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세포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강원도 (북) 위치
세포군 위치

세포군(洗浦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북) 중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세포군의 면적은 956.06km²이며 인구는 61,113명(2008)이다. 동쪽은 회양군, 서쪽에는 판교군, 북쪽은 법동군고산군에, 남쪽은 평강군김화군에 접하여 있다. 동서(대곡리~대문리) 간의 길이는 46km이고, 남북(이목리~성평리) 간의 길이는 31km이며, 도 전체면적의 8.62%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4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세포읍이다.

삼방약수와 삼방폭포가 이곳에 있다. 궁예의 왕릉 역시 이곳의 삼방협에 있다고 전하지만,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인지라 제대로 된 확인은 통일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명 자체가 궁예가 칼을 씻었다는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20세기 최남선의 풍악기유에 의하면, 세포군에 궁예의 무덤으로 전해지는 궁예묘가 있다고 한다.[3]

자연환경[편집]

이 지역은 북부와 동부, 서부, 가운데로 뻗어 있는 산줄기들과 비교적 평탄한 세포고원(洗浦高原)으로 이루어졌다. 산줄기들로는 백두대산줄기에 속해 있는 마식령산줄기(馬息嶺山-)와 철령산줄기(鐵嶺山-) 그리고 지맥들인 예봉산줄기, 새덕산줄기 등이 뻗어 있다.

여기에는 추애산(楸愛山, 1,528m), 복개산(1,358m), 흘령산(屹靈山, 1,343m), 사태산(沙汰山, 1,148m), 청하산(靑河山, 1,188m), 임암산(林巖山, 1,201m), 식개산(1,157m) 등 해발 1,000m 이상의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이 산줄기들은 임진강(臨津江)과 안변남대천(安邊南大川) 그리고 북한강(北漢江) 지류들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에는 해발 200m 이하의 낮은 지역은 거의 없고 400~1,000m 되는 산지가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200~400m 되는 지역이 20%를, 400~800m 되는 지역이 42%를, 800m 이상 되는 지역이 37%를 차지한다. 25°이상 경사지는 세포군 전체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평탄한 현무암지대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 지역은 추가령지구대(楸家嶺地溝帶)의 가장 높고 좁은 지역에 위치해 있다. 추가령지구대는 원산-서울단열대를 따라 놓여 있다. 서부의 후평리 일대에는 석회암 지형이 발달되어 있다. 세포읍과 회양군 현리 일대에는 현무암대지가 전개되어 있는데, 대지 위에는 거의 어디나 협곡들이 있다. 추가령의 북쪽 삼방리에 있는 삼방협곡(三防峽谷)은 북한에서 오래 전부터 명승지의 하나로 알려진 전형적인 협곡이다. 기반암은 편마암, 혼성암 및 교대화강암들과 석회암, 점판암, 현무암 등이 분포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철, 금, 은, 납, 아연, 텅스텐, 몰리브덴, 초무연탄, 형석, 활석, 석회석, 이탄, 점토 등이 분포되어 있다.

세포고원은 대륙성 기후의 특성이 뚜렷하나 여름과 초가을에는 바다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는다. 이 지역은 해발고가 각이하고 지형이 복잡하여 기후의 지역적 차이가 크다. 연평균기온은 6℃, 1월 평균기온은 -10.7℃, 8월 평균기온은 20.5℃, 최고극기온은 35℃(1952년 8월 14일), 최저극기온은 -36℃(1953년 1월 3일), 10℃이상 적산온도는 2,655℃, 연평균강수량은 1,491mm이다.

바람이 비교적 세고 눈비가 많이 오거나 안개가 끼는 날이 많다.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은 137일로서 강원도내에서 가장 짧다. 바람은 남서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3.6m/s로서 강원도내에서 바람이 가장 세게 부는 지역에 속한다. 봄과 가을에 세포고원을 지나는 내기바람이 불 때 추가령지구대가 통로가 되며 여름에는 바다로부터 차고 누진 바람이 삼방협곡을 지나 세포고원을 넘어 내륙깊이까지 흘러 들어간다.

기본 수계는 안변남대천 상류부와 임진강 및 북한강 등 지류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심으로는 안변남대천이, 남부에서는 임진강의 지류인 평안천(平安川)이, 서부에서는 고미탄천(古味呑川)과 용지천(龍池川)이, 동부에서는 북한강의 지류인 개동연천(個東延川)이 흐르고 있다. 이 하천들은 굴곡이 심하고 강바닥물매가 급하며 유속이 빠르다.

