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반도
무안반도(務安半島)는 전라남도 서남권에 위치한 직사각형 모양의 반도다.
목차
개요[편집]
- 무안반도는 전라남도 무안군 황해안에 남북방향으로 돌출한 직사각형의 반도이다. 북쪽은 함평만, 서쪽은 신안군 압해읍의 많은 섬들, 동쪽은 영암만, 남쪽은 화원반도와 접하고 있다. 북쪽 무안읍에서 남단 목포시까지 약 50㎞에 이르고 그 너비는 약 20㎞이다. 행정적으로 무안읍·청계면·삼향읍·몽탄면·일로읍과 목포시를 포함한다.[1]
- 무안반도는 전남 황해안에 남북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의 반도이다. 북쪽은 함평만(咸平灣), 남동쪽과 남쪽은 남해만(南海灣:현재의 영산호) ·영암만(靈岩灣), 서쪽은 다도해에 둘러싸여 있다. 반도 앞바다의 여러 섬들과 더불어 노령산맥이 형성한 반도로, 해안선 굴곡이 매우 복잡하여, 반도 중앙 북서쪽에는 해제(海際)반도 ·망운(望雲)반도가 길게 돌출한다. 반도의 거의 전역이 무안군에 속하고, 남단부에 목포시가 있다.[2]
- 무안반도는 너비가 대략 20km이다. 무안반도 북쪽에는 함평만, 서쪽에는 다도해를 포함한 황해(서해), 동쪽에는 영산강, 남쪽에는 영산강하굿둑이 있다. 무안반도의 거의 대부분은 무안군이 차지하고 있고, 남쪽 끝에는 목포시, 서쪽 섬 지역은 신안군이 자리 잡고 있다. 반도의 주변은 노령산맥 지맥의 침강으로 인하여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고 반도의 서쪽은 다도해를 이룬다. 또한, 간만의 차가 크고 간석지가 넓을 뿐만 아니라, 연안에는 천일염전이 많고 영산강이 유입된 곳으로 평야가 넓게 발달하여 있다. 무안반도에서 제일 높은 산은 무안군 청계면, 몽탄면의 승달산이다.[3]
반도의 기준[편집]
- 반도(半島, peninsula)는 육지 또는 대륙으로부터 돌출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땅을 말한다. 삼면이 바다로 싸여 있는 반도는 성인(成因)에 따라 대규모의 지반운동 즉, 단층(斷層)이나 습곡운동(褶曲運動)에 의하여 형성된 것과 산지의 말단부가 침수되면서 익곡(溺谷)과 익곡 사이의 돌출부가 남은 것, 그리고 연안의 모래톱이 성장하면서 형성된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는 서남아시아에 있는 아라비아반도다. 면적은 약 320만㎢로, 한반도의 14.5배다. 1만 년 전에는 푸른 땅이었다고 하나 지금의 아라비아반도는 대부분이 사막기후대로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사람이 살기에는 척박하지만, 이슬람의 발상지로 이슬람문화가 발달했다. 석유가 발견되면서 부유해진 국가들도 많다. 아라비아반도의 80%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토다.
- 반도는 대륙과 해양을 연결해주는 육교의 역할을 하며, 대륙과 해양으로 진출하는 데 유리하다. 반도 국가인 한국은 일찍이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에 전파시켰고, 때로는 대륙과 해양 양쪽에서 침입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이 임해공업과 원양어업을 진흥시키고, 해외무역에 주력할 수 있게 된 것도 반도적 위치가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반도로 옹진반도·태안반도·변산반도·해제반도·화원반도·해남반도·장흥반도·고흥반도·여수반도·고성반도 등을 들 수 있다. 동해안에는 지반의 융기에 의하여 형성된 장기반도와 모래톱이 성장하면서 형성된 호도반도·갈마반도 등이 있다.
무안반도의 자연환경[편집]
- 무안반도의 주변은 노령산맥 지맥의 침강으로 인하여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고 반도의 서쪽은 다도해를 이룬다. 또한, 간만의 차가 크고 간석지가 넓을 뿐만 아니라, 연안에는 천일염전이 많고 영산강이 유입된 곳으로 평야가 넓게 발달하여 있다. 무안반도의 남단에 있는 목포는 항구도시로 전남평야의 문호이며 방적·정미·조면·제유·면실유의 공업이 성하다. 또한, 호남선의 종점이며, 진도·무안군도·제주도·홍도로 가는 해상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앞바다인 눌도에 다도해해수욕장을 비롯하여 부근에 많은 해수욕장이 있다.
