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견내량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견내량

견내량(見乃梁)은 경남 통영시 용남면과 거제시 사등면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으로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의 주요 격전지이다.

개요[편집]

  • 견내량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를 잇는 거제대교의 아래쪽에 위치한 좁은 해협이다. 길이는 약 3km, 폭은 약 180m, 400m까지이다. 임진왜란 때 한산대첩의 주요 배경이자, 현재는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가 걸쳐 있는 곳이다. 거제대교는 1971년 4월 8일 준공된 연륙교로 길이 740m, 너비 10m, 높이 53m의 다리이다. 70년대 초반 조선소의 건설로 인구와 물동량이 늘어나자, 신거제대교를 1999년도 4월 20일에 준공하였다. 신거제대교는 4차선의 길이 940m, 폭 20m, 높이 20m로 건설되었다.[1]
  • 견내량은 경남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이다. 거제도를 출입하는 관문에 해당하는 지역이자 남해안 연안 해로에서 중요한 교통로 중 하나이다. 길이 약 3km, 폭은 180 ~ 400m 정도로 지금은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가 놓여 있다. 통일신라 때 견내량이 내려다보이는 거제 우봉산(해발 325m)에 둔덕기성(사적)을 쌓아 연안 해로를 통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거제도에 경상우수영을 설치하였다. 고려중기 무신란 때 의종이 폐위되어 둔덕기성에 유배되면서 전하도(殿下渡)라 불리기도 하였다.

견내량의 역사[편집]

  • 견내량은 고려 시대에는 고려 의종이 1170년 - 1173년까지 만 3년간 거제도로 유배되어 전하도(殿下渡)로 불렸고, 임진왜란 때는 옥포해전과 한산해전의 주요 배경지가 되었다. 특히 한산해전은 7월 5일부터 7월 13일까지 견내량에서부터 한산도 앞바다 그리고 안골포 전투를 벌이는 시발점이 되었다. 당시 조선의 수군은 한 번이라도 패하면, 수로의 주도권을 놓칠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해 있었으므로, 해협과 만을 낀 수륙 합동 작전을 위한 유인작전과 공방전을 하는 전술을 구사하였다. 임진왜란의 주요 해전의 배경이 된 곳은 이러한 좁은 해협과 거센 물길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육지와의 사이에서 바다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곳이기 때문에 지금은 모두 교량이 서 있다.

견내량항[편집]

  • 견내량항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거제도 섬에 있는 어항이다. 2003년 2월 3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거제시장이다. 견내량 마을은 고려 의종 24년 정중부의 경인란으로 왕이 거제도로 추방되어 오면서 건넜다고 하여 전하도라 불렀으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선 30여 척을 격파한 후 나루터가 생겼고, 1971년 거제대교가 개통되어 육로가 생기게 되었다.

견내량 대첩[편집]

  • 견내량 대첩(見乃梁大捷)은 한산도 대첩(閑山島大捷)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의 승전 중 하나로, 1592년 8월 14일 한산도 내해에서 발발한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 간의 전투이다. 임진왜란의 전황이 바뀌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전투 중 하나로 일본 수군의 수륙병진을 완전히 박살 낸 대첩이며, 이 한산 해전에서 승리하면서 평양까지 승승장구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이 추가 보급 및 병력 지원을 받지 못하여 평양성에 눌러앉게 되었다. 수군의 도움을 받지 못하니 전라도를 공격하는 왜군의 움직임도 둔화될 수밖에 없었다. 임진왜란의 해전 중에서도 명량 해전, 노량 해전과 함께 매우 유명한 해전이어서,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창작물에서는 높은 확률로 등장한다.

