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희천시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자강도 위치
희천시 위치

희천시(熙川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남부에 위치해 있는 시이다.[1][2]

개요[편집]

희천시의 면적은 983.66㎢이며 인구는 168,180(2008)명이다. 남쪽으로 평안북도평안남도에 맞닿아 있다. 서남쪽은 평안북도 운산군평양직할시 모란봉구역, 동남쪽은 평안남도 녕원군이다. 희천시의 서북쪽은 자강도 송원군, 동북쪽은 자강도 동신군이다. 북서~남동(극성리~장평리) 간의 길이는 55km이고, 북동~남서(청하동~부흥리) 간의 길이는 21km이며, 도 전체면적의 5.8%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21동 12리로 구성되어 있다.

1967년에 자강도 희천군을 희천시로 승격시켰다. 희천은 이 고장의 옛이름 희주의 희(熙)자와 주(州)를 천(川)이나 산(山)으로 바꾸는 규례에 따라 천자를 붙여 희천이라 하였다. 희는 외적을 물리치는 싸움에서 큰 전과를 이룩한 빛나는 고장이라는 뜻에서 쓰인 말이며 천은 청천강 기슭에 자리잡은 고장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지명이라는 설도 있다.

본래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 아니었으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기계공업과 전력공업 공장이 다수 신설되어 공업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 북한의 수도인 평양시와 유사시 후방 역할을 할 자강도의 중간점에 희천이 위치해 있어서 전략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 곳이다. 희천시 자체도 군수공업이 크게 발달해 있으며 북한의 핵개발을 위한 우라늄 농축 시설도 이곳에 있다.

이 시에서는 《강성대국 건설 전략의 상징》인 희천발전소가 2001년부터 건설을 시작하였다. 북조선의 지도자인 김정일은 2008년부터 이 발전소를 처음 찾아와서 마지막 사망 직전까지, 희천발전소의 건설지도를 도맡아 하였다. 희천발전소는 김정일 위원장이 사망한 지 7개월이 지난 2012년 8월에 돌격대에 의하여 완공되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 후 취임한 김정은 제1비서는 이 발전소가 완공되는 모습을 끝까지 지켜 보았고 리영호과 장성택도 여러번 건설과정에 참여했다.[3]

자연환경[편집]

희천시는 주변이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는데, 대체로 북서부지역과 남동부지역이 높고 여기서 중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지세를 이루고 있으며 산줄기들과 하천들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놓여 있다. 남동부경계에는 묘향산줄기, 북서부경계에는 적유령산줄기, 서부경계에는 피난덕산줄기가 뻗어 있는데, 여기에는 묘향산(비로봉 1,909m), 인달산(仁達山, 1,693m), 천쾌산(天快山, 1,929m), 선벼루(1,311m), 무동산(舞童山, 1,762m), 서문봉, 매화산(梅花山, 932m), 삿갓봉 등과 다섯령, 월림고개(161m) 등 산과 영이 솟아 있다.

희천시에서 제일 높은 곳은 천쾌산, 제일 낮은 곳은 청천강 골짜기부근(해발 88m)이다. 해발 400m 이하 지역이 시 전체면적의 37%, 400m~800m 지역이 46%, 800m 이상 지역이 15%를 차지하고 있다. 5~25°의 경사지가 50%를 차지하고, 25°이상의 경사지가 49%를 차지하고 있는데, 지대가 낮은데 비하여 경사면적이 크다. 영역 내에서 희천분지(熙川盆地)가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분지의 동서길이는 11km, 남북길이는 10km, 해발은 140m로서 강계분지와 함께 자강도의 2대 분지를 이루고 있다. 분지는 청천강과 그 지류들의 침식작용에 의하여 낮아진 분지로서 충적층이 두껍게 쌓여 있다.

이 지역에는 큰 벌은 없고 하천 연안에 약간의 충적지들이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시생대 편암, 편마암, 혼성암, 규암, 휘장암, 화강암이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금, 니켈, 티탄, 운모 등 지하자원이 묻혀 있다.

기후는 내륙 분지지대의 기후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연평균일조율은 53%이고 연평균기온은 7.5℃, 1월 평균기온은 -11.3℃, 7월 평균기온은 23.4℃, 10℃이상 적산온도는 3,250℃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341.6mm로서 자강도에서 강수량이 제일 많다. 첫서리는 10월 초에, 마감서리는 5월 초에 내린다. 연평균상대습도는 74%이다. 남서풍이 우세하며 연평균풍속은 1.1m/s 정도이다. 기본 수계는 청천강 상류부분과 그 지류로 이루어져 있다.

