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군
※ 지도 위 글자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장진군(長津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서북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장진군의 면적은 1,887.46km²이며 인구는 64,681명(2008)이다. 북쪽으로 자강도 랑림군, 동쪽으로 부전군·신흥군, 남쪽으로 영광군, 평안남도 대흥군, 서쪽으로 자강도 룡림군과 접한다. 북동~남서(메물리~만풍노동자구) 간 길이는 71km이고, 북서~남동(임산리~백암리) 간 길이는 43km이며, 도 면적의 약 10.2%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16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장진읍이다.
고려 말에 하가루('하'는 고어로 크다는 뜻이고, '가루'는 강 또는 나루라는 뜻)라 하였다가, 1667년에 한자로 표기하면서 큰 강과 큰 늪이 많은 이 고장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긴 나루라는 뜻으로 장진이라 하였다. 1667년에 이곳에 보루를 설치하면서 나루를 따라 목성(木城)을 축조하였다 하여 장진책(청산책 또는 장향채라고도 함)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다.
6.25 전쟁 당시의 장진호 전투로 유명하다.[3]
자연환경[편집]
장진군은 개마고원(蓋馬高原)의 남서쪽 변두리에 위치해 있고 동쪽과 서쪽, 남쪽이 높은 산지에 둘러막혀 있으며 해발 약 1,000m 이상의 고원지대에 놓여 있다. 평지는 장진강(長津江)을 따라 띠모양으로 되어 있다. 전반적 지형은 남부지역에서 북부지역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북쪽 경계지역에는 연화산(蓮花山, 2,355m) · 메물령(袂物嶺, 1,693m) · 백산(白山, 1,950m), 서쪽 경계지역에는 천의물산(天宜物山, 2,032m) · 설한령(雪寒嶺, 1,433m) · 삿갓봉(1,700m) · 낭림산(狼林山, 2,186m) · 서편재(1,502m), 남쪽 경계지역에는 동백산(東白山, 2,094m) · 소마대산(小馬垈山, 1,934m) · 뒤봉(1,617m) · 황초령(黃草嶺, 1,208m), 동쪽에는 유린산(遊麟山, 1,926m) · 숫돌산(1,990m) 등 높은 산지가 솟아 있다. 장진군은 가장 낮은 곳에서도 해발 970m의 높이를 이루고 있다.
지질은 시생대 낭림층군의 변성암류들과 하부고생대 퇴적암, 제4 기층으로 되어 있으며 관입암은 시생대 안돌암군의 염기성-초염기성암류와 연화산암군의 교대화강암들, 중부고생대 남강암군의 염기성암, 단천암군의 화강암류들로 되어 있으며 텅스텐, 금, 은, 납 등 유색금속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장진군은 바다와 떨어져 있고 산에 막혀 있어 전형적인 대륙성기후의 특성을 가진다.
한편 장진호의 영향도 받는 기후적 특성을 가진다. 고원지대로서 기온이 낮고 강수량도 적다. 읍지구에서 연평균기온은 1.4℃로서 해안지대에 비하여 낮다. 1월 평균기온은 -17.5℃, 8월 평균기온은 17.2℃, 5℃이상 적산온도는 2,175℃, 10℃이상 적산온도는 1,815℃이다. 연평균강수량은 약 840mm이며 강수량의 약 65%가 여름에 내린다. 장진호(長津湖)의 영향으로 안개 끼는 날수는 무려 61일이나 된다.
기후의 특성과 관련하여 고지대 진펄이 많다. 장진강의 골짜기 연안들과 산기슭 특히 중화리(中華里), 서목리(西木里), 양묘리(養苗里), 신흥리(新興里), 갈전리(葛田里), 축전리(畜田里), 황초노동자구(黃草勞動者區) 및 양지노동자구(陽地勞動者區)에는 3,000여 정보나 되는 진펄이 전개되어 있다. 장진군에서는 첫 서리가 9월 중순경에, 마감서리가 6월 초순경에 내린다. 하여 감자를 비롯한 내한성작물재배를 위주로 하는 고지대농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장진군에는 장진강(長津江)과 그 지류들인 메물리강(袂物里江), 서중리강(西中里江), 구읍리강(舊邑里江), 풍류리강(豊流里江), 백암강(白岩江), 신대천(新大川) 등 수십 개의 크고 작은 하천들이 있다.
