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은산군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평안남도 위치
은산군 위치

은산군(殷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중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은산군의 면적은 501.4㎢이며 인구는 206,407명(2008)이다. 서쪽으로 순천시, 북쪽으로 북창군, 남쪽과 동쪽으로 성천군과 접한다. 행정구역은 1읍 5구 1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은산읍이다.

고려시기에 은산현이 설치되었는데, 은산에서 한자 은(殷)은 오늘의 신창(新倉)지역에 은광이 있었다 하여 은 은(銀)자를 썼다는 설도 있고 주변에 천성산줄기와 삿갓봉, 숭화산(崇化山)과 같은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숨은 듯이 위치해 있는 고장이라 하여 숨을 은(隱)자를 썼다는 설도 있다. 역사기록에는 다만 은나라 은(殷)자를 쓴 은산만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난날 역사가들이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에 젖어 중국의 나라 이름을 무턱대고 고을이름에 붙인 후과라고 볼 수 있다.[3]

자연환경[편집]

은산군은 대체로 중간지대에 속하는 저산성 산지로 되어 있는데, 북쪽으로 천성 산줄기가 북창군과의 자연경계를 이루면서 뻗어 있고 여기에 이 산줄기의 주봉인 재동산(榟洞山, 1,016m)을 비롯하여 삿갓봉(878m), 새우봉(568m), 무쇠봉(465m), 미륵고개(322m) 등이 솟아 있다. 동쪽과 남쪽 경계지대에는 정방산(正方山, 436m), 호전산(678m), 자작산(339m) 숭아산(崇娥山, 684m) 등 비교적 낮은 산들이 솟아 있다.

산림은 은산군 면적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데 소나무, 잎갈나무, 삼엽송, 잣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사시나무, 싸리나무, 개암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천성 산줄기의 남쪽 경사면에는 족도리풀, 삼지구엽초, 고사리, 고비, 두릅, 도토리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하천은 남서쪽경계를 따라 대동강과 대동강의 지류인 장선강(長鮮江)이 유입되어 있으며 동부로 비류강(沸流江)의 지류인 금평천(錦坪川)이 흐르고 있다.

기반암은 석회암, 고회암, 편암, 천매암, 규암, 점판암, 사암, 분사암 등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석탄을 비롯하여 석회석, 금, 철 등 여러 가지 지하자원이 분포되어 있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양과 충적토가 분포되어 있다. 연평균일조율은 53%이고, 연평균기온은 8.8℃이며 8월 평균기온은 24℃, 1월 평균기온은 -8.8℃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131mm이며 연강수량의 약 62%가 여름철에 집중된다. 첫눈은 11월 14일경에 내리며 마감눈은 다음해 3월 26일경까지 내린다. 연평균풍속은 2.9m/s, 12월 평균풍속은 1.8m/g이다.[4]

역사[편집]

은산군 지역은 본래 평안남도 순천군의 지역이었다. 일찍 고구려 시기에 흥덕군(興德郡)이 설치되었으며 983년(성종 2년)에 은주(殷州)로 되었고, 1278년(충렬왕 4년)에 은산현(殷山縣)으로 되었다. 조선왕조가 건립된 이후 1414년(태종 14년)에 자산군(慈山郡)에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415년(태종 15년)에 다시 은산현으로 복귀되었다.

1895년에 은산군으로 개편되어 경천방(擎天坊), 낙민방(樂民坊), 용화방(龍化坊), 모현방(慕賢坊), 마산방(馬山坊), 봉명방(鳳鳴坊), 선원방(仙院坊), 성내방(城內坊), 제남방(濟南坊), 진북방(鎭北坊), 풍전방(楓田坊), 현내방(縣內坊), 후덕방(厚德坊) 등 13개 방을 관할하였고, 그 이듬해인 1896년에 평안남도 은산군으로 되면서 방을 면으로 개편하여 현내면(縣內面), 성내면(城內面), 선원면(仙院面), 풍전면(楓田面), 후덕면(厚德面), 제남면(濟南面), 모현면(慕賢面), 낙민면(樂民面), 경천면(擎天面), 용화면(龍化面), 마산면(馬山面), 진북면(鎭北面), 인산면(仁山面), 봉명면(鳳鳴面), 함오면(咸吾面) 등 15개 면을 관할하였다.