영역 내에 청천강(淸川江), 희천강(熙川江), 지신천(知新川), 극성강(克城江), 평원천(平院川), 진면천(眞面川)을 비롯하여 5km 이상의 하천이 20여 개 유입되어 있는데, 그 중 10~20km인 하천이 6개, 20km 이상인 하천이 4개이고 유역면적이 50~100㎢인 하천이 2개, 100㎢ 이상인 하천이 5개이다. 하천들은 물매가 급하며 좁고 깊은 골짜기를 따라 흐르는 산악하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산림은 희천시 전체면적의 85%를 차지한다. 자강도에서 가장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으로서 식물상이 풍부하다. 해발 500m 이하 지역에는 소나무숲이 분포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활엽수들이 자라고 있다. 이밖에 밤나무, 산초나무, 포플러나무 등이 자란다. 해발 500~800m 지역에는 소나무와 참나무를 기본으로 하는 혼성림이, 800~1,400m 지역에는 참나무를 기본으로 하는 활엽수림이, 1,500m 이상인 지역에는 한대성침엽수들이 분포되어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잣나무, 소나무, 잎갈나무, 주목,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피나무, 사스래나무,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음나무, 박달나무, 느릅나무, 산벚나무, 아까시나무, 싸리나무, 산초나무, 조팝나무, 두릅나무, 철쭉나무, 오갈피나무 등이 있다. 산림 속에는 오미자, 족도리풀, 삽주, 삼지구엽초, 함박꽃, 고사리, 고비, 도토리, 돌배, 머루, 다래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동물로는 곰, 사향노루, 노루, 족제비, 여우, 오소리, 산토끼, 다람쥐, 살쾡이, 산달, 고라니, 뻐꾸리, 꾀꼬리, 박새, 되새, 쇠솔새, 어치, 물까치, 산비둘기, 꿩 등이 서식하고 있다. 강하천들에는 열목어, 산천어, 자치, 은어, 붕어, 행베리, 모래무지, 누치 등이 서식하고 있다. 토양은 대부분 지역에 갈색산림토양이 덮여 있고 높은 산봉우리들에 약간의 표백화갈색산림토양이, 강하천유역에 충적토와 논토양이 분포되어 있다.[4]

역사[편집]

주변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들이 발굴된 것으로부터 희천시 지역도 그 시대에 사람이 생존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고구려시기에 고구려의 판도로 되었다가, 그 후 발해의 서경압록부(西京鴨綠府)에 속해 있었다. 발해가 패망한 후 한동안 외적의 지배 하에 있다가, 고려 정종에 이르러 고려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979년(경종 4년)에 청새진(淸塞鎭)이 설치되었다. 1217년(고종 4년)에 위주(威州)로 되었다가, 후에 희주(熙州)로 개칭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396년(태조 5년)에 희주군으로 되었고 1413년(태종 13년)에 군현지명의 주(州)자를 모두 산(山) 또는 천(川)자로 고치는 규례에 따라 희천군(熙川郡)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에 부군제를 실시하면서 강계부(江界府) 희천군으로 되어 동면(東面), 북면(北面), 서면(西面), 남면(南面), 진면(眞面), 장동면(長洞面), 동창면(東倉面), 읍내면(邑內面) 등 8개 면을 관할하였다. 그 이듬해인 1896년에 전국을 13도로 개편할 때 평안북도 희천군으로 되면서 서면, 동면, 남면, 북면, 진면, 장동면, 동창면, 신풍면(新豊面) 등 8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동면 · 서면 · 남면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읍내면(邑內面)을 신설하여 읍내면, 서면, 동면, 남면, 북면, 진면, 장동면, 신풍면, 동창면 등 9개 면을 개편 관할하였다. 1939년에 읍내면이 희천면(熙川面)으로 개칭되었으며, 후에 희천읍으로 승격되었다가, 광복 후에 다시 희천면으로 되었다. 1949년 1월에 희천군이 신설된 자강도에 편입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신풍면, 동창면, 장동면의 전체 리와 동면의 3개 리가 새로 설립되는 동신군에 편입되고 나머지 희천면 · 서면 · 남면 · 북면 · 진면의 전체 리와 동면 중 4개 리를 병합하여 희천군을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희천면의 읍상리 · 청천리 · 읍하리 · 송우리 · 시장리 · 산저리 · 추평리 · 청산리를 병합하여 희천읍(熙川邑)으로, 진면의 향천리 · 향산리를 병합하여 향천리(香川里)로, 진면의 마선리는 마선리(馬船里)로, 진면의 초리 · 동문리를 병합하여 동문리(東門里)로, 진면의 장평리 · 남성리를 병합하여 장평리(長坪里)로, 남면의 부성리 · 부흥리를 병합하여 부흥리(富興里)로, 남면의 남신리 · 신성리를 병합하여 남신리(南新里)로, 남면의 원명리는 원명리(圓明里)로, 남면의 송지리는 송지리(宋之里)로, 서면의 평일리 · 평이리를 병합하여 평원리(平院里)로, 서면의 상서리 · 고읍리를 병합하여 상서리(上西里)로, 서면의 극성리 · 희서리를 병합하여 극성리(克城里)로, 희천면의 전평리는 전평리(全坪里)로, 희천면의 유중리 · 영안리를 병합하여 유중리(柳中里)로, 희천면의 지신리는 지신리(知新里)로, 북면의 명대리는 명대리(明垈里)로, 북면의 양지리와 응리를 통합하여 양지리(陽地里)로, 북면의 관대리 · 정상리를 병합하여 관대리(館垈里)로, 북면의 청운리 · 문암리를 병합하여 청운리(淸雲里)로, 동면의 갈현리는 갈현리(葛峴里)로, 동면의 청하리는 청하리(淸下里)로, 동면의 초상리 · 청상리를 병합하여 청상리(淸上里)로, 북면의 명문리는 명문리(明文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2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유중리 일부 지역이 희천읍에 편입되고, 전평리가 전평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967년에 자강도 희천군이 자강도 희천시로 승격될 때 희천읍 일부 지역은 유중리 일부와 병합하여 역평동(驛坪洞)으로 개편되고 나머지는 솔모루동 · 역전동(驛前洞) · 청천동(淸川洞) · 남천동(南川洞) · 서문동(西門洞) · 대흥동(大興洞) · 추평동(楸坪洞) · 매봉동으로 분리 개편되면서 폐지되었으며, 전평노동자구는 전평동으로 되면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전신동(全新洞)과 갈골동을, 지신리는 지신동으로 되면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풍산동(風山洞)과 신흥동(新興洞)을, 부흥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금산동(金山洞)을 각각 신설하였다. 동시에 원명리가 유중리에 편입되었고, 평원리는 평원동(平院洞)으로 되었다.

