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영광군 (북)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북한 위치
함경남도 위치

영광군(榮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중부에 위치해 있는 군이다.[1][2]

개요[편집]

영광군의 면적은 769.60km²이며 인구는 103,532명(2008)이다. 북쪽으로 장진군, 동쪽으로 신흥군, 남쪽으로 함주군·함흥시, 서쪽으로 평안남도 대흥군과 인접한다. 북서~남동(수전노동자구~신덕리) 간 길이는 40km이고, 북동~남서(천불산리~용동리) 간 길이는 31km이며, 도 면적의 4.15%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24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영광읍이다.

1981년에 김일성 주석의 사랑과 배려가 깃든 영광의 고장이라는 뜻에서 영광군이라 하였다. 1981년 전까지 오로군이라 하였는데 오로(五老)는 삼(麻)을 의미하는 말로서 예로부터 이 지역에서 삼을 재배하여 베짜기를 많이 한 것과 관련된다.

군내의 황초령에는 신라 진흥왕의 진흥왕 순수비가 세워졌다. 이곳의 지명도 진흥왕에서 따 온 진흥리였다. 북쪽은 장진군인데, 6.25 전쟁에서는 여기서도 장진호 전투의 일부 전투가 벌어졌다.[3]

자연환경[편집]

영광군은 대부분 지역이 부전령산줄기의 남서부 앞산 지대에 위치해 있다. 동부와 서부, 북부에는 산맥들이 둘러서 있고 성천강이 흐르고 있는 북동부와 남부는 열려져 있다. 북부에는 장진군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부전령산줄기가 북동~남서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여기에 천불산(千佛山, 1,456m), 매봉(1,312m), 황초령(黃草嶺, 1,208m), 노란봉(1,734m), 뒤봉(1,617m), 마대산(馬垈山, 1,744m) 등이 솟아 있다. 서부경계를 이루는 백운산줄기는 북서~남동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여기에 천의산(天依山, 1,284m), 백운산(白雲山, 1,077m), 종다산(1,360m) 등이 솟아 있다.

북동부에서 부전령산줄기 앞산 지대는 흑림천(黑林川)과 천불산천(千佛山川) 및 전동천(典洞川)을 비롯한 성천강 오른쪽 지류들의 침식작용에 의하여 천불산~악전봉(1,327m)~마안산(馬鞍山, 1,182m)줄기, 천불산~덕바위봉(1,262m)~심산(1,087m)~대바위산(989m) 줄기를 이루고 있다. 남동부에는 함흥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함관령 산줄기의 지맥이 북동~남서방향으로 성천강 골짜기까지 뻗어 있다. 천의산과 백운산일대는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위천에 의하여 침식되고 있는 이 산들의 동쪽과 남쪽 경사면에는 동대폭포(東臺瀑布, 15m), 산주폭포(散珠瀑布, 17m), 만장폭포(萬丈瀑布, 39.5m) 등 폭포들이 많이 분포하였다.

이곳은 근로자들의 문화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영광군의 중심을 북서~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흑림천 골짜기는 깊고 경사면이 길다. 천불산리~신상리~용동리를 잇는 지역과 함흥 사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 오봉산줄기(지루산지) 사이에는 지구대가 넓게 발달되어 있으며 지구대구역 내에 전개된 해발 100~200m의 구릉성벌과 충적지들은 논으로 개간되어 있다.

영광군의 지질은 시생대 낭람충군의 변성암, 제3기 및 제4기층들과 관입암으로서 연화산암군의 화강암류, 중부고생대 남강암군의 염기성암맥, 중생대 단천암군의 화강암들로 되어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여러 지질시대에 생긴 금, 몰리브덴, 안티몬, 납, 아연, 동, 장석, 규석 및 갈탄, 이탄과 건재자원들이 있다. 영광군은 남북 간 기후차이가 크다. 성천강 연안일대는 바다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기후특성을 나타내나 부전령산줄기를 비롯한 북부 산지대에서는 대륙성기후의 특징으로 기온의 계절차이가 크다.