견내량 지리환경[편집]

  • 견내량에는 1771년 2차선 다리인 거제대교가 개통되었으며 그 후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4차선 다리인 신거거제대교가 1999년 개통되었다. 신거제대교는 길이 940m, 폭 20m, 높이 20m의 다리이다. 견내량 동쪽 거제도와 고성군 사이의 바다는 거제도가 먼바다 파도를 막아주어 호수 같은 지형을 하고 있다. 견내량을 지나면 통영항과 한산도가 있는 바다로 연결된다. 임진왜란 때(1592년) 일본 수군을 유인, 통과시켜 한산도 앞바다에서 큰 승리로 이끈 역사적인 현장이다. 거제도를 우회하여 먼바다로 항해할 수 있지만 당시 항해기술로는 파도가 심해서 견내량을 통과해야만 했던 지형적 요충지이다.
  • 바다를 가면 바람이 멈추는 것을 보기가 쉽지 않다. 바다는 항상 바람이 있고 물결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구가 살아 숨 쉬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에 가장 쉬운 방법은 바다를 가는 것이다. 수만 년, 수천 년, 수백 년 전에서부터 사람들은 바다가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거제와 통영의 사이의 견내량은 좁은 해협이다. 거제도의 앞바다인 견내량은 고려 의종이 1170년 - 1173년까지 만 3년간 거제도로 유배되어 전하도(殿下渡)로 불리게 된 사연도 있다. 고려 의종은 나중에 이의민에게 허리를 꺾여 비참하게 죽임을 당하게 된다. 통영의 끝자락이며 거제도가 코앞에 보이는 앞바다는 견내량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견내량은 이순신으로 인해 더 유명세를 타게 된다. 이 좁은 바다에서 이순신은 학이 날개를 펼친다는 학익진을 선보였다. 영화 한산에서 학익진이 등장한다. 연기마을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이곳이 바로 견내량이 자리하고 있다. 학익진(鶴翼陣)은 부채꼴 모양으로 적을 감싸는 진법의 하나로 동양과 서양, 옛날과 오늘날 모두 두루 쓰이는 전술의 하나다. 보통은 바다에서 사용하기가 쉽지가 않은 것이 바다의 변동성이 있기 때문이다.
  • 견내량의 연기마을은 돌미역이 중요한 먹거리로 자리 잡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이기도 한 돌미역은 틀잇대 채취어업인데 경남 통영시와 거제시 사이 좁은 해협인 견내량에서 어민들은 틀잇대라고 불리는 긴 장대를 물속에 넣어서 바위에 자생하는 미역을 감아올려 캐는 전통어업이다. 불과 수백 년 전에 치열한 전쟁이 있었던 견내량은 햇볕 투과량이 많고 빠른 물살로 인해 수질이 깨끗해 미역이 자라는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수심 바닥층 돌에서 자라는 미역으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고 한다. 명량의 바다, 한산의 바다, 노량의 바다를 모두 가보면 알겠지만 물의 흐름이 남다르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휘몰아쳤다가 다시 평온해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주변의 유적[편집]

  • 오량성(烏良城)은 거제도 입구에 있는 오양역을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조선초 연산군 때(1500년)에 쌓은 성이다. 오량역은 왜구의 침략이 극심했던 고려말에 폐지되었다가 조선 초에 고성 읍치 부근에 있던 송도역과 거제현 읍치까지 거리가 너무 멀어 편의를 위해 견내량(거제대교) 부근에 있는 현재의 위치에 역을 다시 설치하였다.
  • 둔덕기성(屯德岐城, 사적)은 견내량이 내려다보이는 우봉산(해발 325 m)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으로 7세기 신라 때 처음 쌓았으며 고려 때 보수하여 다시 사용하였다. 고려중기 무신란 때 폐위된 의종이 유배되었던 곳으로 폐왕성(廢王城))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초 고려 왕족들이 유배된 장소로 기록에 남아 있다.
  • 광리왜성지(廣里倭城址)는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에 있는 왜성이다. 1593년에 왜군이 조선의 수군을 제어하기 위해 축성된 것이다. 1592년 도요토미히데요시[豊臣秀吉]가 와키자카 야스하루[脇坂安治]에게 거제도에 성을 축성하여 조선의 수군에 대한 수비를 견고하게 하라고 지시하였다. 덕호리(德湖里)의 서남쪽 둔덕면(屯德面)과 접하는 바닷가에 위치한 곳이었다. 당시 왜군이 남해안에 축성한 본성(本城) 11개와 지성(支城) 7개 중 한 개의 지성으로 보인다.

