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마산회원구

위키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마산회원구 위치
마산회원구청

마산회원구(馬山會原區)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북서부에 있는 구이다. 마산 종합운동장 내 올림픽 기념생활관을 임시 구청사로 쓰고 있다.[1]

개요[편집]

2010년 7월 1일 마산시·창원시·진해시가 통합하여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신설된 구이다. 동쪽은 의창구와, 북쪽과 서쪽은 함안군과, 남쪽은 성산구·마산합포구와 접한다. 면적은 90.59㎢이며 2023년 6월을 기준하여 인구는 182,031명이다.

회원(會原)은 마산의 옛 이름으로서 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 합포현이 설치되었고, 고려시대인 1282년(충렬왕 8) 회원현으로 개칭되었다. 1990년 통합 이전의 마산시에 합포구와 회원구가 설치되었다가 2001년 폐지되었으며, 2010년 마산·창원·진해가 통합되면서 옛 지명을 살려 마산의 북부 지역을 마산회원구로, 남부 지역을 마산합포구로 명명하였다.

행정구역은 내서읍과 회원 1~2동·석전 1~2동·회성동·양덕 1~2동·합성 1~2동·구암 1~2동·봉암동의 1읍 12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원동·석전동·합성동·두척동·회성동·양덕동·봉암동·구암동의 8개 법정동을 관할한다. 구청 소재지는 삼호로 63번지(양덕동 477) 마산종합운동장 내 올림픽기념관이다.

한일합섬,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성업했던 곳으로, 기존 마산시가 잘나갔을 당시 공업지역을 담당하던 곳이었다. 하지만 IMF 외환 위기 이후, 21세기 들어 마산의 신흥 주거단지로서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상대적으로 일찍 시가화가 진행된 마산합포구와 달리 1970년대 이후 마산역,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을 기존 마산합포구 지역에서 옮겨오면서 도시화가 이루어진 동네이기도 하다. NC 다이노스의 홈구장이 위치해 있는 곳이기도 하며, 마산 야구 100년 역사의 심장으로 불리는 지역이기도 하다.

주요 시설로는 양덕동과 봉암동 일원에 마산자유무역지역, 양덕동에 마산종합운동장·MBC경남 창원본부·경남도민일보, 구암동에 국립 3·15 민주 묘지, 합성동에 우리누리 청소년 문화센터와 경전선 마산역 등이 있다. 교육기관은 초등학교 20개, 중학교 14개, 고등학교 9개와 대학 2개(마산대학교·창신대학교)가 있다.[2][3]

지역특징[편집]

마산합포구처럼 구의 명칭 앞에 이전 시명(市名)인 "마산"이 붙어있으며, 통합 이후에도 지역 주민들은 주로 "창원 사람"보다는 "마산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편이다. 분당경찰서나 일산동부경찰서처럼, 마산동부경찰서도 앞에 도시명(창원)을 붙이지 않는다.

산업화 시절에는 봉암동에 위치한 자유무역지역과 지금의 양덕 2동 메트로시티 자리에 위치해 있던 한일합섬이 옛 마산시를 먹여살리던 양대 밥줄이었다. 한일합섬은 IMF로 망하면서 공장이 철수했고 자유무역지역도 지금은 많이 쇠락한 상태다. 안 그래도 쇠퇴일로를 걷던 마산시에 직격탄을 날려버린 셈이다.

앞에서 서술한 대로 합성동 지역은 창동을 밀어내고 현재 마산 지역의 최대 상권이 되었다. 합성동과 창동의 관계는 부산으로 따지면 서면과 남포동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될 듯. 합성동을 최대 상권으로 만든 1등 공신은 당연히 합성동에 위치한 마산시외 버스터미널과 석전동에 위치한 마산역. 마산역은 2010년 12월 경전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마산행 KTX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고 있다.

내서읍에는 포화상태가 된 마산시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택지개발이 이루어졌다. 인구수가 7만여 명에 달하는 거대 읍. 단, 여기도 터가 좁아 골짜기를 따라 아파트 단지들이 주욱 늘어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산지역 최대의 교통 지옥이라 할 수 있는 석전교사거리가 석전동에 있다. 마산지역의 양대 교통축이라 할수 있는 삼호로와 3.15대로가 만나는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 마산지역 최초의 지하차도가 건설되어 2012년 6월 현재 완성된 상태이다.

고등학교가 많지 않다. 예로부터 마산합포구가 마산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기에 고등학교도 합포구에 많이 몰려 있기 때문. 구암고등학교, 창신고등학교, 마산무학여자고등학교[10], 마산공업고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경남미용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그리고 내서읍에 마산제일고등학교와 내서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창원 NC 파크가 양덕 2동에 있다. 바로 옆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은 2010년까지 롯데의 제2홈구장이었으며, 2018년까지 NC 다이노스 홈구장으로 쓰이다가 2019년 새 야구장이 완공되면서 현재는 NC 2군 팀 홈구장으로 쓰고 있다.

시내 지역은 물론 내서읍 일대까지 도시화가 진행되어, 다른 舊 지역에 비하면 미개발부지가 거의 남아있질 않다. 미개발 부지라고 해봐야 회성동의 창원 교도소 일대와 내서읍 감천리 주변정도가 끝. 그래서 2010년대 이후로는 미개발부지 개발보다는 기존 시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 사업이 하나둘씩 진행되고 있다. 기존 한일합섬 마산 본사 부지에 들어선 메트로시티 1차 및 2차와 가고파초등학교가 대표적. 그 외에도 합성1동 주택가 일대에는 창원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들어섰고, 석전 1동에는 석전교사거리 서쪽으로 1,800여 세대의 메트로시티가 들어섰으며, 회원 2동 또한 재개발이 추진되어 노후 주거단지들이 철거되고 롯데캐슬, e편한세상 등의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이 들어섰다.