장진강은 소마대산(1,934m)의 북동쪽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하여 군내의 여러 하천들과 합류한다. 강수량이 많지 않으나 수원함양조건이 좋고 증발량이 적어 유량이 많다. 이 지대의 하천들에는 봄에 눈과 얼음 녹은 물이 흘러들므로 봄철수위가 높다. 또한 고원지대를 흐르기 때문에 강바닥의 종단면은 도 내의 다른 강하천들보다 느리며 기후조건과 관련하여 결빙기간이 길다.
장진군의 중부에는 큰 인공호인 장진호가 있다. 장진호는 수력발전에 이용되고 있는 한편 관개용수, 수상운수, 담수양어에 이용되고 있다. 이 호수는 부근의 누기를 높이고 기온을 조절하며 식물생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장진1호저수지(長津一號貯水池), 장진2호저수지(長津二號貯水池)가 있으며 이곳에 저수된 물은 전력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산림은 군면적의 약 89%이며 도 전체 산림면적의 약 11%를 차지한다. 주요 수종는 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등이 있다. 식물상은 고원중심지역식물상과 변두리의 높은 산지대식물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경사가 느린 고원중부지역산지들에는 잎갈나무 숲이 우세하고 해발 1,600m 이상 지역에만 삼송이 분포되어 있다.
산에는 또한 약초와 산나물, 산열매 등 산중부원들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 만삼, 황귀, 당귀, 작양, 족도리풀, 고사리, 고비, 참나물 등이 많으며 3만 정보 이상 되는 고사리밭이 조성되어 있다. 동물로는 곰, 사향노루, 살쾡이, 다람쥐, 산토끼, 여우, 오소리, 사슴, 범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꿩, 산비둘기, 부엉이, 딱따구리 등 날새들도 있다. 서목리일대는 해마다 많은 왜가리가 날아와 번식하고 있다. 토양은 고산습초원토양, 표백성토양, 표백화갈색산림토양과 충적토, 진펄토양으로 되었다.[4]
역사[편집]
장진군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원시시대의 유적유물이 발굴되지 않았다. 하지만 주변지역의 상황을 미루어 보아 청동기시대에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계급사회에 들어서면서 남옥저의 영역이 되어 있었고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로 되었다가 후에 신라의 지배하에 있었다. 698년에 발해가 건립되면서 남경남해부에 소속되었다. 고려 왕조가 건립된 후 고려의 판도로 되었다가 후에 오랫동안 여진의 손아귀에 들어 있었다. 그러다가 몽골이 금나라를 멸하고 이곳에 쌍성총관부를 설치하였는데, 장진군 지역도 그 지배하에 있었다.
1356년에 고려 공민왕이 북진정책을 실시하여 화주일대가 수복되고 몽골인이 설치한 쌍성총관부가 공략되면서 장진군 지역도 다시 고려의 영토로 수복되었다. 1391년(공양왕 3년)에 원 허천부(虛川府)를 갑주(甲州)로 개칭하였는데 이때 장진도 그 관하에 있었다. 그 후 조선왕조가 건립되면서 1413년(태종 13년)에 갑주를 갑산군으로 개편하였고 1461년에 갑산을 도호부로 승격시키면서 갑산 관하에 있던 삼수만호(三水萬戶)를 삼수군으로 독립시켰는데, 이때 장진은 그 관하에 있었다. 그 후 1667년(현종 8년)에 장진책(長津柵)을 설치하였고 1784년(정조 8년)에 보를 혁파하고 절제진(節制鎭)을 설치하였다.
1787년에 변지독진도호부(邊地獨鎭都護府)로 승격되면서 중사(中社), 동사(東社), 서사(西社), 남사(南社), 북사(北社)를 관하에 두고 관할하다가 1815년(순조 15년)에 별해진(別害鎭)으로 개편되었다. 그 후 봉건통치자들의 학정을 피해 많은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하고 주민수가 급격히 줄어들자 1843년에 장진군(長津郡)으로 개편되었다. 1865년에 장진도호부로 개편되면서 중사를 구읍사(舊邑社)와 신흥사(新興社)로, 동사를 동상사(東上社)와 동하사(東下社)로, 서사를 읍사(邑社)와 부민사(富民社)로, 남사를 상남사(上南社) · 중남사(中南社) · 하남사(下南社)로, 북사를 북상사(北上社)와 북하사(北下社)로 각각 분리 개편하여 11개 사를 관할하였다.