-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와 난전리 일대에는 국가산업단지인 대불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다. 이는 서남권 개발 촉진을 통한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중국 및 동남아 시장진출을 위한 전진기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총면적 1137만 2000㎡에 조성하였고 1997년에 준공되었다. 입지 여건은 남해고속도로(진월 IC)와 2번 국도 및 58번 지방도, 전라선 순천역, 경전선 광양역, 여수공항(30㎞), 사천공항(70㎞), 단지 내 전용부두 등 항만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무안군(務安郡)[편집]
- 전라남도 서부 중앙에 있는 군이다. 동쪽은 영산강을 건너 나주시와 영암군, 남쪽은 목포시, 북쪽은 함평군과 접하고, 서쪽은 신안군의 섬들과 마주한다. 3읍 6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안읍 무안로 530번지(성동리 712번지)이다.
- 육지나 도서를 막론하고 해발고도 400m 이상 되는 산지는 없고, 낮은 구릉과 평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노령산맥의 한 지맥이 비옥한 나주평야를 지나 전라남도의 남서쪽 끝에 무안반도를 형성하고, 다시 이곳에서 해제반도와 망운반도가 갈라져 나갔다. 해안은 침강해안으로 굴곡이 심하나, 간만의 차가 커서 바다가 멀리까지 얕기 때문에 항만의 발달은 거의 없고 다만 반도 남단에 목포항이 있을 뿐이다.
- 한반도의 남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난류의 영향으로 온화한 해양성기후를 이루고 있으며, 난대림이 무성하다. 1월 평균기온은 0.9℃, 8월 평균기온은 26℃이고, 연평균기온은 13.3℃이다. 연 강수량은 1,071mm로 적은 편이다.
무안반도의 관광지[편집]
무안군을 상징하는 꽃은 국화이고 나무는 느티나무, 새는 백로이다.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사적 1점과 천연기념물 2점, 중요민속자료 1점 등 4점이 있다. 사적은 '무안 도리포 고려청자 매장해역(395), 천연기념물은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82)'과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211)', 중요민속자료는 '무안나상열가옥(167)'이다. 그밖에 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2점과 기념물 4점, 민속자료 4점, 문화재자료 7점이 있다.
회산백련지[편집]
- 면적이 313,313㎡로 2001년 기네스북에 오른 동양 최대의 백련 자생지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3년경에 이름 없는 두 개의 저수지를 합쳐 복룡지로 불리며 논에 물을 대는 저수지로 쓰이다가 1981년 영산강 하구둑이 만들어진 이후 그 쓰임을 점차 잃었다.
- 1955년 인근 덕애마을의 정수동씨가 백련 열두 뿌리를 심고 꿈에 학 열두 마리가 내려와 앉아 있는 모습을 본 이후 좋은 징조라 여겨 정성껏 가꿔 지금의 연지가 되었다. 1997년 연꽃 축제가 열리면서 회산백련지로 불렸고 무안백련, 가시연, 어리연, 개연, 물질경이 등 희귀 물풀이 자라고 붕어, 잉어, 가물치, 매기 등 토종 물고기가 살고 있다.
무안황토갯벌랜드[편집]
- 한국의 습지보호지역 1호 '무안갯벌'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97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1년 5월 전국 최대 규모 갯벌센터로 개장하였고, 현재 명칭은 무안황토갯벌랜드이다. 람사르 습지 1732호이자 전남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검은 비단' 무안갯벌의 가치를 소개하는 홍보, 교육, 전시 기능과 생태체험학습을 통한 해양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 넓은 생태공원, 갯벌학습장, 생태체험장을 갖추었고, 청정갯벌 생태자원의 체계적인 보전 관리와 관광자원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분재테마전시관과 분재전시실 등의 전시시설이 확충되었고 다양한 숙박시설이외에도 황토찜질방, 매점, 식당, 농산물판매장, 짚라인 등 편의시설도 갖춰져 있어 가족단위 및 소규모 단체여행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톱머리해수욕장[편집]
- 무안읍에서 서쪽으로 8㎞정도 떨어진 망운면 피서리에 위치한 톱머리 해수욕장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여 간조 때 펼쳐지는 끝없이 넓은 백사장과 보호림으로 지정된 해송 숲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 해수욕장 긴 백사장을 따라 횟집들이 자리 잡고 있어 해수욕과 함께 싱싱한 생선회도 즐길 수 있다. 백사장 길이 2㎞, 폭 100m이다. 교통편도 편리한 편으로 가족 단위 피서객이 많이 찾으며, 호젓하면서도 빼어난 경관과 인근 해안에는 돔, 숭어 등 어족이 풍부하여 낚시와 피서를 즐기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다.