역사[편집]

1989년 이전[편집]

고려 시대였던 1282년에 '회원현'(檜原縣)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회원'이 지명으로 사용되었으며, 1378년에 지금의 구암동 일대에 합포성이 축조되었다. 또, 비슷한 시기 현재의 마산합포구 자산동 몽고정 부근에 회원현을 중심으로 한 토성이 축조되었다. 이후 조선 태종 때인 1408년에 창원부 서면으로 편입되었고,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으며, 1949년 8월 15일에 마산시가 설치되었다.

마산시회원구[편집]

1989년에 마산시 회원출장소로 설치되었다가 마산시 인구가 50만명을 넘으면서 1990년 7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회원구(會原區)'가 신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 창원군이 해체되어 각각 마산시, 창원시와 통합하면서 창원군의 내서면이 회원구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3월 내서읍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인근의 계획도시인 창원시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어 1995년 도농통합 직전에는 마산시 인구가 35만 명까지 줄었고, 1997년 창원시가 인구 50만 명을 넘은 후에도 구제를 실시하지 않자 인구 40만 명의 마산시에 구제를 유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잇따라 2000년에 구가 폐지 되었다.

창원시 마산회원구[편집]

2010년 창원시, 진해구와 통합하면서 같은 해 2월 17일 통합시 명칭을 창원시로 확정하고 국회의원 선거구를 따라 5개 구(區)를 설치하기로 하였고, 같은 해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실시된 구 명칭 공모에서 당시 마산시 을선거구에 해당하던 이 지역은 과거에 사용했던 '회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마산시에 2개 구가 설치되면서 '마산'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역에서 사라진다는 정서적 위화감 때문에 2010년 5월 6일 통합준비위원회 제13차 회의에서 '마산'이 포함된 '마산회원구'라는 구이름이 최종 결정되었다. 2010년 7월 1일 마산시·창원시·진해시가 통합하면서 창원시 마산회원구(馬山會原區)로 신설되었으며, 이날 마산회원구청에서 개청식이 있었다.

산업[편집]

마산 자유무역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위치한 무역을 중점으로 한 공단 지역으로, 이전에는 마산수출자유지역(馬山輸出自由地域)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이 명칭이 통용되고 있다. 1970년대 당시 이리시의 이리 수출 자유지역(현재의 익산 공업단지)와 함께 마산시 임해 지역 일대에 수출자유지역으로 조성되었으며, 생산·수출·수송 등과 광대한 공장 부지(50만 평), 풍부한 공업용수(8만 5,000t), 동력·노동력 기타 여러 가지 입지적 조건이 양호하다. 외국 기업체에도 참여할 수 있는 문호를 개방하여, 해외 수출 증대, 해외시장 정보 획득, 남해안 임해 공업 벨트지대 성장의 선도적 역할을 꾀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양덕동과 봉암동에 이 단지가 건설됨으로써 2만 5,000명 이상의 고용 증대, 각종 임대 사용료 등으로 많은 외화를 획득할 수 있다.

한일합섬이 있었던 곳으로 원래는 같이 마산으로 묶였던 마산합포구와 같이 경제적으로 전성기를 누렸고, 한 때 마산합포구와 같이 경남의 중심지이자 제1 도시로 꼽히기도 했지만, 전자 자동차 등으로의 산업 구조 변화와 신흥국의 성장으로 인한 섬유산업의 수익성 저하로 몰락하면서 지금 마산의 이미지인 낙후된 지역의 대명사로 전락한 것이다.

그나마 여기는 마산합포구와 달리 양덕 2동과 내서읍 등의 재개발과 구 창원보다 낮은 땅값으로 버티곤 있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가 낙후된 것은 변하지 않은지라 인구 유출 속도가 줄어들고 있지 않다. 실제로 2022년 기준 마산합포구와 4천명 격차까지 줄어들었을 정도다. 만약 인구 유출 부분은 해결하지 못한다면, 해당 지역의 경제적 규모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교통[편집]

  • 철도역
    • 마산역
    • 중리역
  • 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내서고속버스터미널
  • 고속도로
    • 내서 분기점
    • 서마산 나들목
    • 동마산 나들목

관광[편집]

관광 명소로는 무학산(761.4m)·광려산(720.2m)·천주산(649m)·팔용산(328m)을 비롯하여 1000여 기의 크고 작은 돌탑군이 조성되어 마산9경의 하나로 꼽히는 팔용산돌탑, 마산만의 유일한 갯벌에 조성된 봉암갯벌생태학습장, 팔용산의 팔용공원, 봉암수원지 등지가 있다.

문화재[편집]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무형문화재 1점(가곡)을 비롯하여 지방지정문화재로 경남유형문화재 2점(법성사목조보살좌상·광산사목조보살좌상), 문화재자료 1점(법성사신중탱), 기념물 3점(이산성지·봉화산봉수대·호계리공룡발자국화석), 경남무형문화재 1점(마산농청놀이), 등록문화재 1점(봉암수원지) 등이 있다.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마산회원구〉, 《위키백과》
  2. 마산회원구〉, 《네이버 지식백과》
  3. 마산회원구〉,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마산회원구 문서는 한국 행정구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