1895년에 지방행정구역 개편 시에 23부제를 실시하면서 삼수도호부(三水都護府)와 강계부에 선후 소속되었다가, 1896년에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남도 장진군으로 되어 산하에 읍면(邑面), 부민면(富民面), 상남면(上南面), 중남면(中南面), 하남면(下南面), 신흥면(新興面), 구읍면(舊邑面), 북상면(北上面), 북하면(北下面), 동상면(東上面), 동하면(東下面) 등 11개 면을 두고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동상면에 소속된 11개 리를 동하면에 편입하는 동시에 동상면을 신흥군에 이관하였고, 하남면과 신흥면을 병합하여 신남면(新南面)을, 북상면과 북하면을 병합하여 북면(北面)을, 읍면과 부민면을 병합하여 군내면(郡內面)을 각각 신설하여 7개 면을 관할하였다. 1923년에 군내면을 장진면(長津面)으로, 1939년에 구읍면을 서한면(西閑面)으로 각각 개칭하고, 광복 직후에 원 장진면을 동문면(東門面)으로, 신남면을 장진면으로 각각 개칭하였으며, 1949년 1월에 동문면을 신설되는 자강도 장강군에 편입하였다.
1952년 12월에 전 장진군의 북면 · 동하면의 전체 리와 상남면의 문악리를 신설되는 낭림군에 편입하였다. 동시에 전 장진군의 장진면, 중남면, 서한면의 전체 리와 상남면의 12개 리를 통합하여 장진군을 구성하여, 장진면의 경하리를 장진읍(長津邑)으로 승격하고, 서한면의 서목리를 장진군 서목리(西木里)로, 상남면의 속사리를 장진군 속사리(束沙里)로, 중남면의 백암리를 장진군 백암리(白岩里)로, 서한면의 늪수리를 장진군 늪수리로, 상남면의 메물리를 장진군 메물리(袂物里)로, 중남면 풍류리의 일부 지역을 장진군 풍류리(豊流里)로 각각 개편하였으며, 중남면의 사수리를 해방리(解放里)로 개칭하고, 서한면의 유담리와 한하리를 병합하여 중화리(中華里)를, 장진면의 서흥리와 중남면의 문천리를 병합하여 축전리(畜田里)를, 장진면의 대남리와 신흥리를 병합하여 신대리(新大里)를, 장진면의 상갈우리 일부와 고토리를 병합하여 황초리(黃草里)를, 장진면의 만풍리와 신하리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를, 중남면의 풍류리 일부와 신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흥리(新興里)를, 중남면의 신흥리 일부와 통지수리를 병합하여 청량리(淸凉里)를, 서한면의 한상리와 신포리를 병합하여 양묘리(養苗里)를, 서한면의 서중리와 북수리를 병합하여 임산리(林産里)를, 서한면의 적수리와 중남면의 중남리 · 고별우리를 병합하여 용호리(龍虎里)를, 상남면의 갈전리와 천의수리를 병합하여 갈전리(葛田里)를, 상남면의 삼흥리 · 창평리 · 마등리를 병합하여 중흥리(中興里)를, 상남면의 와갈리 · 서덕리 · 운수리와 덕실리 일부를 병합하여 운수리(雲水里)를, 상남면의 황포중리 · 황포측리 · 황포초리를 병합하여 황포리(黃浦里)를, 상남면의 연화리 · 양거수리와 덕실리 일부를 병합하여 양덕리(兩德里)를, 장진면의 도내리와 상갈우리 일부를 병합하여 도내리(島內里)를 각각 신설하여 1읍 23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53년에 양덕리 일부가 자강도 낭림군 문악리(文岳里)에, 갈전리 일부가 자강도 낭림군 대흥리(大興里)에 각각 편입되었고, 해방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으며, 1954년에 황포리 전체가 자강도 낭림군에 이관되었다. 같은 해 10월에 중흥리 · 운수리 · 양덕리가 자강도 낭림군에 흡수되었고, 1961년 3월에 신풍리가 황초리에 편입되었으며, 1967년 10월에 황초리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만풍노동자구(萬豊勞動者區)를 신설하였다. 1972년 11월 황초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77년 3월에는 해방노동자구를 양지노동자구(陽地勞動者區)로, 1981년 10월 중화리를 유담리로 각각 개칭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장진읍), 3구(만풍노동자구, 양지노동자구, 황초노동자구), 16리(갈전리, 늪수리, 도내리, 용호리, 유담리, 임산리, 메물리, 백암리, 서목리, 속사리, 신대리, 신흥리, 양묘리, 청량리, 축전리, 풍류리)로 구성되어 있다. 장진군 소재지는 장진읍이다.[5]
산업[편집]
광복 전 함경남도 내에서도 가장 낙후한 산간벽지로서 원시적인 화전농업이 우세를 차지하였다. 광복 후 현대적인 임업과 지방공업, 발전된 고지대농업을 가진 군으로 부상되었다. 경제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임업과 목재가공공업이다. 장진군에서는 전망성 있게 임산구역을 설정하고 순환주기에 준하여 벌목과 식수를 계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산림자원을 계속 확충하면서 통나무생산을 힘 있게 벌여나가고 있다. 통나무생산의 중심지는 메물리(袂物里), 신흥리(新興里), 백암리(白岩里), 임산리(林産里) 등이다.