승달산[편집]
- 승달산은 해발 333m로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남도의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어서 해발고도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조망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겨울에도 훈훈한 훈풍을 느낄 수 있는 명산이다. 또한 토양이나 기후조건이 야생난이 자라기에 최적의 조건을 지니고 있어 '난(蘭)'자생지로도 이름난 곳이다.
- 승달산이라는 명칭이 '고려 인종 때 원나라 승려 원명이 이 산에 올라와 교세를 크게 떨쳤고 그를 찾아온 제자 500여 명이 한꺼번에 깨달음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는 전설처럼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며,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3천 년에 이르도록 문무백관이 탄생한다는 호남의 4패 명혈 중의 제1의 혈처를 안았다고 기록되어 있어 더욱 주목받는 산이다.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편집]
- 무안읍 용월리 상동 마을은 백로와 왜가리가 주종을 이루는 집단번식지이다. 해마다 3~4월이면 동남아지역에서 월동한 백로와 왜가리가 이곳을 찾아와 집단을 이루어 번식하고 10월이면 동남아의 월동지역으로 다시금 남하 이동해 가곤 한다.
- 마을 앞 청용산에는 4,000여 수가 한데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인근 용연저수지에 조성된 작은 인공섬과 한가롭게 노는 백로. 왜가리의 모습이 어우러져 더욱 신비를 자아내고 있다. 마을에서는 백로가 찾아와 집단 번식을 하면 풍년과 행운을 안겨다 준다고 해서 백로를 길조로 여겨 오늘날까지 잘 보호해 오고 있다.
노을길[편집]
- 노을길은 무안군 망운면 송현리 조금나루 해변에서 현경면 봉오제 간 총 연장 10.75km, 폭 5~10.75km의 도로를 비롯해 산책로, 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만남의 길, 자연행복 길, 노을 머뭄 길, 느리게 걷는 길, 이렇게 4개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 구간이 주제별 특색 있는 이야기로 구성돼 있으며 차로와 산책로가 함께 구성이 되어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노을길은 기존 송림 숲을 이용하여 낙지공원, 전망대 쌈지공원을 새롭게 조성해 천천히 걸어서 즐기는 길의 묘미를 느낄 수 있으며 잘 보존된 갯벌과 바닷가만의 풍경을 즐길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로도 안성맞춤이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무안반도(務安半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무안반도(務安半島)〉, 《두산백과》
- ↑ 〈무안반도〉, 《위키백과》
참고자료[편집]
- 〈반도〉, 《위키백과》
- 〈반도〉, 《나무위키》
- 〈무안군〉, 《나무위키》
- 〈무안반도〉, 《위키백과》
- 〈무안반도(務安半島)〉, 《두산백과》
- 〈반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무안반도(務安半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박영래 기자, 〈전남 무안군, 초중고 신입생 10만원·대학 신입생 100만원 축하금〉, 《뉴스1》, 2023-03-31
- 이하은 기자, 〈무안군, 국회·전남도와 연계해 2024년 국고 확보 위해 노력〉, 《뉴스로》, 2023-03-28
- 강신성 기자, 〈목포시, 신안군과의 도농상생 교류 ‘붐업’ 조성〉, 《대한일보》, 2023-03-26
- 박경우 기자, 〈"무안반도 통합은 못해도 수산자원은 함께"〉, 《한국일보》, 2022-05-23
- 서상용 기자, 〈선거 앞두고 또 등장한 ‘무안반도 통합’ 문제〉, 《무안신안뉴스》, 2022-03-03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