 앞바다에는 월내도(月乃島) ·백령도(白翎島) ·대청도(大靑島) ·소청도(小靑島) 등의 육도(陸島)가 산재한다. 해안선은 별로 굴곡이 심하지 않으나, 남쪽의 대동만을 비롯하여 덕동만(德同灣) 북쪽의 용연만(龍淵灣), 몽금포만을 형성하고 있다.
  • 장연군 기후는 해양에 면해 있어서 온난한 해양성기후를 나타내어 비교적 따뜻하나,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춥고, 기류의 통과지역이므로 과우지역에 해당한다. 경지는 남대천 유역의 곡저평야에 약간의 논이 있어 쌀이 생산되나 대체로 밭이 많아 밀 ·콩 ·조 등과, 특용작물로는 잎담배 ·목화 ·깨, 과일로는 사과 ·감 등을 산출한다. 어업으로는 몽금포와 대청도가 어업의 근거지이며, 조기 ·새우 ·갈치 ·조개류가 어획된다. 광공업은 낙산광산(樂山鑛山)의 금 생산이 유명하고, 몽금포 ·구미포(九味浦)에서는 양질의 규사(硅砂)가 생산되는 외에 장산곶 부근에서는 벼룻돌이 산출되기도 한다. 장연읍 서쪽 2km 지점에 있는 길이 780m의 화굴(花窟)은 두견산(杜鵑山) 기슭의 꽃새굴로 지하경관이 아름답다. 장산곶은 해식애(海蝕崖)로 바다에 돌출해 있어 항상 파도가 세며, 심청(沈淸)이 빠졌다는 임당수(臨塘水)에 얽힌 일화가 있으며, 무성한 송림이 절경을 이룬다.

장산곶[편집]

  • 장산곶(長山串)은 황해도 장연군 해안면(海岸面:현 황남 용연군) 서단에서 황해로 돌출한 곶이다. 해주(海州) 서쪽 92km 지점에 위치하며, 해식애의 발달로 절벽이 병풍처럼 늘어서 있고, 송백(松柏)의 삼림이 아름답다. 앞면의 바다는 장산곶의 돌단(突端)으로 인하여 해류의 소용돌이가 심하고 항해의 난소로서 해난사고가 잦은 곳이다. 북쪽 13km 지점에는 몽금포(夢金浦)가 있고, 남쪽 30km 지점에는 구미포(九味浦)가 있으며, 모두 백사청송(白沙靑松)의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앞바다에는 고래잡이로 유명하였던 대청도(大靑島)와 소청도(小靑島) ·백령도(白翎島)가 있다.

몽금포[편집]

  • 북한 황해남도 룡연반도의 몽금포리에 있는 포구의 이름이다. 황해남도의 서쪽의 황해남도 룡연군 몽금포리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초도가 남쪽으로는 장산곶으로 둘러싸여 있다. 황해남도 룡연군몽금포리에 있는 미포구로서 북으로 초도, 남으로 장산곶(長山串)이 바라보이는 곳에 위치한다. 남북 2km, 동서 8km에 달하는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앞에는 모래산이 가로막고, 뒤로는 낙락장송이 병풍처럼 둘러서서 백사청송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 6·7월이면 해당화가 붉게 피어, 이른바 3합(백사·청송·해당화)의 조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장연반도(長淵半島)〉, 《두산백과》
  2. 룡연군〉,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룡연반도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