견내량 주변의 관광[편집]

  • 통영타워는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 위쪽에 있다. 카페와 레스토랑이 있고, 견내량 일대 아름다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 카나리아 해양레포츠는 광리마을에 있는 체험장이다. 요트 낚시와 선셋투어를 체험할 수 있다.
  • 유치환기념관은 <깃발>의 시인 유치환이 태어난 곳은 거제도이고, 유아기와 청소년기를 보낸 곳은 통영이다. 통영시에는 유치환 문학관이 있고, 거제도에는 유치환 생가와 청마기념관이 있다.
  • 성포항에서 가조대교를 건너가면 왼쪽에 수협효시공원이 있다. 한국 수협이 이곳에서 시작했음을 여러 자료를 통해 보여준다. 왼쪽 해안선을 따라가면 노을이 아름다운 노을언덕이 있고, 끝 지점에 계도어촌체험휴양마을이 있다. 낚시체험을 할 수 있다.
  • 성포항은 사등면소재지에 있는 포구이다. 여행객들이 거의 모르고 지나치는 숨어 있는 포구인데 가조대교 아래쪽에 있다. 조용한 횟집과 찻집이 있고, 통영 쪽으로 넘어가는 해넘이 풍경이 아름답다.

거제대교[편집]

  • 거제대교(巨濟大橋)는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沙等面) 서쪽과 통영시 용남면(龍南面) 장평리(長坪里) 사이의 견내량해협(見乃梁海峽)에 건설된 다리이다. 길이 740m, 너비 10m, 높이 53m(지상 26m, 해저 27m)이며 1965년 착공하여 1971년 4월 8일 준공되었다. 연륙교(連陸橋)로서 거제도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견내량 돌미역[편집]

  • 통영과 거제 사이 바다 견내량 해협에선 전통어업 방식으로 바닷속 암반에 서식하는 돌미역을 채취한다. 해양수산부의 국가중요어업유산 제8호로 선정된 트릿대를 이용한 돌미역 채취어업은 바다 건너 두 마을의 아름다운 상생어업이기도 하다. 한국의 나폴리라는 아름다운 항구도시 통영과 한국해양관광을 선도하는 거제도 사이에는 견내량 해협이 있다. 견내량 해협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한산대첩을 벌인 무대이면서 한려수도의 주요 포인트이기도 하다. 고려 의종 때(1170년) 정중부의 난으로 왕이 3년간 거제도로 추방되어 유배살이를 하면서 거제도 견내량 마을 일대는 '전하도'라 불렸다. 통영과 거제는 신·구 거제대교를 통해 이어져 있지만 사실은 견내량 돌미역을 통해 공동운명체를 이루고 있다.
  • 견내량 해협의 길이는 약 3km, 폭은 약 180~400m, 평균수심은 5~6m이다. 주변에 높은 산이나 숲이 없어서 햇볕 투과량이 많고, 물살이 빠르고 수질이 깨끗하다. 파도가 거칠거나 물살이 빠른 곳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이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강한 섬유질을 자체 생성한다. 이곳 돌미역은 주변 환경에 맞춰 자생하느라고 미역 줄기가 다소 가늘고 질기다고 한다. 또한 사계절 미역의 색깔이 조금씩 다르다. 견내량 미역은 물속 천연암반수에서 자라고, 거센 물살을 견뎌낸 강한 생명력 때문에 줄기에 힘이 있고, 식감이 단단하다. 견내량 돌미역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몸이 불편한데 음식 만드는 사람이 견내량 돌미역을 가져왔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기운이 떨어졌을 때 보신을 위해 먹는 음식이었다는 이야기다. 그 명성은 임금님 수라상에도 진상됐을 정도로 유명한 식재료였다. 통영시 연기마을 주민들은 견내량 돌미역 채취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것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제막했다. 기념비는 연기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모아 마을을 상징하는 표지석으로 건립했다.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견내량〉,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견내량 문서는 한국지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