연평균기온은 9.4℃, 1월 평균기온은 -5.9℃, 8월 평균기온은 22.9℃이다. 0℃이상 적산온도는 3,832℃, 5℃이상 적산온도는 3,724℃, 10℃이상 적산온도는 3,412℃, 15℃이상 적산온도는 2,791℃이다. 연평균강수량은 978mm로서 평균강수량에 비하면 좀 적은 편이다. 첫 서리는 10월 23일경에 내리고 마지막 서리는 4월 18일경에 내린다.

영광군은 계절풍의 영향을 비교적 강하게 받는다. 4~9월은 남풍이 우세하며 10~3월은 북서풍이 우세하다. 연평균풍속은 2.1m/s이며 최대풍속은 24m/s이다. 함흥내기바람으로 불리는 계절풍은(북서풍) 겨울과 이른봄에 강하게 분다. 봄철의 개인 날 낮에 해풍이 불 때에는 성천강과 흑림천계곡을 따라서 골바람과 합세하여 상류에까지 올라간다. 그러므로 읍지구에서의 연평균최고기온이 해안평야지대에 있는 함흥과 함주에서의 연평균최고기온보다 더 높아진다.

영광군의 기본하계는 성천강과 흑림천을 비롯한 수많은 지류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제일 긴 지류는 흑림천이며 여기에 군내 하천의 약 50%의 지류가 있다. 성천강의 1지류들은 대부분이 유역평균해발이 500m 미만이나 흑림천의 지류들은 해발 700~1,000m의 높은 지대를 흐르고 있다. 영광군에서는 지방의 풍부한 물자원을 전력생산과 군내인민경제발전에 적극 아용하고 있다. 영광군에는 기곡저수지(岐谷貯水池), 장동저수지(長洞貯水池), 풍동저수지(豊洞貯水池), 기양저수지(祈穰貯水池), 천불산저수지(千佛山貯水池) 등이 건설되어 있다.

산림은 군 전체 면적의 약 82%를 차지하며 소나무, 잣나무, 잎갈나무, 참나무, 아까시나무, 박달나무, 진달래 나무, 개암나무, 산초나무 등이 분포되어 있다. 영광군에서는 또한 산림조성에 힘을 들여 많은 산림을 새로 조성하였다. 영광군에는 4,000여 정보의 잣나무림과 2,000정보의 일본잎갈나무림이 우거져 있다. 영광군의 450여 정보 되는 밤나무밭에서는 해마다 수십톤의 밤이 산출되고 있다. 산에는 또한 머루, 다래, 도토리, 삽주, 족도리풀, 오미자, 도라지, 고사리 등 산중부원이 풍부하다. 토양은 북한 온대북부 갈색산림토양지대의 동해안 중부토양지역에 속하며 표백화갈색산림토양과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이 발달되어 있다.[4]

역사[편집]