1907년에 순천군(順川郡)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순천군의 은산면(殷山面), 신창면(新倉面), 밀전면(密田面)의 전체 리와 북창면(北倉面)의 2개 리, 선소면(仙沼面)의 6개 리를 분리하여 다시 은산군을 복귀하였는데, 이때 신창면의 신창리와 삼중리를 병합하여 은산읍(殷山邑)으로, 선소면의 도흥리 · 오천리와 은산면의 서남리 · 진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서남리(西南里)로, 은산면 금창리와 신창면의 숭산리 · 연합리를 병합하여 연합리(延合里)로, 신창면의 용승리와 용화리를 병합하여 용화리(龍化里)로, 신창면의 신이리 · 신삼리 · 마동리를 병합하여 수덕리(修德里)로, 은산면의 정산리와 신창면의 망일리 · 용암리를 병합하여 망일리(望日里)로, 신방면의 청계리 · 귀천리 · 수원리를 병합하여 수원리(水源里)로, 밀전면의 원창리 · 유상리 · 구정리를 병합하여 유정리(柳井里)로, 밀전면의 동은천리 · 팔봉리 · 남양리를 병합하여 동삼리(東三里)로, 밀전면의 월포리 · 재동일리 · 청수리를 병합하여 밀전리(密田里)로, 밀전면의 재동이리 · 재동삼리 · 재동사리 · 재동오리 · 재동륙리를 병합하여 재동노동자구(榟洞勞動者區)로, 밀전면의 영대리와 서은천리를 병합하여 구봉리(九峯里)로, 은산면의 송현리 · 안평리 · 천성리를 병합하여 천성리(天聖里)로, 은산면의 모성리 · 창흥리와 선소면 모학리를 병합하여 성산리(聖山里)로, 선소면의 증산리와 답동리를 병합하여 증산리(甑山里)로, 북창면의 부윤리 · 인산리와 선소면의 장평리를 병합하여 부산리(富山里)로, 은산면의 이신리 · 은산리 · 진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진산리(鎭山里)로, 은산면의 임강리 · 인상리 · 문창리를 병합하여 제현리(濟賢里)로, 은산면의 추평리 · 태평리 · 남옥리를 병합하여 남옥리(南玉里)로, 은산면의 원정리 일부 · 명덕리 · 숭화리를 병합하여 숭화리(崇化里)로, 은산면의 석교리 · 마산리 · 학천리와 원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수양리(首陽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구 20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은산읍과 수원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창리(新倉里)를 신설하고 진산리와 서남리 일부를 병합하여 은산읍으로 개편하였으며 남옥리 일부를 성천군 유동리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구봉리를 구봉노동자구(九峯勞動者區)로 승격하였으며, 1967년에 밀전리 일부를 재동노동자구에, 수원리 일부를 신창리에, 구봉노동자구 일부를 유정리에 각각 편입하고, 천성리를 천성노동자구(天聖勞動者區)로 승격하였다. 1972년에 부산리를 부산노동자구(富山勞動者區)로 승격하였고 성천군 기창리 일부가 용흥노동자구에 편입되었다.

1974년에 남옥리와 숭화리 일부를 성천군에 편입하고 기타 지역은 순천군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992년 1월에 순천시의 은산동(殷山洞) · 은포동(殷浦洞) · 천성동(天聖洞) · 구봉동(九峯洞) · 재동(榟洞) · 용흥동(龍興洞) · 부흥동(富興洞) · 직동(直洞) · 수양동(首陽洞) · 제현리 · 숭화리 · 연합리 · 망일리 · 신창리 · 수원리 · 수덕리 · 용화리 · 유정리 · 밀전리 · 동삼리와 장선동 일부 · 봉우동 일부 지역 그리고 북창군의 신평리(新坪里) · 성천군의 남옥리(南玉里) · 유동리(柳洞里) · 대양리(大陽里) · 남원리(南源里)를 병합하여 다시 복귀되었다.

이때 은산동 · 은포동과 장선동 일부 · 봉우동 일부를 병합하여 은산읍으로, 수양동을 수양리로 각각 개편하고, 재동이 재동노동자구로, 구봉동이 구봉노동자구로, 천성동이 천성노동자구로, 직동이 직동노동자구(直洞勞動者區)로, 부흥동이 부흥노동자구(富興勞動者區)로 각각 승격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직동노동자구와 부흥노동자구가 각각 직동, 부흥동으로 개편되어 순천시에 편입되었다.