1981년에 추평동이 추평일동(楸坪一洞) · 추평이동(楸坪二洞)으로 분리 개편되면서 폐지되었고, 명문리 · 양지리가 송원군에, 청운리가 동신군에 이관되었다.

1990년에 청상리 일부 지역이 동신군 동신읍에 편입되었고, 1993년에 향천리가 장평리에 흡수되었으며, 1994년에 청하리가 청하동으로, 갈현리가 갈현동으로 각각 개편되었다. 1995년에 추평이동 일부를 분리하여 청년동(靑年洞)을 신설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21동(갈골동, 갈현동, 금산동, 남천동, 대흥동, 매봉동, 서문동, 솔모루동, 신흥동, 역전동, 역평동, 전신동, 전평동, 지신동, 청년동, 청천동, 청하동, 추평일동, 추평이동, 평원동, 풍산동), 12리(관대리, 극성리, 남신리, 동문리, 유중리, 마선리, 명대리, 부흥리, 상서리, 송지리, 장평리, 청상리)로 구성되어 있다.[5]

산업[편집]

희천시는 광복 전에 간단한 생활필수품조차 만들지 못하던 낙후한 화전 농사 고장으로 알려져 있었다. 광복 후 현대적인 설비와 기술로 장비된 중공업과 지방공업 그리고 발전된 농업을 가진 지역으로 전변되었다. 희천시 주요 공업 부문은 기계공업, 방직 및 피복 공업, 식료품공업, 일용품공업, 유리 및 도자기 공업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가운데서 기계공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도적 부문이다.

희천시에서는 기계 공업기지를 더욱 튼튼히 하기 위하여 이미 있는 기계공장들의 규모를 보다 늘리고 그 기술장비를 개선하여 생산 기술적 토대를 끊임없이 장성시키면서 새로운 기계 공업기지를 창설하는 투쟁을 계속 힘 있게 벌였다. 그리하여 크고 작은 기계부속품으로부터 대형 및 정밀기계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기계설비들을 생산한다. 희천공작기계공장(熙川工作機械工場)을 비롯한 기계공장들에서는 자동화기계들, 대형공작기계들 그리고 연료펌프, 분사구, 피스톤, 고리, 기어펌프 등 수십 가지의 부속품들을 생산한다. 방직 및 피복공업에서는 날염천, 외투, 셔츠, 운동복, 학생옷, 어린이옷 등을 생산한다.

이 밖에 간장, 된장, 당과류, 기름, 식초, 술, 채소 및 고기 가공품, 도자기류, 건재류, 악기류, 의약품 등이 생산된다. 임업도 발달되어 있는데, 주로 통나무를 많이 생산하여 여러 탄광들에 공급하고 있다. 지역 경제에서 농업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농경지 가운데서 논이 7%, 밭이 75%, 과일밭이 7%, 뽕밭이 10% 되는데 주요 곡물로는 옥수수, 벼, 콩, 밀, 팥 등이 있다. 채소업에서는 주로 배추, 무, 호박, 오이, 양배추, 고추, 시금치, 가지, 파 등 채소를 재배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양, 염소, 닭, 토끼, 오리 등을 사육하고 있으며 이밖에 뉴트리아, 메추라기 등도 사육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배, 사과, 포도, 자두, 복숭아 등이 산출되고 있다. 이밖에 양봉업과 양잠업도 발달되어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만포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희천청년역(熙川靑年驛), 청하역(淸下驛), 초상역(初上驛), 부성역(富成驛)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평양~강계 간 1급 도로와 강계~해주 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강계시까지는 142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희천시〉, 《위키백과》
  2. 희천시〉,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희천시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희천시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희천시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희천시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북도 희천시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희천시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