세포군에는 길이가 5km 이상 되는 하천이 22개가 유입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서 길이가 5~10km 되는 하천이 13개, 10~20km 되는 하천이 4개, 20km 이상 되는 하천이 5개가 유입되어 있으며 유역면적에서 50km2 되는 하천이 14개, 50~100km2 이상 되는 하천이 3개, 100km2 이상 되는 하천이 5개가 된다. 저수지로는 관개용저수지인 송포저수지(松浦貯水池), 귀락저수지(貴洛貯水池), 답전저수지(畓田貯水池), 신생저수지(新生貯水池) 등이 있다. 약수는 삼방약수(三防藥水)와 대곡약수(大谷藥水)가 있다.

세포군은 북한 식물분포구에서 북부온대구에 속하며 남부온대성요소식물로부터 아한대성요소식물에 이르기까지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다. 산림은 세포군 전체면적의 74%를 차지하고 있는데, 해발 600m까지는 소나무림이, 600~800m 지역에는 잣나무림이, 800~1,000m 지역에는 신갈나무 · 상수리나무 · 굴참나무 · 단풍나무 등 활엽수와 소나무 · 잣나무 등 침엽수들이 혼성림을 이루고 있다.

해발 1,000m 이상 지역에는 피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등의 활엽수림이 분포되어 있다. 삼방폭포(三防瀑布) 일대에는 서어나무, 생강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골짜기에는 오미자, 참나물, 삼방왕제비꽃 등이 자라고 있다. 추애산 꼭대기의 남쪽, 남서쪽 경사면에는 신갈나무, 사스래나무와 함께 주목이 반점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세포고원에는 넓은 초원이 펼쳐져 있다. 산림 속에는 참나물, 고비, 고사리, 두릅, 도라지, 더덕, 도토리, 삽주, 오미자, 만삼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동물로는 노루, 산토끼, 다람쥐, 청서, 족제비, 여우, 너구리, 오소리, 살쾡이, 산달 등 산짐승들과 접동새, 올빼미, 뻐꾸기, 딱따구리, 딱새, 박새, 종다리, 꾀꼬리, 할미새, 꿩 등 60여 종의 조류 그리고 열목어, 붕어, 잉어, 행베리, 메기, 어릉치 등 20여 종의 어류들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갈색산림토양이 덮여 있으며 하천연안에 충적토가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세포군 지역은 본래 강원도 (북) 평강군, 회양군, 안변군의 지역이었다. 1952년 12월 평강군의 세포면(洗浦面) · 유진면(楡津面)의 전체 리와 회양군 난곡면(蘭谷面)의 7개 리 · 안변군 신고산면(新高山面)의 3개 리를 병합하여 강원도에 세포군을 신설하였는데, 이때 평강군 세포면의 세포일리 · 세포이리 · 세포삼리를 병합하여 세포읍(洗浦邑)으로, 평강군 세포면의 근남일리 · 근남이리를 병합하여 백산리(栢山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서하일리 · 서하이리를 병합하여 서하리(西下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동산일리 · 동산이리를 병합하여 약수리(藥水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북평일리를 성평리(城坪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북평이리를 북평리(北坪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원남일리를 원남리(遠南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원남이리를 성산리(城山里)로, 평강군 세포면의 중평일리 · 중평이리를 병합하여 중평리(中坪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후평리 · 사창리 · 답전리를 병합하여 후평리(後坪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이구리 · 주빈리를 병합하여 내평리(內坪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천기리 · 진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천기리(泉岐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대문리 · 진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문리(大門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유연리 · 농구리를 병합하여 유연리(楡淵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상술리 · 하술리를 병합하여 상술리(上述里)로, 평강군 유진면의 적전리 · 금평리를 병합하여 금평리(金坪里)로, 회양군 난곡면의 직포리 · 현일리 · 현이리를 병합하여 현리(縣里)로, 회양군 난곡면의 속사동리 · 신평일리 · 신평이리 · 신평삼리를 병합하여 신평리(新坪里)로, 안변군 신고산면의 삼방협리 · 삼방리 · 청학리를 병합하여 삼방리(三防里)로, 평강군 세포면 신생리를 신생리(新生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9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금평리가 판교군에 이관되었으며, 1954년에 세포읍 일부와 신생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곡리(大谷里)를 신설하였고 상술리 일부가 북평리에, 성산리 일부가 원남리에, 약수리 일부가 성평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58년에 회양군의 유읍리(楡邑里) · 오봉리(梧鳳里) · 귀락리(貴洛里)가 편입되었으며, 1961년에 평강군 이목리(梨木里)와 법동군 신동리(新洞里)가 편입되었다. 1967년에 유연리가 상술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2001년 1월 27일 정령에 의하여 신평리, 현리, 유읍리, 귀락리, 오봉리가 회양군에 이관되었으며 평강군 복만리(福滿里)와 장촌노동자구(墻村勞動者區), 정동리(鼎洞里), 송포리(松浦里), 기산리(箕山里), 중삼리(中三里)가 편입되었다. 2003년 행정구역은 1읍(세포읍), 1구(장촌노동자구), 24리(기산리, 내평리, 대곡리, 대문리, 이목리, 백산리, 복만리, 북평리, 삼방리, 상술리, 서하리, 성산리, 성평리, 송포리, 신동리, 신생리, 약수리, 원남리, 유연리, 정동리, 중삼리, 중평리, 천기리, 후평리)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군 소재지는 세포읍이다.