장진군에서는 장진호와 강을 이용하여 수많은 통나무를 운반하고 있다. 양지노동자구(陽地勞動者區)와 장진읍(長津邑)에는 현대적 설비를 갖춘 제재소가 있다. 목재가공공업도 새롭게 발전하였는데 합판공장(合板工場), 목재가공공장(木材加工工場)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목재가공공장들이 있다. 공장에서는 목재부산물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목재일용품과 목질건재품을 생산한다.
장진군의 목재가공품은 종류가 다양하고 그 생산량과 질이 함경남도 내에서 손꼽힌다. 장진군은 지방공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도 풍부한 원료원천을 가지고 있다. 지방공업에는 식료품, 종이, 피복, 직물, 목재일용 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식료품공업으로서 간장, 된장, 기름, 당과류 등 여러 가지 식료품을 생산한다.
식료품공업과 함께 일용품공업도 발전하였다. 주요 일용품은 철제, 목재, 화학 일용품과 문화용품 등이 있다. 특히 이불장, 옷장, 밥상 등은 다른 지방에까지 널리 공급되고 있다. 이 외 철제일용품공장(鐵製日用品工場), 학용품공장(學用品工場), 피복공장(被服工場), 가성소다공장, 기계수리공장(機械修理工場) 등이 있다. 장진군은 내륙고원지대에 위치해 있어 농경지가 모두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농경지의 대부분은 장진호반일대와 장진강 및 그 지류들의 골짜기에 분포되어 있다.
농경지 면적의 87%가 해발 1,000~1,200m에 놓여 있으며 해발 1,000m 아래에 분포된 농경지면적은 불과 2%밖에 안된다. 고원 지형조건과 관련하여 경사도 15°이하의 농경지가 78%나 된다. 장진군 농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농산업과 축산업이다. 군에서는 지대와 필지 및 농작물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감자를 재배하여 그 생산량을 훨씬 늘리고 있다. 장진군 작물구성에서 밀보리 비중을 높여 곡물생산량을 훨씬 증가하였다. 주요 농산물로는 감자, 보리, 밀, 콩 등이 있다.
약초는 군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장진군에는 장진약초재배사업소(長津藥草栽培事業所)가 있으며 만풍약초보호구(萬豊藥草保護區)와 갈전리약초보호구(葛田里藥草保護區)가 있다. 장진군에서는 양배추, 갓, 양파 등 여러 가지 채소를 생산하고 있다. 농업에서 축산업도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풍부한 풀과 넓은 방목지를 이용하여 양, 소, 토끼, 염소 등 초식동물을 기본으로 하면서 닭, 돼지 등도 많이 사육하고 있다. 특히 양의 마리수는 도적으로도 많다. 양봉업도 발달하여 꿀을 많이 생산하고 있다.[6]
교통[편집]
장진선이 부설되어 있으며 여기에 사수역, 장진역, 상평역, 군성역, 고토역, 황초령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 교통은 함흥~강계, 장진~대흥, 장진~낭림, 장진~부전 간 도로가 달리고 있다. 장진~서목, 장진~양묘, 장진~풍류, 장진~메물, 장진~만풍, 장진~신대 간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이 밖에 장진호를 이용하여 장진군내 여러 지역과 연결된 수상통로가 개설되어 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 ↑ 〈장진군〉, 《위키백과》
- ↑ 〈장진군〉, 《나무위키》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 〈장진군〉, 《위키백과》
- 〈장진군〉, 《나무위키》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장진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