은산군은 은산읍, 천성노동자구, 구봉노동자구, 재동노동자구, 용흥노동자구, 수양리, 제현리, 숭화리, 연합리, 망일리, 신창리, 수원리, 수덕리, 용화리, 유정리, 밀전리, 동삼리, 남옥리, 유동리, 대양리, 남원리, 신평리 등 1읍 4구 17리를 관할하였다.

1994년에 신평리가 다시 북창군에 이관되었으며, 1995년에 은산읍의 일부 지역이 숭화리에 편입되었고 순천시의 성산동(聖山洞)과 학산동(鶴山洞)이 편입되어 성산노동자구(聖山勞動者區), 학산노동자구(鶴山勞動者區)로 개편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은산읍), 5구(구봉노동자구, 성산노동자구, 재동노동자구, 천성노동자구, 학산노동자구), 16리(남옥리, 남원리, 대양리, 동삼리, 용화리, 유동리, 유정리, 망일리, 밀전리, 수덕리, 수양리, 수원리, 숭화리, 신창리, 연합리, 제현리)로 구성되어 있다. 은산군 소재지는 은산읍이다.[5]

산업[편집]

은산군은 중요한 석탄 공업기지로서 석탄 채굴업이 기간산업으로 되어 있다. 이밖에 지방공업과 농촌 경제도 상당히 발전되어 있다. 은산군의 공업에서 기본은 석탄공업인데, 여기에는 전국적 의의를 가지는 대규모의 탄광들인 신창탄광(新倉炭鑛), 천성탄광(天聖炭鑛), 영대탄광(靈臺炭鑛)을 비롯하여 수십 개의 중소탄광들이 개발되어 있다.

지방공업에서는 성산광산과 영대알탄공장, 은산탄광설비부속품공장, 은산기계톱공장, 은산시멘트공장, 은산수지건재공장, 은산비료공장, 은산가성소다공장, 은산종이공장, 은산직물공장, 은산피복공장, 은산모피가공공장, 은산장공장, 은산식료품공장, 은산철제일용품공장, 은산전기일용품공장, 은산목재일용품공장 등이 운영되고 있다.

은산군의 농업은 벼와 옥수수 생산을 기본으로 하는 농산업과 과수업, 축산업 등 부문으로 이루어졌다. 농경지는 은산군 전체면적의 약 52%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중 논은 대동강과 그 지류인 장선강 연안에 집중되어 있다. 은산군에서는 월촌저수지(月村貯水池), 운봉저수지(雲峯貯水池)를 비롯하여 10여 개의 저수지와 수십 개의 양수장, 보를 건설하고 수백 리의 관개수로를 개설하여 농업용수를 보장하고 있다.

은산군의 농업생산에서 주되는 작물은 옥수수와 벼이다. 옥수수는 주로 천성노동자구, 밀전리, 동삼리, 유정리, 수덕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고 벼는 장선강 연안에 위치해 있는 은산, 연합리, 용화리, 망일리 등 지역과 대동강 연안에 위치해 있는 제현리, 남옥리, 유동리, 대양리, 남원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채소는 주로 성산노동자구, 천성노동자구, 재동 노동자구 등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과수업에서는 사과, 배, 복숭아가 기본을 이루고 있는데, 사과는 제현리 · 망일리 등 지역에서, 배는 은산읍 등 지역에서 많이 산출되고 있다. 축산업에서는 주로 소, 돼지, 염소, 양, 닭, 오리 등을 사육하고 있다.[6]

교통[편집]

교통은 평라선과 평덕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은산역(殷山驛), 구정역(九井驛), 재동역(榟洞驛), 수덕역(修德驛), 원창역(院倉驛), 수양역(首陽驛), 천성역(天聖驛), 신창역(新倉驛), 영대역(靈臺驛), 매봉역, 학산역(鶴山驛)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밖에 은산역에서 분리된 대건선이 개설되어 있다.

도로는 평성~함흥, 성천~은산, 은산~평성 간 등의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이밖에 은산군 소재지에서 군내 여러 지역과 연결되어 있는 도로망이 구축되어 있다. 은산에서 순천까지는 7km, 평안남도 소재지인 평성시까지는 28.3km이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은산군〉, 《위키백과》
  2. 은산군〉,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은산군 지명유래〉,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은산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은산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은산군 경제 〉,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평안남도 은산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은산군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