2020년 10월 2일 조선중앙텔레비죤의 김정은 위원장 김화군 시찰보도에서 김화군의 관할구역이 2001년 개편 직전으로 돌아가면서 현리비행장 일대가 세포군으로 재편입된것이 확인된다. 또한 기산리 일대에 대해서는 해당 지도에는 나오지 않으나 다른 날 다른 북조선 매체의 기사에서 기산리에서 아홉명의 자식을 낳은 송금숙의 거주지를 평강군 기산리로 명기하고 있어, 2001년 개편은 무효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5]

산업[편집]

세포군은 광복 전에 화전농사나 숯구이를 하던 사람이 못살 고장으로 소문났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세포등판에 군사기지와 군마장을 설치하고 침략전쟁준비를 하는 한편 군부대의 부식물을 보장하기 위한 ‘싱기리공장’(무를 썰어 말리는 공장)을 차려놓고 이 고장 주민들을 가혹하게 착취하였다. 광복 후 세포군은 현대적 지방산업 공장들과 발전된 농촌경제를 가진 지역으로 전변되었다. 공업에서는 일용품공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주로 자체원료에 기초하여 가죽일용품, 목재일용품, 도자기일용품, 철제일용품, 초물일용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가죽으로 만든 신발, 장갑, 털모자 등 질 좋은 가죽제품들은 강원도 내의 여러 군들에 공급되고 있다.

식료품공업에서는 장류와 기름, 청량음료, 산과가공품 고기가공품 등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도 지방산업 공장들에서는 가구류, 천, 옷류, 가정용품, 화학제품, 종이 등 수백 가지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농경지는 군 전체면적의 16.9% 되는데, 그 가운데서 논이 9%, 밭이 86%, 과수밭이 3%, 뽕밭이 2%를 차지한다. 주요 곡물로는 감자, 옥수수, 벼, 콩, 수수 등이 있다. 특히 콩을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 강원도에서 콩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에 속한다. 이밖에 메밀과 팥도 강원도에서 첫 자리를 차지한다. 크고 맛있고 전분이 많은 감자는 군의 특산물로 알려졌다.

축산업은 세포군의 농촌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데 세포읍과 성산리, 이목리를 중심으로 하는 현무암덕땅의 수천 정보의 초지와 하천들의 풍부한 수원 그리고 샘터들을 이용하여 양, 소를 비롯한 초식성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이밖에 돼지, 닭, 오리 등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주로 배가 산출된다. 양봉업이 발달되어 있는데, 군내의 전반적 지역에서 뽕누에를 많이 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강원선과 청년이천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낙천역, 삼방역, 세포청년역, 성산역, 검불랑역, 이목역, 새마을역, 신생역, 백산청년역, 약수역, 서하역, 후평청년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고산~평강, 세포~신동, 세포~회양, 약수~장촌 간 도로가 달리고 있다. 세포~삼방, 세포~이목, 세포~장촌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강원도 (북) 소재지인 원산시까지 철도로 74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세포군〉, 《위키백과》
  2. 세포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세포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세포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세포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세포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강원도 세포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세포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