광복 전 전 함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전 함주군의 하기천면 · 상기천면 · 하조양면 · 주북면 · 기곡면을 통합하여 오로군을 구성하였는데, 상기천면의 죽리 · 오로리 · 오상리를 병합하여 오로읍(五老邑)을, 상기천면의 신경리 · 중상리 · 상리를 병합하여 상중리(上中里)를, 상기천면의 경흥리 · 경복리와 하천면의 송당리, 하조양면의 쌍봉리를 병합하여 동양리(東陽里)를, 하기천면의 동정리와 서상리를 병합하여 신상리(新上里)를, 하기천면의 중평리 · 중흥리 · 신풍리 · 은봉리를 병합하여 산창리(山蒼里)를, 하기천면의 동흥리 · 진흥리 · 내직동리를 병합하여 수전리(水電里)를, 하조양면의 인흥리 · 풍흥리 · 기회리 · 기산리를 병합하여 인다리(仁多里)를, 하조양면의 봉명리 · 삼흥리 · 안서리를 병합하여 봉흥리(鳳興里)를, 하조양면의 용안리와 추동리를 병합하여 용동리(龍洞里)를, 하조양면의 봉흥리 · 흥덕리 · 봉하리를 병합하여 봉덕리(鳳德里)를, 기곡면의 상리 · 서원리 · 중리 · 기양리를 병합하여 기상리(岐上里)를, 기곡면의 동흥리 · 신풍리 · 신중리 · 풍동리를 병합하여 동중리(東中里)를, 기곡면의 동덕리 · 흥복리 · 신흥리를 병합하여 신덕리(新德里)를, 기곡면의 장동리 · 삼당리 · 흥서리 · 신동리를 병합하여 삼흥리(三興里)를, 주북면의 기양리 · 운룡리 · 중흥리를 병합하여 후주리(後州里)를, 주북면의 부민리 · 흥경리 · 반송리 · 흥덕리를 병합하여 부민리(富民里)를 각각 신설하고, 하기천면의 상통리 · 하통리 · 하대리를 병합하여 상통리(上通里)로, 주북면의 흥봉리 · 운흥리 · 신계리 · 신덕리를 병합하여 흥봉리(興峯里)로, 주북면의 장흥리 · 상운리 · 상반리 · 신풍리를 병합하여 장흥리(長興里)로, 주북면의 쌍송리 · 봉하리 · 흥상리 · 송흥리를 병합하여 송흥리(松興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9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봉덕리를 봉흥리에, 봉흥리 일부를 용동리에, 오로읍 일부를 인다리에 각각 편입하였고, 동양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쌍송리(雙松里)를, 산창리 일부를 분리하여 은중리를 각각 신설하는 동시에 수전리를 노동자구로 승격하였다.

1954년 10월에 은중리를 다시 산창리에, 봉흥리 일부와 함주군 천원리 일부를 인다리에 각각 편입하는 동시에 인다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풍호리(豊湖里)를 신설하였으며, 신흥군의 풍상리(豊上里), 능리(陵里), 자동리(柘洞里), 관수리(觀水里), 전동리(典洞里), 천불산리(千佛山里), 화장리(花藏里), 중상리(中上里), 중리(中里), 원평리(元平里) 등 10개 리를 흡수하여 산하에 1읍 1노동자구 29리를 두고 관할하였다.

1956년 9월에 능리를 풍상리에, 중리를 중상리에, 원평리를 천불산리에 각각 편입하였고 1960년 10월에 부민리와 송흥리를 함흥시 반룡구역에 편입하여 1읍 1노동자구 24리를 관할하였다. 1981년 10월에 군이름을 영광군으로 개칭하면서 군 소재지 명칭을 군지명에 따라 명명하는 원칙에 따라 오로읍을 영광읍으로 개칭하였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영광읍), 1구(수전노동자구), 24리(관수리, 기상리, 동양리, 동중리, 용동리, 봉흥리, 산창리, 삼흥리, 상중리, 상통리, 신덕리, 신상리, 쌍송리, 인다리, 자동리, 장흥리, 전동리, 중상리, 천불산리, 풍상리, 풍호리, 화장리, 후주리, 흥봉리)로 되어 있다. 영광군 소재지는 영광읍이다.[5]

산업[편집]

영광군은 북한 전력생산에서 큰 의의를 가지는 강력한 전력생산기지와 함께 현대적인 지방공업 그리고 곡물생산을 기본으로 과수업, 채소업, 양잠업 등 여러 모로 발전된 농촌경리를 가진 군이다. 영광군의 공업생산액에서 중앙공업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며 그 가운데서 전력공업은 주도적 부문을 이룬다. 영광군에서는 원유의 발전설비와 시설물들을 정비하여 그 능력을 최대한으로 제고하였으며 유리한 지점들에 발전설비를 신설하고 새로운 중소형 발전소들을 건설하였다.

영광군에는 북한 동력기지의 하나인 장진강발전소가 있다. 이 발전소의 전력생산은 북한 사회주의경제건설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영광군에는 또한 성천강 29호 발전소, 성천강 30호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 영광군에는 또한 콘크리트 전주를 생산하는 공장과 자동화요소공장 그리고 도자기원료광산이 있다. 지방의 원료원천에 의거하여 발전하고 있는 군의 지방공업은 식료품, 일용품, 피복, 종이, 건재 등 여러 가지 생산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공장, 식료공장 등에서는 간장, 된장, 고추장, 당과류, 기름과 고기, 채소, 과실, 산나물가공품, 청량음료 등이 생산된다. 일용품공업에서 기본은 목재일용품, 철제일용품, 전기일용품 등이다. 영광군에서 생산한 이불장은 품질이 좋아 널리 알려져 있다. 영광군에서는 또한 산중의 풍부한 약초자원을 이용하여 대중의약품생산을 기본으로 하면서 여러 가지 보약들도 생산하고 있다. 지방산업공장들에서는 이밖에 천류, 종이류, 가죽제품을 비롯하여 수백 여 종의 제품들이 생산된다.

영광군의 농업은 곡물생산을 위주로 하면서 축산업, 과수업, 잠업 등이 여러 모로 발전되고 있다. 농경지에서 이 40%, 밭이 44%, 과수밭이 12%, 뽕밭이 3%를 차지하며 주요 곡물은 벼, 옥수수, 콩 등이 있다. 벼는 영광군의 전반지역에서 재배되나 성천강과 흑림천 연안들에 보다 많이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자동리, 상중리, 기상리, 삼흥리는 군의 가장 큰 논벼재배지역을 이루고 있다. 옥수수는 봉흥리, 자동리, 상통리에서 보다 많이 재배된다.

영광군의 채소생산은 광복 후 새롭게 발전한 농업부문의 하나로서 군에서는 읍, 상중리, 자동리, 흥봉리, 후주리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채소기지를 신설하고 분수식관수체계를 도입하여 채소산량을 제고하고 있다. 영광군에서는 시금치, 오이를 비롯한 봄채소로부터 고추, 파, 마늘 등 양념감채소와 배추, 무를 비롯한 여러 가지 가을채소를 생산하고 있다. 영광군에서는 또한 지대조건에 근거해 과일의 수종과 품종들을 합리적으로 배합하고 과수관리사업을 주체농법의 요구대로 철저히 하여 해마다 많은 과실을 생산하고 있다. 그 중 주요 과실은 앵두, 살구, 복숭아, 자두, 포도, 배, 사과, 대추 등이다.

축산업과 양잠업은 군의 농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영광군에서는 돼지, 소, 양, 염소, 토끼, 닭 등 여러 가지 가축을 많이 사육하고 있다. 또한 산기슭과 하천연안들에 뽕나무를 재배하여 누에고치를 많이 생산하고 있다.[6]

교통[편집]

영광군 지역은 함흥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과 내륙고원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 요지에 위치해 있어 함경남도 중부지대에서 교통이 비교적 발달한 지역에 속한다. 교통 운수에서 기본은 철도 운수와 도로 운수이며 그중 철도운수가 큰 의의를 가진다. 영광군에는 신흥선철도(함흥~부전호반)와 장진선철도(영광~사수)가 부설되어 있다.

주요 도로로는 황초령을 넘어 장진에 이르는 2급 도로와 부전령을 넘어 부전군과 양강도 지역으로 통하는 2급도로이다. 영광읍은 철도도로 운수의 주요 분기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7]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영광군 (함경남도)〉, 《위키백과》
  2. 영광군(북한)〉, 《나무위키》
  3.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영광군 개요〉, 《네이버 지식백과》
  4.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영광군 자연〉, 《네이버 지식백과》
  5.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영광군 역사〉, 《네이버 지식백과》
  6.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영광군 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 조선향토대백과: 함경남도 영광군 교통〉,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같이 보기[편집]

동아시아 국가
동아시아 도시
동아시아 지리
동아시아 바다
동아시아 섬
동아시아 강
동아시아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영광군 (북) 문서는 북한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